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감태
안개
수증기
해의
잡초
잡풀
뉴스
"
김
"(으)로 총 3,551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도체 속 미세한 오류 한 번에 찾아낸다
2015.08.18
정액기술료 1억 원, 경상기술료 매출의 3%로 수십 억 원의 매출 증대 효과가 기대된다.
김
연구원은 “이번 기술이전을 통해 국내 반도체 생산기업 및 관련 중소기업들의 국제 경쟁력을 한층 더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다 잡아 먹겠다” 가시광 흡수율 높인 초박막 광소재
2015.08.18
흡수했다. 기존 기술로 만든 소재에 비해 같은 두께로도 4배 이상 흡수력이 좋았다.
김
교수는 “초박막 소재를 원자단위로 미세조절하는 기술은 소재의 물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원천기술이기 때문에 더 의미가 있다”며 “향후 종이보다 얇고 구겨지는 태양전지, 광센서 등을 만드는 데 ... ...
수학 흥미도 1위 국가는 수학 후진국
2015.08.16
문화 차이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국가 간의 비교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김
교수는 “양이 줄고 내용이 쉬워진다고 수학이 재미있어 지는 것은 아니다”라며, “더 중요한 것은 학생들이 수학의 재미와 유용성을 스스로 느낄 수 있는 교육 방식을 연구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 ...
이런 CCTV 보셨나요?
2015.08.14
줌인 해 얼굴을 촬영한다. 최대 60m까지 떨어져 있어도 90픽셀 해상도를 유지할 수 있다.
김
연구원은 “영상 분석 기술이 더 발전하면 CCTV가 현재 촬영 중인 화면이 범죄 현장인지, 즉시 경찰이 출동해야 할 사안인지 스스로 판단해서 대응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그래핀 따윈 버려! ‘포스포린 반도체’ 나왔다
2015.08.14
이용하면 밴드갭을 조절할 수 있어 고성능 초소형 반도체 소자 개발이 가능하다.
김
교수는 “포스포린은 그래핀의 장점을 갖고 있으면서 그래핀 상용화의 걸림돌인 밴드갭 문제도 없다”면서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연구가 그래핀에서 포스포린으로 이동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난치성 신경질환치료 청신호… 뇌 세포 신경전달 과정 알아냈다
2015.08.11
대부분의 신경세포가 적어도 3번 이상 깜박거리며 여러 번에 걸쳐 물질을 분비했다.
김
단장은 “가설로만 제기되던 신경전달물질의 과정을 직접 관찰했다는 학문적 의미가 크다”면서 “의학분야에 적용하면 새로운 신경질환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 ...
구글·페이스북이 탐낸 비행기, 국내 연구진이 개발
2015.08.11
연구진은 앞으로 EAV-3을 한층 발전시켜 수일 이상 성층권 연속비행에 도전할 계획이다.
김
단장은 “제퍼가 성층권에서 장기체류할 수 있는 것은 차세대 고성능 ‘리튬황’ 배터리 제조법을 확보했기 때문”이라며 “현재 국내 연구진과 공동연구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 ...
북한은 숨은 ‘수학 강국’일까
2015.08.07
교류와 최신 지식 습득이 중요한 만큼 폐쇄적인 사회 구조가 걸림돌이 됐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가끔 해외 학회에서 북한 수학자들을 만나면 논문 한 편이라도 더 보려고 시간을 쪼개서 북한에서는 금지된 구글 검색을 하더라”고 말했다. ... ...
“배울것 많다” 아우성… ‘임상적 근거’ 바탕으로 학습량 정해야
동아일보
l
2015.08.06
교과서에 실린 것은 다 가르쳐야 한다는 압박감이 있어 효과를 내기 어렵다는 것.
김
대표는 “학생이나 교사가 잘못된 게 아니라면 고등학생 중 수학을 포기한 학생이 60%에 달한다는 것은 교육과정이 잘못된 것을 의미한다”며 “교육과정이 지나치게 어렵고, 많은 것을 요구하고 있다는 ... ...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될 전망이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서울대 한의학물리연구실에서 얻은 봉한관(왼쪽)과
김
봉한 박사의 논문에 나온 봉한관(오른쪽). 두 가지 모두 긴 막대 모양의 핵이 관찰된다. - 서울대 한의학물리연구실 제공 제공 하지만 글을 읽으면서 내내 1965년 북한에서 연구가 갑자기 중단된 뒤 왜 한 ... ...
이전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