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건
사물
미확인비행물체
유에프오
미확인
비행
물질
d라이브러리
"
물체
"(으)로 총 3,311건 검색되었습니다.
(3) 전자파 장해 막을 수 없나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해서 붙은 이름이다.고스트가 생기는 원인은 전파의 반사현상에서 찾을 수 있다. 전파는
물체
에 부딪치면 반사하게 되는데, 산이나 큰 건물 따위에서 반사된 전파가 고스트를 만드는 주범이다. 송신안테나에서 직접 도래하는 전파와 반사되어 오는 전파는 그 비행거리에서 약간의 차이가 나게 ... ...
4 피뢰침에서 로봇까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탈레스는 B.C.600년경 모직물에 호박을 마찰하면 어째서 새털이나 짚과 같은 가벼운
물체
들이 끌려오는지 그 이유를 알고 싶어했다. 그로부터 2천년 이상이 흐른 1600년에 엘리자베스 1세의 의사였던 윌리엄 길버트는 이 힘에 호박을 나타내는 그리스어 일렉트리시티(전기)라는 이름을 붙였다. ... ...
네손가락으로 글씨 쓰는 로봇 등장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끝에
물체
가 닿으면 기름의 압력변화가 일어나고, 이를 반도체압력센서가 검출한다. 접촉
물체
의 단단한 정도에 따라 손가락에 힘이 들어가는 방향이 조절된다. 마치 손가락이 촉각을 가진 것처럼 생각하면 된다.이 로봇은 전시회장의 관중들앞에서 훌륭한 솜씨를 선보였다. 많은 연습을 거쳤겠지만 ... ...
기계의 비명을 듣는 「전자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구별하는 것이다."AE의 정체는 원자의 결합이 절단될 때 발생하는 일종의 진동.
물체
가 파괴될 때 원자가 계속 집단적으로 절단되므로 독특한 비명소리가 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오코우치교수의 장치는 0.01㎜정도의 미세한 결함도 감지할 수 있다 ... ...
2 점보제트기가 떠서 나는 이유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C.8000년경에 만들어졌다. 이것은 통나무에 구멍을 뚫어놓은 카누로 노를 사용해 움직였다.
물체
가 물 위에 뜨는 이유를 설명한 부력의 원리는 B.C.200년대에 그리스의 식민지 시칠리아섬 태생의 위대한 과학자 아르키메데스에 의해 밝혀졌다. 그는 목욕통에서 이 원리를 발견하고는 기뻐서 벌거벗은채 ... ...
「찻잔속의 태풍」 인공지능 만들기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함축적인 문장은 '전혀'라고 할 정도로 번역이 불가능했다.번역이나 추론과 증명,
물체
인식 등에서 초기의 기대와는 달리 실패한 것은 너무도 광범위한 목표를 잡았기 때문이었다. 이후 인공지능은 이론적이고 엄청난 목표를 공격하기보다는 보다 공학적이고 좁은 범위의 문제해결에 매달리게 ... ...
1 에스컬레이터도 일종의 도르래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예이다.마찰은
물체
의 표면이 다른
물체
의 표면과 스칠 때 반드시 작용하는 힘으로
물체
가 물이나 공기 속을 움직일 때도 발생한다. 마찰이 일어나는 것은 꽉 접촉하고 있던 두 표면이 서로 끌어 당기기 때문이다. 이것은 분자와 분자 사이에 힘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일어난다. 이 마찰이 있기 ... ...
3 지구밖 문명과의 교신도 시도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오는가는 보면 알 수 있었고 광택나는 매끈한 면에 부딪치면 빛이 반사한다는 것, 어떤
물체
에 빛을 비추면 그림자가 생긴다는 것 등은 잘 알려진 사실. B.C.300년경에 이미 그리스 과학자 유클리드는 광학의 기초원리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유명한 아랍의 학자 알하젠은 ... ...
레이저에서 광컴퓨터로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레이저가 출력을 높이기 위한 하나의 돌파구가 될지도 모른다. X선 이하로 파장을 줄이면
물체
를 투과하기 때문에 공진기를 만들 수 없다. 기존의 레이저 공진기 개념을 뛰어넘는 새로운 공진기를 만들어야 하는 데는 기술상 어려운 점이 따른다. 그러나 X선 레이저도 곧 그 정체를 드러내고 우리앞에 ... ...
하와이제도는 사라질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있었다. 소나시스템이란 음파를 쏘아 그것이
물체
에 맞고 되돌아오는 현상을 이용해 그
물체
의 형상을 밝혀내는 것이다. 글로리아는 한 번에 약 1백㎞ 거리안에 있는 지형을 파악해 낼 수 있었다.이에 비해 최근 연구에 착수한 미국학자들은 글로리아보다 정교한 다중빔(beam) 소나를 사용했다. 이 ... ...
이전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