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건
사물
미확인비행물체
유에프오
미확인
비행
물질
d라이브러리
"
물체
"(으)로 총 3,311건 검색되었습니다.
찾기 힘든 쿼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생성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그러한 쿼크별은 물질로 형성된 가장 밀도높은
물체
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쿼크조차도 부서질 수 있고 이 경우 별은 질량만 가지고 형태는 없는 것으로 축소되어 버린다. 즉 '블랙홀’이 되는 것이다).우리가 중성자성을 발견할 수 있는 근거는 ... ...
한여름밤의 꿈, 은하산책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관측자들에게 이 천체는 어떤 망원경으로도 볼 수 없기 때문에 하늘에서 가장 보기 힘든
물체
로 인식돼 있다. 그러나 어떤 이들에게는 맨눈으로 보이는 가장 보기 쉬운 성운으로 알려져 있다.북아메리카 성운은 정말로 맨눈으로 볼 수 있을까. 경남 화왕산과 천황산 같은 뛰어난 관측지점에서 이것을 ... ...
(4) 진화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생물의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그에 비례해서 돌연변이가 존재함을 알 수있다.셋째 생
물체
단위에서의 변이를 생각해 봐도 마찬가지다. 서로 다른 유전자의 조합에 따라 변이의 종류가 달라지기 때문에 거의 무한대의 변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넷째 진화과정을 기하급수적인 변화로 볼 수 있다. 즉 ... ...
1천9백여개의 망원경 탄생시킨 김한철씨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어떤 때는 한개를 만드는 데 4, 5일 넘게 씨름하는 경우도 있다. "망원경 렌즈를 단순한
물체
로만 생각하지 않아요. 렌즈를 갈다보면 렌즈가 짜증을 내는 때도 있습니다. 이럴 때 계속하면 불량품이 나오기 십상이지요. 제가 만든 망원경을 막내 아들이나 손자뻘 되는 애들이 쓰는데 어떻게 불량품을 ... ...
색을 구별하는 로봇 탄생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그런데 옷과 같은
물체
는 아예 고정된 형태를 갖고 있지 않고 보는 위치에 따라서도
물체
의 외형이 변하기 일쑤여서 늘 이 형상식별법은 로봇학자들의 골칫거리였다.이 고민을 일시에 해소시킬 수 있는 것이 바로 색인식로봇. 예컨대 과일따는 로봇에게 색을 식별하는 능력을 부여하면 이 로봇은 ... ...
우주로 향한 차세대 항공기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엔진을 가동시킬 수 있지만, 비행기의 속도가 빨라지면 램압력(고속의 공기가
물체
에 부딪침으로써 높아지는 압력)이 높아져 나중에는 공기압축기가 거추장스러운 존재가 된다.그러나 램제트에서는 공기를 흡입시키는 도관(duct) 자체를 좁게 설계해, 터보제트에서 공기압축기가 공기를 압축한 것과 ... ...
아인슈타인은 역시 옳았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하느님을 안타까이 여겼을 것이다"였다.상대성 원리의 근본적인 토대중의 하나는 모든
물체
는 질량과 무관하게 똑같은 속도로 떨어진다는 것이다(만약 공기의 저항같은 것이 무시될 수 있다면). 진공상태에서는 포탄이나 새의 깃털이나 같은 속도로 떨어진다. 이는 등가의 원리라고 불린다.등가의 ... ...
2 헛발질할 때도 있는 「세계정상」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같이 지상에서 발생하는 미미한 간섭에도 영향을 받기 십상이다.특히 빌딩과 움직이는
물체
로부터의 반사는 기장 큰 골칫거리다. 아날로그신호가 빌딩에 반사할 때는 스크린에 '고스트'(多重像)로 비치는데 이것이 실상과 근사하면 그런대로 봐줄만하다. 그러나 디지털신호의 경우에는 단 한번의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기묘한
물체
를 발견한다. 직경 20㎞, 길이 50㎞ 자연물이라기엔 너무나 정교한 원통형의
물체
에 접근한 탐사체는 놀라운 영상을 보내왔다. 그것은 하나의 거대한 우주선이었다. 이 우주선에는 '라마'라는 이름이 붙여졌고 지구의 우주선 한 척이 탐사대의 임무를 띠고 조사작업에 들어간다. 라마의 ... ...
누가 아인슈타인을 거역하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동일하다.이 사실은 뉴턴에 앞서 갈릴레이가
물체
의 낙하운동에서 발견했던 사실(모든
물체
의 떨어지는 가속도가 동일하다는)을 연상시킨다. 이런 가속도의 동일성은 지구의 중력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중력이 작용하는 공간 즉 중력장(重力場)의 어디에서나 나타난다.아인슈타인은 기차 ... ...
이전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