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세"(으)로 총 3,517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 방법도 있다. 실제 덴마크는 2011년과 2012년 식품의 포화지방 함량에 따라 ‘포화지방 세금’을 매겼다. 그 결과 소고기값이 15% 인상됐고 소비량이 줄었다. 다만 반발이 심해 이 제도는 1년 만에 폐지됐다. 위의 예들이 사람들의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넛지라면 무의식에 작용하는 좋은 넛지도 있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부모의 가혹한 양육이 자녀 비만 부른다2018.07.21
- The Professional Journal of the Eating Disorders Association, 16, 480-488.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jinpark.egloos.com)를 운영하고 있다. 과학동아에 인기리 연재했던 심리학 이야기를 동아사이언스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2018.07.10
- 풀었지만 제멋대로 돌아다니다 주변 기물을 부수고 지나가는 사람을 다치게 하듯이 암세포 역시 새 삶을 살며 자신이 속했던 사회(개체)에 피해를 주지 않을 수 없는 것 아닐까.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잃어버린 물질을 찾아서2018.07.03
- ) 가시 물질이 이온 또는 플라스마 형태로 존재한다. 중입자(baryon)는 기본입자인 쿼크 세 개로 이뤄진 입자로 대부분 양성자와 중성자다. 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이뤄져 있고 원자핵은 양성자와 중성자로 이뤄져 있다. 한편 전자의 질량은 양성자와 중성자의 1800분의 1 수준이다. 따라서 잃어버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2018.06.19
- 된 듯하다. … 인생을 다시 살 수 있다면 적어도 매주 한 번은 시와 음악을 즐기는 규칙을 세울 것이다. … 이런 취향을 잃는다는 것은 행복을 잃어버리는 것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 ...
- 북미 정상 '한반도 비핵화'합의, 핵 시설 폐기 절차 어떻게?2018.06.12
- 더 쉽게 해체할 수 있다”며 “다만 발전 시설에 비해 주변 환경 오염 여부를 더 상세히 조사할 필요는 있다”고 말했다. 권혁철 국민대 정치대학원 교수에 따르면 핵시설과 핵무기를 이전하고 해체하는 데 5조3700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 경제적 지원과 핵 폐기 보상 청구서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 커피향을 맡는 순간 나도 모르게 커피를 마신다. 미국 저널리스트 찰스 두히그는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된 ‘습관의 힘’에서 ‘신호(카페의 커피향) → 반복 행동(커피 주문해 마시기) → 보상(맛과 향 음미 및 각성효과)’이라는 습관 고리에 빠지면 벗어나기 힘들다고 설명한다. 일단 신호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머리 큰 사람 vs 작은 사람, 뇌 구조도 다르다 2018.06.05
- 반론도 있다. 20세기 최고 천재 아인슈타인은 머리가 작았다. 1955년 아인슈타인이 76세로 사망한 뒤 꺼내 측정한 뇌의 무게는 1230g으로 부피로 환산하면 1190cc 내외다. 노화로 뇌가 약간 줄어들 수 있음을 감안하더라도 남성 평균에 못 미치는 크기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위로가 필요한 나에게 무슨 말을 할까? 2018.06.02
- Power for some, peril for others. Psychological Science, 20, 860-866.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jinpark.egloos.com)를 운영하고 있다. 과학동아에 인기리 연재했던 심리학 이야기를 동아사이언스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2018.05.29
- 들어있는 음식 섭취를 줄이면 증상이 완화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미국 매사추세츠종합병원의 소화기내과의 알레시오 파사노 교수는 이런 환자들에게도 글루텐 프리 식단을 권하는데, 기사에서 “궁극적으로 우리가 여기(병원) 있는 건 과학을 하기 위한 게 아니라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 ...
이전2932942952962972982993003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