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세
세금
공세
공조
요금
조공
지불금
스페셜
"
세
"(으)로 총 3,517건 검색되었습니다.
시간과 우주 수수께끼 풀러...스티븐 호킹 박사 별로 떠나다
2018.03.14
슬하에 3명의 자녀를 두었다. 012런던 장애인 올림픽 개막식에서 메시지를 전하고 있는
세
계적인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 (대한장애인체육회 제공) ... ...
[속보] 영국의
세
계적인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별
세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영국의
세
계적인 이론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가 14일 오전(이하 현지시간) 영국 케임브리지 자택에서
세
상을 떠났다. 항년 76
세
. 우주의 탄생과 진화를 연구하는 우주론과 양자 ... 영국의 ‘런던 선데이 타임즈’ 베스트셀러 목록에 237주 동안 실리는 최고 기록을
세
우기도 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인테그린수용체의 일부를 이루는데, 축삭성장원뿔에 있는 인테그린수용체는 뉴런이
세
포 밖의 화학적 유도신호를 감지해 반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결국 이런 유전자들의 변이로 변이 단백질이 만들어지거나 단백질은 동일하더라도 양이 달라져 뉴런의 축삭이 뻗어 나가는 방향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 많은 감귤류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8.02.27
만다린과 교배하고 이를 다시 머코트만다린(유형3)과 교배해 얻은 품종으로 일본 이름은
세
토카(Setoka)다. 따라서 한라봉과 천혜향 둘 다 키요미의 자손들이고 유형3 만다린으로 분류될 것이다. 감귤류 성공의 숨은 공신 포멜로 ‘네이처’ 논문에서 저자들은 오늘날 만다린을 비롯한 여러 ... ...
[표지로 읽는 과학] 최초의 네안데르탈인 벽화 발견, 그리고 그 이후
동아사이언스
l
2018.02.25
증거는 아니다”라며 “현생인류가 아프리카를 떠난 시점이 최근 앞당겨지고 있는 추
세
이므로 현생인류가 6만 4000년 전 이미 유럽에 존재했을 가능성 역시 완전히 무시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배 교수는 “다만 예술이 4만~5만 년 전에 갑자기 탄생했는지 혹은 이전부터 서서히 탄생했는지 논쟁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
2018.02.20
찾아 이들이 그 믿음을 널리 퍼뜨리게 돈을 댄 것”이라고 썼다. 제당업계가 지난 반
세
기 동안 영양학계를 풍미한 ‘저지방 식단’ 패러다임을 기획한 게 아니라 편승한 것이라는 말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신은 칼슘맛을 느끼십니까
2018.02.13
털을 통해 맛을 느끼는데 그 가운데 작은 털 여섯 개에서 칼슘맛을 담당하고 여기에 이들
세
수용체가 관여한다. 한편 초파리는 장기적으로 건강에 해로운 칼슘이 없는 먹이와 몸에 좋은 적당한 칼슘이 있는 먹이를 구분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초파리 역시 짠맛과는 달리 기분 좋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
2018.02.06
늘릴 수는 없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노화는 몸 전반에 걸쳐 일어나는데 약물이 모든
세
포에 영향을 줄 수는 없기 때문이다. 대신 벌거숭이두더지쥐의 노화 억제를 가능하게 하는 유전자의 변이를 명쾌히 규명할 수 있다면 가능할 수도 있지 않을까. 즉 사람의 수정란을 유전자편집으로 ... ...
강력한 폭발 전력 백두산...남북 공동 연구 필요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2.01
등 남북 공통의 문제를 과학기술 협력으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라며 “남극의
세
종 과학기지처럼 북한에 백두산 연구를 위한 단군 과학기지를 만들어 정치에 흔들리지 않고 연구할 수 있도록 (어렵겠지만)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
2018.01.30
클로스트리디움의 먹이가 될 수 있다는 말이다. 실제 일상적인 식사를 한 입원환자
세
명의 회장루(소장의 말단인 회장을 인공항문으로 만든 구조) 분비물에 클로스트리디움을 배양한 결과 RT027은 두 곳에서 treA 유전자가 발현했다. 논문을 보면 클로스트리디움 RT027과 RT078로 인한 병원 내 감염 ... ...
이전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