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세"(으)로 총 3,517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2017.11.07
- 추정했다. 족도리풀(학명 Asarum sieboldii)의 모습으로, 약재로 쓰이는 뿌리줄기가 세신(細辛)이다. - 위키피디아 제공 우리는 언제부터인가 특히 약의 경우 ‘천연은 좋고(부작용이 적고) 합성은 나쁘다’ ‘(여러 성분이 섞여 있는 상태인) 식물추출물은 좋고 정제된 약물은 나쁘다’는 편견에 사로잡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혈 위기, 인공혈액으로 극복하나2017.10.31
- 버전인 옥시글로빈(Oxyglobin)의 경우 미국과 유럽에서 개에게 적용하고 있다. 헤모퓨어는 세심하게 보관해야 하는 진짜 피와는 달리 상온에 둬도 36개월 동안 안정하고 모든 혈액형에 쓸 수 있고 면역반응을 일으키지도 않는다고 한다. 물론 바이러스 같은 병원체가 들어있을 가능성도 없다. 그렇다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어떻게 해야 하나2017.10.24
- 동그라미는 세로축 숫자 100에 그어진 굵은 가로선(2012년 일본 정부는 수산물의 방사성세슘 허용치를 ㎏당 500베크렐에서 100베크렐로 강화했다) 밑으로 내려가 2013년 초 이후에는 100베크렐을 넘은 경우가 없다. 즉 후쿠시마 주변에서 잡은 고등어는 먹어도 문제가 없다는 뜻이다. (참고로 미국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2017.10.10
- (실제 시험관아기 연구로 2010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단독 수상한 로버트 에드워즈는 당시 85세로 치매가 심해 시상식에 참석하지 못했고 아내가 대신 수상했다. 2008년에 찍은 그가 활짝 웃고 있는 사진을 보면, 2년만 빨리 선정됐어도 이런 일은 없었을 것이다. 첫 시험관아기가 태어난 게 1978년인 걸 ... ...
- 삶이 허무하지 않고 '의미있다'고 느끼게 할 수 있는 3가지 방법2017.10.06
- after experimental trauma on intrusive emotional memories. Sleep, 39, 2125-2132.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jinpark.egloos.com)를 운영하고 있다. 과학동아에 인기리 연재했던 심리학 이야기를 동아사이언스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2017.09.19
- 유충에 물려 오리엔티아 쯔쯔가무시(Orientia tsutsugamushi)라는 박테리아에 감염되면 SFTS와 증세가 비슷한(물론 정도는 약한) 쯔쯔가무시병에 걸린다.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1만여 명이 감염되고 10여 명이 사망한다. 다행히 박테리아 질환이기 때문에 항생제로 치료가 된다. 앞서 잠깐 언급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2017.09.12
- 위치가 틀어져 더 이상 효소로 작용하지 못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 개체에서 다음 세대를 얻는 과정에서 식물 게놈에 끼어들어간 gRNA와 CAS9 유전자를 넣은 플라스미스 부분을 없앨 수 있다. 이 경우 식물 게놈에 외부 유전자가 없고 자기 유전자만 편집된 개체이기 때문에 유전자재조합생명체(GMO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섹스와 젠더의 과학2017.08.29
- 은 흥미를 추구하고 더 많이 노력해 결국은 더 큰 성취를 이룬다는 것이다. 놀랍게도 21세기가 한참이나 지났음에도 우리사회는 여전히 천재성은 소수 남성에게 주어진 것이라는 ‘고정된 사고방식’이 지배하고 있다는 게 저자들의 진단이다. 따라서 사회문화적으로 천재성을 너무 부각하지 않는 ... ...
- 아프리카 하드자 족에겐 있고, 도시인에겐 없는 것은?동아사이언스 l2017.08.27
-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도시 인구의 장에는 스트레스에 관여하는 균인 ‘박테로이다세’가 장내 미생물의 21%를 차지하며 지배적이었지만, 하드자 족의 장내 미생 중에선 0.8%에 불과했다. 하드자 족이 가진 박테리아 중 2종은 도시 인구의 미생물 속에선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또 도시인들의 ... ...
- 반려동물이 정신질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이유2017.08.20
- health condition. BMC Psychiatry, 16, https://doi.org/10.1186/s12888-016-1111-3.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jinpark.egloos.com)를 운영하고 있다. 과학동아에 인기리 연재했던 심리학 이야기를 동아사이언스에 ... ...
이전2982993003013023033043053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