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3,668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의 보석 행성 여행
과학동아
l
199310
태양계의 행성은 밤하늘의 보석이다, 작게 보이지만 어마어마하게 큰 보석이다. 그 보석은 보는 사람이 임자다.어두운 밤하늘을 자세히 쳐다보면 밝고 ... 느끼고 호흡한 실제 여행과의 차이가 아닐까 한다. 천체망원경으로 행성을 다 돌아
본
여러분은 뿌듯한 만족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 ...
뇌세포 몽땅 갈아끼워도 인격체에는 변동이 없을까?
과학동아
l
199310
할 수 있다.인지과학의 중요한 출발은 인간의 마음을 합목적적인 정보처리 과정으로 바라
본
다는 점에서 시작된다. 우리가 매일같이 보고 듣고 느끼고 결심하고 움직이는 다양한 삶의 모습들을, 뇌가 외부로부터 신경세포 특유의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집 정보화하여 중추로 전달하고, 중추에서는 ... ...
지맥 단절이 생태섬 만든다
과학동아
l
199310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4백여 군데에 지상 4m 높이로 송유관을 설치한 행동을 우리는
본
받아야 한다. 생태섬에 살고 있는 온갖 생물들은 언제 죽을 지 몰라 노심초사하고 있다. 만물의 영장이라 뽐내는 우리 인간은 그들을 돌보아야 한다. 이유는 자명하다. 생태섬은 우리 인간의 추악한 욕심이 남긴 ... ...
PART 2 PIMS 소프트웨어 7
과학동아
l
199310
PIMS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때 자료 관리뿐만 아니라 많이 이용되는 각종 생활 정보를 기
본
적으로 제공하면 어떨까?필자가 지난 89년 발표한 가정 정보시스템이라는 소프트웨어에서 선을 보인 바 있었는데, 이후 그러한 기능을 가진 소프트웨어를 찾아보기 힘들었다. 그래서 아쉬운 대로 반 쪽짜리 ... ...
우리별 2호
과학동아
l
199309
구조물이 설계되고 제작되므로 지구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른 분야의 구조물과는 근
본
적으로 다르다. 우리별 2호는 이러한 극한 상황을 고려하여 열해석 구조해석 환경시험 등을 거쳐 안정성이 검토된 후 설계 제작됐다. 어떤 장비들이 실려 있나우리별 1호의 촬영장치를 좀더 개선해 우리별 2호용 ... ...
지구과학 - 화석, 지질시대의 기후생물분포 알려주는 자연의 역사책
과학동아
l
199309
여기에 녹은 송진을 붓는다. 송진이 굳기 전에 죽은 곤충과 같이 표면이 비교적 딱딱한 표
본
을 완전히 담근다. 이때 공기 방울이 생기면 달구어진 바늘로 공기 방울을 건드려 쉽게 없앨 수 있다. 송진이 완전히 굳은 후 종이를 떼어내고 모양을 다듬으면 호박 속의 곤충 화석과 같은 모습을 볼 수 있다 ... ...
(1) '절대 시공간 존재하지 않는다' 고전 물리학 근
본
뒤엎어
과학동아
l
199309
아닌 개념이라고? 독자들은 펄쩍 뛸 것이다. 상대성이론은 이러한 시간과 공간의 엉뚱한
본
질에 대한 명확한 해답을 제시한다.이를 쉽게 설명해주는 다음 예를 들자. 어떤 미인 선발대회에서 가장 뛰어난 미인이 선발되었다고 하자. 그런데 이렇게 선발된 미인이 관객에게는 전혀 아름답게 보이지 ... ...
백령도의 조류와 식물
과학동아
l
199309
때라서 물개바위가 간신히 물 위에 보일락 말락 했다. 또 아직은 오전중 이어서인지 어제
본
것처럼 물범이 바위에 누워 있는 모습을 볼 수 없는 것이 못내 안타까웠다. 그러나 떼를 지어 다니는 곳으로 접근해 머리만 내밀고 있는 물범을 볼 수 있었다.고봉포를 출항해 백령도를 한바퀴 도는 데는 ... ...
금성 목성 토성 어떻게 관측하나
과학동아
l
199309
지구의 형제격인 행성들은 밤하늘의 일반 별들과 움직임이 매우 다르다. 그것은 행성들이 태양 주위를 규칙적으로 돌지만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도 항상 움 ... 행성의 운동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알아보았다. 다음달에는 각 행성들에 대한 자료와
본
격적인 관측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 ...
(3) 광전효과로 '빛은 파동인 동시에 입자'라는 양자론 기
본
개념 확립
과학동아
l
199309
있는 확률이 몇%인 것 이외에는 더 상세하고 확실한 것을 알 수 없다는 것이 양자론의 기
본
개념이기도 하다. 마치 주사위 놀이를 할 때 1이 나타날 확률이 1/6이지만 막상 주사위를 던지고 나면 1에서 6까지 숫자중 어느 숫자 하나가 나타나는 것처럼 전자 역시 그 위치를 확인하면 마찬가지 결과가 ... ...
이전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