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d라이브러리
"
기능
"(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쿠루병 감염 원인 식인 행위로 추정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프리온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이다. 일반적인 단백질은 3차원 구조가 변형되면 대부분
기능
을 상실한다. 그러나 프리온은 구조가 변형되면 주변에 있던 정상 프리온도 자신과 같은 형태로 변형시킨다. 즉 바이러스처럼 스스로를 복제하는 것이다. 이렇게 변형된 프리온은 뇌세포를 파괴해 인간에게는 ... ...
뜨거운 지방에 사내아이 많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이 결과는 온도 변화에 매우 민감한 정자의 DNA가 작은 온도 변화로 인해 제
기능
을 잃을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나아가 온도 상승에 의한 불임의 가능성도 예측할 수 있다.정자는 왜 작은 온도 변화에도 변성되거나 생존하기 어려웠을까? 이에 대해 명확히 밝혀진 것은 없지만 아마도 세포예정사에 ... ...
48시간 동안만 재생되는 일회용 dvd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배(胚)의 영역 또는 발생 단계에 따라 정해진 대로 그
기능
을 발현하는 각종 유전자의
기능
이 복합되어 발현된다고 설명한다토양·물·공기·식품 등에 널리 분포하는 간상(桿狀)세균의 하나 그람양성(陽性)이며 호기성·내열성 포자(耐熱性胞子)를 형성하는 것이 특정이다또한 녹말과 단백질을 ... ...
다차원 공간의 외로운 여행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거쳐 안정된 형태로 수렴하면 머리카락 세포나 손톱, 뼈세포, 신경세포 등 특정
기능
을 가진 하나의 세포가 된다. 이들은 잠재적으로 다른 세포가 될 가능성을 자신으로 흡수함으로써 세포의 한 종류로서 이름을 올렸다.생태계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 종의 수는 이론적으로 무한하다. 하지만 이들 중 ... ...
소리 전달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수수께끼로 남아있었다.김 박사는 초파리의 유전자를 조작해 특정유전자의
기능
을 정지(낙-아웃)시키는 실험방법을 이용했다. 이런 방법을 통해 연구팀은 난청유전자에 이상이 생기면 초파리가 소리를 듣지 못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한 난청유전자 정보에 따라 만들어지는 소리변환단백질 ... ...
수줍음은 유전자 탓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때 내향성 판정을 받은 13명과 외향성 판정이 내려졌던 9명 등 20대 성인 22명을 대상으로
기능
성 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를 이용, 뇌 감정중추의 편도체 반응을 테스트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밝혔다. 뇌 속의 감정중추에는 편도체들이 많이 분포돼 있는데, 이 중 특정 편도체들이 수줍음과 내향적인 ... ...
바다의 올림픽 선수 고래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수상했다 현재의 컴퓨터를 발전시켜 궁극적으로 인간과 같은
기능
을 가진 기계를 만들려는 학문 로봇학이라고도 한다 사방정계(斜方晶系)에 속하는 광물이다 사각주상(四角柱狀) 또는 탁상(卓狀) 결정을 이루며 장석과 흡사하지만 광택이 강하고 기름기가 도는 듯이 보인다 ... ...
영화 매트릭스의 세계 실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연결해 가상현실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방식도 가능해질 것이다.2030년 경에는 뇌의 모든
기능
이 완전히 규명되고 뇌공학기술이 더욱 발전해 완전몰입형 가상현실의 질이 극대화될 것이다. 우리의 뇌 안에는 서로 통신하면서 뉴런(신경세포)들과 정보를 교환하고 인터넷에도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 ...
3 근육 단백질로 100% 효율의 모터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세계에서 가장 작은 화물차인 키네신 등이 모터 단백질이다. 이들 모터 단백질의 생체 내
기능
을 나노소재로 이용하려는 시도가 꾸준히 이뤄지고 있다. 이 외에도 DNA 자체를 하나의 소재로 개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NA가 갖는 전기적 성질을 이용한 나노트랜지스터가 연구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 ...
롱다리·똘똘이 유전자의 허황된 약속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ELSI 연구는 과학기술부의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 사업단 중 하나인 인간유전체
기능
연구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다. 연구의 총 책임을 맡고 있는 KAIST 사회학과 윤정로 교수는 “지금까지 ELSI 연구의 1단계가 마무리됐다”며 “우리나라 생명공학이 세계적 수준인 만큼 이에 걸맞는 ‘ELSI’의 ... ...
이전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