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반
기본
토대
근본
근거
터전
밑바탕
d라이브러리
"
기초
"(으)로 총 3,427건 검색되었습니다.
디베이스 프로그램의
기초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MENU이상과 같이 이번호에서는 디베이스에서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해 알아두어야 할
기초
적인 사항들을 살펴 보았다. 프로그래밍 언어로 새로운 프로그램을 작성한다는 일은 매우 힘든 일이다. 따라서 처음에는 이해가 잘 안되고 과정이 귀찮더라도 계속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다음 호에서는 ... ...
국내 최초의 직업병전문연구소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research) 성격을 갖기 때문에 곧바로 일반인들에게 성과가 돌아가지는 못하겠지만
기초
연구를 쌓아나간다는 자세로 일하려 한다”는 것이 연구원들의 공통적인 의견. 종합연구기관으로 대학의 개별적인 연구결과를 연결시켜주는 것도 이 연구소의 중요 역할이다.정호근소장은“직업병연구소는 ... ...
기이한 거인상과 암벽화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방문했던 우주인을 그린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몇가지 근거를 대고 있다.수학적
기초
와 역학지식이 정확히 활용된 거대한 데이터뱅크인 이집트 ‘기자’(Giza)의 피라미드나 현대기술로도 건설할 수 없다는 표고 2천4백m나 되는 높은 곳에 건설된 남미 ‘매추피추’의 고대 건축기술. 누가 어떤 ... ...
인간의 수명한계는 115~120년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표2)는 미국의 저명한 심리학자이고 노인학 학자인 ‘다이아나 우드럼’박사의 저서에
기초
를 둔 것으로, 많은 사람들의 호응을 받고 있다. 시험삼아 오늘의 시점(연령, 성별)에서 자기의 경우를 대입시켜 자신의 여명이 얼마나 되는가를 알아보고 생명유지에 무엇이 나쁘고 무엇이 좋은 점인가를 ... ...
인공장기 시대를 여는 신소재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개발하기 위하여서는 재료와 생체의 상호작용 및 재료에의 생체기능 부여에 관한 많은
기초
연구가 필요하고, 생명과학 재료공학 전자공학 및 화학공학의 여러학문이 복합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초기에 생체재료는 적당한 천연재료나 다른 동물의 재료를 이용하였으나, 근래에는 목적에 맞는 ... ...
아메리카 들소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캐나다의 삼림지대에서도 살고 있는데 이것을 특별히 캐나다 들소라고 부른다.15세
기초
아메리카를 탐험한 스페인 사람은 대평원을 횡단하면서 발견한 들소떼를 두고 “커다란 소들이 마치 ”물고기떼와 같이 군집해 있어 그 장대함은 어디에도 비길 데 없을 정도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 그 ... ...
식민통치와 한국의 과학발전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능동적으로 도전할 수 있는 위치에 올라서고 있다.우리는 이 중요한 시기를 맞아 특히
기초
과학발전을 포함하여 과학 기술진흥에 모든 국력을 쏟아 우리의 후세에게 다시는 후진국이라는 쓰라린 유산을 물려주지 말아야 하겠다 ... ...
수퍼컴 개발 「해프닝」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성과위주의 과장발표가 사라지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과학기술의 발전은
기초
부터 차근차근 축적되는 것이므로 인력과 돈의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가능한 것이지 하루아침에 획기적인 성과가 나올 수 없다는 것. 이와 함께 정확한 확인절차도 거치지 않은 채 과장보도를 ... ...
첨단과학기술의 주춧돌이 되기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운동과는 무관하고 태양시 보다 훨씬 정밀정확한 원자시계(atomic clock)가 개발되어 이를
기초
로한 '원자시'(atomic time)를 생성할 수 있게 되었다.그리하여 초에 대한 정의는 1956년 이전에는 평균태양일의 86400분의 1을 1초로 정의하여 사용해 오다가 1956년 제10차 국제도량형 위원회(CIPM)에서 "초는 ... ...
소련·루마니아·불가리아 과학기행 특색있는 제도와 내용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冬基)학기, 2월 15일~6월~30일까지의 춘계(春季)학기로 나뉘어져 있다. 처음 2년간은 공대
기초
과목을 배우고, 다음 3년간은 전문분야를 이수하게 된다. 5년간 강의를 매주 30여시간 이상 듣고 매학기마다 4~5차례 시험을 치른다. 졸업을 하려면 20~35과목을 이수하고 4천5백~5천5백시간을 강의받아야 하는 ... ...
이전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