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반
기본
토대
근본
근거
터전
밑바탕
d라이브러리
"
기초
"(으)로 총 3,427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양·중국 전통과학의 한계 왜 제자리 걸음만 했나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비교해보자.중국 전통사상에서 기는 세상의 모든 사물을 구성하고 모든 현상을 일으키는
기초
였다. 그러나 기는 서양의 물질의 개념과는 달랐다. 그것은 물질 비물질의 구별없이 모든 사물을 구성하고 모든 현상을 일으킬 뿐 아니라, 불활성(不活性)인 서양의 물질과는 달리 운동을 하는 능력을 그 ... ...
TV과외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려면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점이다. 공부는 당연히 학교수업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실제로 학생들은 학교수업에서
기초
학력은 물론이요, 대입학력고사의 고난도(高難度)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학과 실력까지도 갖출 수 있다.학교수업에 게으른 학생이 이 TV수업으로 대학에 갈 수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학교수업에서 ... ...
대학컴퓨터기술연구소 설립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주축으로 4백명 규모로 설립될 예정이다.연구소의 위치는 서울대 전자계산소내로 하며
기초
연구부 신기술연구부 응용연구부 교육지원부 등 5개 부서를 두고 연구분야로는 ▲컴퓨터아키텍처 ▲시스팀소프트웨어 ▲데이타베이스 ▲인공지능 ▲병렬처리 및 분산처리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등을 ... ...
이상희 과학기술처 장관 "10만 양병이 절실한 시점입니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율곡선생의 10만 양병설이 받아들여졌다면 임진왜란은 아예 없었을지 모릅니다. 적어도 전국토가 초토화되는 피해는 없었을 것입니다. 전세 ... 먹고, 배아프면 진통제를 복용하지요. 그러나 이는 임시방편일 뿐입니다. 몸에 탈이 나면
기초
체력이 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 ...
TDX-1B개통을 계기로 본 국산 전자교환기의 역사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결정되었고, 77년 이를위해 한국통신기술연구소(KTRI)가 KIST에서 분리 독립됐으나
기초
연구단계에 머물러 본격적인 개발작업은 80년 이후로 이뤄지게 된다.81년 체신부가 전전자교환기 개발을 중점과제로 선정하고 제5차 5개년계획 기간중 2백40억원을 투입키로 결정하면서 국산 전자교환기 'TDX'개발은 ... ...
제2세대 우주왕복선과 극초음속 여객기개발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짐을 우주정거장에 보낼 수 있게 설계되었다.일본과 소련 등에서도 2세대 우주비행기의
기초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1987년 일본의 항공우주기술연구소(NAL)는 수평으로 이착륙하는 서독의 젠거형태의 우주비행기에 대한 개발계획을 발표했다 ... ...
천문연구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천체의 관측과 기록에서 다른 어느 민족보다 뛰어난 업적을 남겼음을 알 수 있다.15세
기초
세종때에 이미 한국인은 일식 월식과 행성운동을 정확히 계산할 수 있었다. 또 1년의 길이를 365.2425일, 1달의 길이를 29.530593일로 거의 정확하게 측정, 달력의 계산에 활용했다.천문학은 옛부터 '제왕(帝王)의 ... ...
옛 쥬크박스·시계등 세계적인 수집붐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등 미국과 서유럽제국의 명품들에 대한 향수가 엄청난 이익을 남기는 장사의
기초
가 되고 있는 것이다.사진에 보이는 사람은 뉴욕에 사는 건축기사 '존 존스톤'씨(47)이다. 그는 어렸을 때 식당이나 기타 오락장소에서 보고 들은 쥬크박스(동전을 넣으면 음악이 나오는 기계)를 고물상에서 보고 ... ...
오랜 전쟁에 시달리다 통일된 나라 베트남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통일베트남이 탄생했다.강 사이에 있는 나무그늘의 도시 하노이 19세기 말부터 20세
기초
에 가로수를 따라 세워진 별장풍의 건물이 줄지어 있는 하노이. 덜컹덜컹 흔들리는 전차와 자전거를 탄 무리만 빼면 하노이 중심부는 프랑스의 지방도시를 많이 닮았다. 언뜻보면 이 도시의 거리는 프랑스 ... ...
기초
과학 육성 1백만명 서명운동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제시하는 것도 설득력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모처럼 과학기술인들의 한목소리로
기초
과학연구의 절실함을 외치고 있는만큼 그 파문이 지난날처럼 '용두사미'로 끝나지않고 뚜렷한 결실을 맺기를 기대해본다 ... ...
이전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