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반
기본
토대
근본
근거
터전
밑바탕
d라이브러리
"
기초
"(으)로 총 3,427건 검색되었습니다.
제2세대 우주왕복선과 극초음속 여객기개발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짐을 우주정거장에 보낼 수 있게 설계되었다.일본과 소련 등에서도 2세대 우주비행기의
기초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1987년 일본의 항공우주기술연구소(NAL)는 수평으로 이착륙하는 서독의 젠거형태의 우주비행기에 대한 개발계획을 발표했다 ... ...
동양·중국 전통과학의 한계 왜 제자리 걸음만 했나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비교해보자.중국 전통사상에서 기는 세상의 모든 사물을 구성하고 모든 현상을 일으키는
기초
였다. 그러나 기는 서양의 물질의 개념과는 달랐다. 그것은 물질 비물질의 구별없이 모든 사물을 구성하고 모든 현상을 일으킬 뿐 아니라, 불활성(不活性)인 서양의 물질과는 달리 운동을 하는 능력을 그 ... ...
책임자 바뀐 세계보건기구(WHO)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말러'씨가 이끈 WHO는 '서기 2000년까지 모든 사람에게 보건혜택을', '모든 개발도상국에
기초
의약품 공급을' 등의 구호에서 엿볼 수 있듯이 인권 및 인류애적 차원의 노력을 한껏 기울여 왔다.또한 각 부서의 재량권이 존중된 서구식 분권 운영방침을 지켜왔다. 그런데 '나까지마'씨가 총장이 되면서 ... ...
천문연구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천체의 관측과 기록에서 다른 어느 민족보다 뛰어난 업적을 남겼음을 알 수 있다.15세
기초
세종때에 이미 한국인은 일식 월식과 행성운동을 정확히 계산할 수 있었다. 또 1년의 길이를 365.2425일, 1달의 길이를 29.530593일로 거의 정확하게 측정, 달력의 계산에 활용했다.천문학은 옛부터 '제왕(帝王)의 ... ...
개관 1년 앞둔 제2국립과학관 한국과학기술사를 재현한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6평 규모로 마련된다.자연과학은 지구과학 수학 물리 화학 생물의 5개 분야로 구분하여
기초
과학전반에 관한 내용을 1층에 전시할 예정인데, 전시면적은 3백95평 정도. 기술분야는 화력전기터빈 변압기 원자로 방사능계측기 등 에너지이용과 관련된 실물 및 모형과 각종 전화기 텔렉스 화상전화 ... ...
TV과외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려면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점이다. 공부는 당연히 학교수업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실제로 학생들은 학교수업에서
기초
학력은 물론이요, 대입학력고사의 고난도(高難度)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학과 실력까지도 갖출 수 있다.학교수업에 게으른 학생이 이 TV수업으로 대학에 갈 수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학교수업에서 ... ...
대학컴퓨터기술연구소 설립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주축으로 4백명 규모로 설립될 예정이다.연구소의 위치는 서울대 전자계산소내로 하며
기초
연구부 신기술연구부 응용연구부 교육지원부 등 5개 부서를 두고 연구분야로는 ▲컴퓨터아키텍처 ▲시스팀소프트웨어 ▲데이타베이스 ▲인공지능 ▲병렬처리 및 분산처리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등을 ... ...
옛 쥬크박스·시계등 세계적인 수집붐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등 미국과 서유럽제국의 명품들에 대한 향수가 엄청난 이익을 남기는 장사의
기초
가 되고 있는 것이다.사진에 보이는 사람은 뉴욕에 사는 건축기사 '존 존스톤'씨(47)이다. 그는 어렸을 때 식당이나 기타 오락장소에서 보고 들은 쥬크박스(동전을 넣으면 음악이 나오는 기계)를 고물상에서 보고 ... ...
오랜 전쟁에 시달리다 통일된 나라 베트남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통일베트남이 탄생했다.강 사이에 있는 나무그늘의 도시 하노이 19세기 말부터 20세
기초
에 가로수를 따라 세워진 별장풍의 건물이 줄지어 있는 하노이. 덜컹덜컹 흔들리는 전차와 자전거를 탄 무리만 빼면 하노이 중심부는 프랑스의 지방도시를 많이 닮았다. 언뜻보면 이 도시의 거리는 프랑스 ... ...
병렬처리 컴퓨터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인식 등 특수분야에서 상당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미 선진국에서도 이 분야의
기초
연구에 많은 투자를 시작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연구가 시작되고 있다.지금까지 병렬처리 관련의 여러 응용 및 그에 대응하는 컴퓨터를 살펴 보았다. 그러면 기존의 컴퓨터는 곧 사라지는 것일까? 또는 ... ...
이전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