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끌채
픽
d라이브러리
"
채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전륜과 후륜의 차이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성능을 최대한 살리지 못하는 것이다. 연료 소모가 늘어나는 비싼 장비를 사용하지 않은
채
무겁게 싣고 다니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얘기다.후륜구동방식이나 4륜구동방식 역시 전륜구동방식처럼 언더스티어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노면의 마찰계수가 낮아지는 비나 눈이 오는 날 특히 이런 현상이 ... ...
유해성 유기용제 제거하는 인공돌덩어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부탄올의 이성질체는 부텐(butene)으로 바뀌고 다른쪽 이성질체는 촉매에 잡히지 않은
채
빠져 나갔다. 또 연구팀은 다이시엔화합물에 페닐기를 더하면 반대로 다른 쪽의 이성질체를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현재는 선택적으로 이성질체를 제거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 ...
1년 교과서 교육보다 하루 현장실습이 효과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고봉수학교에서 생물반을 맡고 있는데, 생물실에 새 박제 20여개가 먼지에 쌓인
채
놓여있습니다. 이를 다시 꺼낼 생각입니다. 음지에서 양지로 말이죠.유재선관찰하는 새마다 일일이 그려 정리했습니다. 생물교사로서 새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었는데 앞으로 수업시간에 잘 활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 ...
3. 생물학 교과서 다시 써야 심해생물 1천만종 넘는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새로운 생물체가 약 12개 정도 드러났다. 그래슬박사와 맥치올렉박사는 "표본과 개체를
채
취할수록 종의 숫자는 꾸준하게 늘어만 갔다"고 말했다. 다양성의 수수께끼종이 추가되는 비율을 근거로 그들은 심해에 1억종에 이르는 소형 무척추동물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했다. "대륙붕에서 멀리 떨어진 ... ...
최초의 농사꾼 잎꾼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분비물이나 시체를 썩혀 그 위에다 버섯을 기르는 것과 달리 이 잎꾼개미들은 신선한
채
소 위에 버섯을 키운다.잎꾼개미는 마치 파괴와 부흥을 상징하는 힌두교의 신 '시바'(Shiva)와 같다. 우리나라 시골 마을 어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큰 정자나무 정도의 나무도 일단 잎꾼개미가 덤벼들어 잎을 따기 ... ...
1. 공부방법 달라진 공통과학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너무 어려운 개념과 많은 지식으로 구성돼 있어 학생들은 내용을 이해하지 못한
채
시험을 보기 위해서 암기하는 폐단이 있었다. 그래서 "공통과학은 중학교에서 배운 개념만으로 탐구학습으로 꾸몄다"는 것이 교육부 자연과학편수관실 문수한 연구사의 말이다.공통과학을 잘 이해하고 잘 배우려면 ... ...
합작투자는 물론 다국적 기업도 불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포드(Henry Ford)가 이론적으로 체계화해 현재 자동차 제조공장을 비롯한 많은 공장들에서
채
택된 컨베이어벨트 방식의 분업공정이 바로 그것이다. 연령 따라 간호사 산파 유모 군인 역할이렇게 고도로 조직화된 분업구조에서 어떤 일개미들이 어떤 일을 담당하는지는 종에 따라 다르다. 대부분의 ... ...
제5회 신나는 과학놀이마당 솜사탕도 만들고 DNA도 배열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고등학생이 모두 참가했다. 국민학생은 DNA가 뭔지 이중나선 구조가 뭔지를 모르는
채
"그냥 만드는 것이 재미있어서" 여기에 참가한 것이다. 과학놀이도 좋지만 수준에 맞지 않는 것을 하고 있는 것이었다. 애초 중학교 이상 참가하도록 돼 있었지만 안내가 잘못된 모양이다.과학놀이마당 참가 ... ...
2. 나의 젊은 시절 보금자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학교가 없어진 것도 아니고 졸업생들의 입지가 흔들리는 것도 아니다”라고 했다.
채
박사와 정박사는 자신들의 능력과는 관계없이 취재대상이 되는 것 같다며 훌륭한 동창들이 많다고 귀뜸을 하기도 했다.아직도 해외박사를 선호하십니까 박사학위를 얻고자 하는 학생들은 국내에서 할지, 유학을 갈 ... ...
3. 사용자·프로그래머가 보는 한글코드 문제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연구와 토의를 거쳐 한글 코드의 나아갈 방향과 문제점을 연구하고 의견을 통일한 후
채
택된 안을 과감한 밀고 나가야 한다. 지금도 늦지 않았다. 한글 코드 문제는 우리의 글을 살리고 문화를 계승하는 중요한 일이다. 지금까지의 고통과 낭비를 더 이상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는 현재의 어려움을 ... ...
이전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