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본"(으)로 총 4,025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달리기 명수 타조공룡과학동아 l201503
- 뼈, 공룡의 경우 발가락 위의 긴 발목같이 생긴 부분)과 꼬리의 구조에 있다. 타조공룡은 기본적으로 3개의 긴 중족골을 갖고 있다. 그 중 한가운데 뼈를 제3중족골이라고 부른다. 원시적인 타조공룡류(하르피미무스와 가루디미무스)의 제3중족골은 앞에서 봤을 때 위에서 아래까지가 모두 보인다.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바이오이미징이 우리나라 먹여 살릴 겁니다”과학동아 l201503
- 기술 중 MRI의 장점은CT나 X레이보다 MRI는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MRI의 기본 원리는 물속 수소원자가 자기장에 반응하는 것인데, 우리 몸의 70%가 물입니다. 맘만 먹으면 뇌 속 동맥, 정맥, 뉴런(신경세포) 등 거의 모든 곳을 뇌를 열지 않고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상용화된 MRI 종류만 10가지가 ... ...
- 새 학기 맞이 수학 체질을 바꿔드립니다!수학동아 l201503
- 분수 때문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분수를 잘 안다고 자만하지 말고, 이번 기회에 기본 개념을 확실히 알고 가자!폴리아 교수가 발견술을 중심으로 문제 해결 방법을 발표했을 때, 당시 수학교육자들은 체계적으로 잘 정리된 질문과 내용에 박수를 보냈다. 하지만 그로부터 꽤 오랜 시간이 흘렀기 ... ...
- [참여] 혼자만의 상상이 모두의 눈앞에 국립과천과학관 무한상상실수학동아 l201503
- 만들 수 있다.다음 과정은 슬라이싱(편뜨기)이다.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3D 프린팅은 기본적으로 아래에서부터 재료를 쌓아올려 물건을 만든다. 따라서 모델을 얇은 면으로 잘게 편뜨는 과정이 필요하다. 감자와 감자칩을 떠올려 보면 이해가 쉽다.이제 얇은 면을 차곡차곡 쌓는 일만 남았다. 인쇄 ... ...
- PART 2. 기상천외한 해킹기술 5과학동아 l201502
- 대로에 들어서는 지점과 서울 톨게이 트 같은 분기점이 라우터다.라우터를 통과하는 기본 단위, 그러니까 운전자가 ‘패킷’이다. 패킷에는 실제로 서버에 전달하려는 정보(과학동아), 출발지와 최종 목적지(용산, 해운대)가 적혀있다. 만약 서울에서 발생하는 모든 패킷이 지나가는 라우터를 ... ...
- [Life & Tech] 막춤의 5가지 비밀과학동아 l201502
- 정신과 환자, 정신지체 및 신체장애 환자들에게 춤을 이용한 치료를 적용해왔다.치료의 기본 원리는 춤을 통해 내 마음의 상태를 알아내는 것이다. 몸을 자유롭게 움직이는 과정에서 스스로 어떤 감정과 느낌, 생각들이 떠오르는지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몸치라고 주눅들지 말고 ... ...
- [Life & Tech] 제1회 SW 마에스트로 골든벨 “나도 스티브 잡스에 도전할래요”과학동아 l201502
- 참가자와 멘토는 ‘아두이노 보드’라는 장치를 사용해 LED 전구에 문구를 새기는 기본적인 프로그래밍을 함께했다. 아두이노 보드란 값싼 오픈소스 플랫폼의 기초적인 임베디드 시스템이다. 학생들은 자신이 원하는 격자 종이에 그리고 싶은 모양을 그리고, 그것을 컴퓨터 언어로 바꾸는 과정을 ... ...
- 무척추동물의 뇌는 모두 닮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02
- 성분이 동일한 단백질(DC0, Leo, CaMK2)로 돼 있었어요. 모든 무척추동물의 뇌 구조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는 사실을 알아낸 거죠.스트로스필드 교수는 “무척추동물의 동일한 뇌 구조는 약 600만 년 전 이들이 하나의 공통 조상으로부터 분화돼 진화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밝혔어요. 연구팀은 앞으로 ... ...
- PART 1. 미국은 왜 북한을 지목했나과학동아 l201502
- 차이나 유니콤 같은 중국 통 신사를 반드시 거쳐 가야 한다. 이런 큰 통신사들은 기본적으로 디도스를 막는 기술을 가지고 있다. 디도 스 공격이 오는 회선을 아예 다른 곳으로 돌려버리거 나, 쓰레기 정보를 차단시키면 어렵지 않게 막을 수 있 다. 그럼에도 북한이 계속 당하는 것은 중국 정부가 ... ...
- [Hot Issue] DRC휴보II 올해 6월 DRC 우승 노린다과학동아 l201502
- 두 발로, 혹은 변신기능을 갖춰 네 발로 걸을 수 있게 만들었다. 하지만 약점이 있었다. 기본이 연구용이다 보니 힘이 약했다. 결국 대회에서도 발목이 고장나면서 전체 16개 팀 중 11위에 그쳤다. 1월 중순 KAIST에서 만난 DRC휴보2는 완전히 새로 태어난 로봇이었다. 연구팀은 설계부터 다시 시작했다.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