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본"(으)로 총 4,025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투어] 불교문화 속 띠군을 찾아~ 태국으로!수학동아 l201501
- 네 가지뿐입니다. 평행이동, 회전, 반사, 미끄럼반사지요.또한 대칭을 포함하고 있는 기본 조각을 또 다시 결합해 좌·우 반복이 되도록 띠를 만들면 그 띠는 다시 7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아무리 복잡한 문양을 가진 띠도 대칭성으로 분류한 7가지 유형을 벗어날 수 없다는 ... ...
- 산타도 깜짝 놀란 착한 과학 선물어린이과학동아 l201424
- 비추고, 표본을 통과한 빛이 렌즈에 확대된 상을 맺어 그 상을 우리 눈으로 보는 것이 기본 원리죠. 2000배율에 100분의 1mm까지 볼 수 있답니다. 여기에 자외선을 비춰 형광을 내는 원리를 이용한 형광현미경과, 상을 스크린으로 볼 수 있는 투사형 현미경, 광물의 얇은 조각을 관찰할 수 있는 ... ...
- 꿰뚫어 보는 지하철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416
- 뒤 지하철의 화재를 막는 방법이 늘어났어요. 전동차, 승강장 같은 주요 설비와 구조물은 기본적으로 불에 타지 않은 재료인 ‘불연재’나 잘 타지않는 ‘난연재’를 써서 만들어요. 또 각 객차마다 화재감지센서와 소화기를 달아서 화재가 나자마자 바로 처리할 수 있도록 했답니다.이뿐만이 ... ...
- 무한도전 멤버도 몰랐던 카레이싱 사이언스어린이과학동아 l201413
- 2.25배, 시속 200㎞에서는 4배의 효과가 있답니다. 레이싱 특급 비법 ➍ 추월하기추월의 기본은 안쪽을 파고드는 전략이에요. 차 두 대가 나란히 달리고 있으면 코너를 돌 때 먼저 안쪽을 차지해야 앞서 나갈 확률이 커요. 만약 코너를 돌다가 서로 부딪치더라도 코너 안쪽에 있는 차는 원심력이 ... ...
- 월드컵 유니폼의 충격 고백 “전 플라스틱 조각이었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412
- 먹고 남은 하얀 용기도, 심지어 부스럭대는 비닐봉지도 모두 재활용이 가능하다고요. 기본적으로 페트병처럼 모아서 재질에 따라 분류한 뒤 부수는 과정을 거쳐서요.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을 걷는 플라스틱의 또 다른 변신을 살펴볼까요?비닐류HDPE복합재질, 필름 포장재라면이나 과자가 담겨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수학동아 l201412
- 그때 필요한 게 바로 ‘공리’다. 진리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할지라도 기본적인 가정을 명확하게 밝히는 과정에서 공리는 나타난다. 웬만한 사람이면 당연하다고 받아들일 만한 명제 몇 개를 설정하고 공리라 부른다. 그때부터 더 이상 그것에 대해서 ‘왜’라는 질문을 안 하기로 ... ...
- 똑 소리 나는 교관 ‘대충하지 마림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12
- 왠지 조금 떨리는데….”미션1 군인의 기본자세, 제식훈련“지금부터 군인이 가져야 할 기본자세인 제식훈련을 하도록 하겠다!”군인은 단체로 행동한다. 구령에 맞춰서 절도 있게 걷는 훈련부터 다시 배운다.“앞으로 가! 좌향 앞으로 가! 우향 앞으로 가! 뒤로 돌아 가! 우향 앞으로 가! 제자리에 ... ...
- 주머니 속 동전 줄이기!수학동아 l201412
-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배쳇 문제로 만든 [1, 5] 체계와 [1, 2, 5] 체계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기본수 체계인 [1, 5] 체계와 [1, 2, 5] 체계가 화폐의 액면 체계로 쓰이고 있다. [1, 5] 체계는 1, 5, 10, 50, 100, 500 등 액면가의 앞자리 수로 1과 5가 번갈아 나온다. 마찬가지로 [1, 2, 5] 체계는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과학동아 l201412
- 고리가 보인다. 이 고리를 따라가는 방향을 ‘토로이달’ 방향이라고 한다. 플 라스마는 기본적으로 이 방향으로 돈다. 반면 도넛을 반으로 뚝 쪼개어 옆으로 보면, 작은 원이 보일 것이다. 이 원의 원주 방향을 ‘폴로이달’ 방향이라고 한다. 플라스마에 이 방향으로 추가 자기장을 걸어주면 ... ...
- [knowledge] 지도를 4가지 색만으로 칠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12
- 실제로 과학에서 가설은 실증을 통해 비로소 진리가 될 수 있다. 수학은 다르다. 사유를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머릿속에서 시뮬레이션하는 ‘사고실험’이 중요하다고 본다. 물리 현상을 탐구하는 게 물리학이고 화학 현상을 탐구하는 게 화학인데, 수학은 현상 자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머리로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