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세계"(으)로 총 5,53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알파크래프트’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04
- 게임은 인공지능이 참여할 수 있는 것 중 가장 목표가 명확하고 결과를 객관적으로 알 수 있는 분야다. 때문에 인공지능 연구가 처음 시작된 1950년대부터 지금까지 많은 연구자들이 게임 인공지능에 도전했다. 처음에는 두 사람이 번갈아가면서 직접 플레이하는 보드게임이 주된 공략대상이었다. ... ...
- [Knowledge] 인류세의 시작, 콜럼버스일까 핵폭탄일까과학동아 l201604
- 2000년, 한 지질학 회의에 참석한 노벨화학상 수상자 폴 크뤼천은 계속 심기가 불편해 보였다. 회의 의장이 자꾸만 홀로세(Holocene Epoch)를 언급했기때문이다. 현재를 일컫는 시대가 공식적으로는 1만 1000년 전에 시작한 홀로세인 것은 맞지만, 그는 지금의 지구가 이전과는 반드시 구분돼야 한다고 생 ... ...
- [Tech & Fun] 내 몸을 이루는 미생물에 관심을 가져보세요과학동아 l201604
- 기자에겐 고질병이 하나 있다. 건강 검진을 받으면 모든 항목에서 ‘정상’을 받을 정도로 건강한 편인데, 중요한 시험이나 면접을 앞두곤 예외 없이 배탈이 난다. 과민성 장 증후군이다. 병원에 가봐도 스트레스가 원인이라는 말 이상은 들을 수 없었다. 스트레스가 만병의 원인이라지만, 이 경우 ...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과학동아 l201603
- “매우 흥미로운 이벤트!(Very Interesting Event!)”.2015년 9월 14일 저녁. 필자는 e메일 한 통을 확인했다. 라이고-버고 연구단의 분석팀원인 마르코 드라고(Marco Drago)에게서 온 메일이었다. 메일에는 중력파로 추정되는 신호를 발견했다는 흥분 섞인 메시지가 담겨있었다. 한국중력파연구단의 일원으로, ... ...
- 새와 공룡 너무나 닮은 우리 사이수학동아 l201603
- 만화나 영화에서 본 공룡은 우둘투둘한 피부에 뭐든 물어뜯을 것만 같은 강력한 이빨이 인상적입니다. 깃털을 뽐내며 하늘을 나는 새와 무척 달라 보이지요. 공룡처럼 이빨이 달린 턱, 손톱이 난 세 손가락은 물론 새처럼 깃털도 있는 동물의 화석이 1861년에 발견됐을 때 사람들은 이 동물을 ‘시조 ... ...
- [News & Issue] 스콜레사이트(Scolecite) 인도에서 온 붉은 원숭이과학동아 l201603
- 중생대가 저물어 가는 백악기 말 인도의 남서부, 현재의 뭄바이 인근에서 기록적인 화산 분화가 일어났다. 이 분화는 최소한 3만 년 이상 지속됐고, 여기서 분출된 용암은 현재 남부 인도 면적의 절반인 100만 km2의 넓은 지역을 겹겹이 덮었다.이곳이 현무암으로 이뤄진 데칸고원이다. 한반도 전체를 ... ...
- [지식] 엄상일 교수수학동아 l201603
- 안녕하세요, 엄 교수님. 어떤 연구를 하시는지 궁금해요.저는 그래프 이론★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어요. 박사과정 때 풀기 시작한 알고리듬 난제를 해결한 업적을 인정받아 2012년에 ‘젊은과학자상’을 받았습니다. 그래프 이론과 매트로이드 이론★의 공통점에서 행렬의 계수를 이용하면 된다는 ... ...
- Part 4. 동물실험 안 할 순 없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03
- 실험동물 대체할 ‘오가노이드’동물실험 대신하는 방법으로 ‘오가노이드’가 꼽히고 있어요. 오가노이드는 사람의 장기와 똑같은 기능을 하지만 크기는 작은 ‘미니 장기’를 뜻해요.오가노이드를 만들기 위해선 일단 만들고자 하는 장기에서 세포를 일부 채취해요. 이 세포들을 배양 접시에서 ... ...
- [News & Issue] 사드, 북 미사일 위협 막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03
- 사드(THAAD, 종말단계고고도지역방어) 논란이 뜨겁다. 북한의 4차 핵실험과 광명성 4호 발사를 연료 삼아, 2년 가까이 질질 끌던 한반도 배치 논의가 급물살을 탔다. 급기야 2016년 내 배치될 거라는 예측까지 나왔다. 그러나 정작 한반도에 사드가 필요한가 라는 근본적이고 핵심적인 문제를 두고 찬반 ... ...
- 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과학동아 l201603
- 송준섭(이하 준) 바둑을 이야기하려고 모였는데, 바둑 실력은 어떤가.한보형, 김기응(이하 한, 김) 까막눈이다. (웃음)감동근(이하 감) 바둑을 좋아해서 최근까지도 바둑을 계속 공부하고 있다. 급수로는 ‘아마 5단’이다.알파고를 백만 번 꺾은 최종병기 알파고준 알파고에 대한 프로 기사들의 평가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