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세계"(으)로 총 5,539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사회성의 천재, 붉은털원숭이과학동아 l201601
- 2016년은 ‘붉은 원숭이’의 해다. 이를 기념해 이름도 비슷한 붉은털원숭이를 보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영장류센터를 다녀왔다. 사회성이 뛰어나고, 인류를 위해 수많은 실험을 대신해 준 고마운 존재를 그곳에서 만났다.2016년 붉은 원숭이의 해가 밝았다. 올해는 십이지신 중 원숭이의 해이며 ... ...
- [Tech & Fun]Science Fiction_안개와 더러운 공기 속에서과학동아 l201601
- #1외로운 평원은 글루글로스가 남긴 회색 안개로 젖어있었다. 머나먼산에서 내려온 연보랏빛 바람이 안개를 쓸고 지나가며 아직도 군데군데 남아있는 가로등의 잔해를 슬쩍슬쩍 드러냈다.모두 목이 꺾여 있었고 끄트머리의 발광체는 밀로그리드의 짐승들이 오래 전에 핥아먹어 없었다.멀쩡하게 남 ... ...
- [핫이슈] 잠든 책이 깨어난다! 구스범스어린이과학동아 l201601
- 안녕? 난 잭이야. 얼마 전 작은 마을 ‘매디슨’으로 이사 왔어. 이사 온 첫 날 옆집에 사는 예쁜 헤나에게 반해 버렸지. 그런데 어느 날, 옆집에서 ‘꺄악~!’ 하는 헤나의 비명 소리가 들려왔어. 난 헤나를 구하기 위해 옆집에 숨어들어갔는데, 그만 큰 실수를 했지 뭐야? 책 속에 있던 몬스터들을 깨 ... ...
- [비주얼 과학교과서]'신풍초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01
- “네에?! 말도 안 돼요! 오늘 첫 날이라 몰랐다니까요!”“어쨌든 안 돼! 누구든 지각하면 들여보내지 말라는 교장선생님의 명령이야!”학교 앞에서 한 남자애가 경비아저씨와 실랑이를 벌이고 있어요. 실랑이가 계속되던 차에 뒤쪽에서 목소리가 들려 왔어요. “전학생인 모양인데, 한번 봐주세요~ ... ...
- [지식]SHERLOCK열혈 팬, 천재 수학자를 만들다수학동아 l201601
- 가상의 수학자 ‘제임스 모리아티’19세기 빅토리아 시대에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난 ‘아서 코난 도일’의 추리 소설에는 사설 탐정 ‘셜록 홈즈’와 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군의관으로 일하다 돌아온 의사 ‘존 왓슨’이 등장한다. 알쏭달쏭한 사건을 완벽하게 해결하는 모습은 수많은 팬을 사로 ... ...
- [News & Issue]내가 쓴 화장품이…해안을 더럽힌다고?과학동아 l201601
- 바다 오염의 새로운 골칫덩이가 등장했다. 다름 아닌 미세플라스틱. 이름처럼 크기가 작은 플라스틱으로, 해양 생물의 뱃속을 채우며 생태계를 교란하고 있다.해안을 오염시키는 주범은 미세플라스틱. 미세플라스틱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각질제거제나 치약에 들어있는 미세한 알 ... ...
- Part 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과학동아 l201601
-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 그 내용은 잘 모르더라도 한 번쯤은 들어본 이름이다.하지만 표준모형은 낯설다. 이름을 들어본 사람이 많지 않다.“표준모형이요? 잘 모르겠는데요?”물리학과 대학원에 재학 중인 후배(실험물리 전공)에게 물었더니 이런 답이 돌아왔다. 몇몇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물어봤 ... ...
- 리만가설수학동아 l201601
- 수학 난제 중 가장 어렵고 중요한 문제. 당대 최고 수학자들이 도전했지만 아직 풀리지 않은 문제. 몇몇 수학자의 정신을 앗아간 악마의 문제. 100만달러 상금이 걸린 밀레니엄 문제 중 하나. 1859년 독일의 천재 수학자 베른하르트 리만이 세운 가설. 바로 리만 가설이다. 리만 서거 150주년을 맞아 수 ... ...
- [Tech & Fun]누가 이 고요한 마음에 다시 불을 지피는가과학동아 l201601
- 또 금연 실패다. 친구의 권유로 담배에 손을 댄 지 13년. 그동안 세 번 담배를 끊고 세 번 다시 피웠다. 8년 전, ‘네 입에선 재떨이 맛이 난다’는 그녀의 충격적인 고백에 끊었던 담배는 정확히 300일 뒤 내 손으로 돌아왔다. 5년 전 2차 시도 때는 흡연하는 내 모습을 보고 자신도 담배를 피우겠다는 ... ...
- [Career] 건축학과 공간에 이야기를 입히는 학문, 건축학과학동아 l201601
- 조항만 서울대 건축학과 교수의 책장에는 건축학 서적보다는 디자인이나 인문학 서적이 더 많이 꽂혀 있었다. 조 교수는 “훌륭한 건축가란 공간에 좋은 이야기를 녹여내는 사람이기 때문에 다방면에 관심이 많아야 한다”고 말했다.채연 교수님, 안녕하세요. 건축공학을 전공하고 있는 1학년 채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