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델"(으)로 총 2,338건 검색되었습니다.
- [DGIST@융복합 파트너] 뇌 속 시냅스에서 찾은 뇌질환의 비밀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연구하고 있다. 엄 교수는 “현재 연구를 마무리하고 있고, IQSEC3 단백질의 새로운 작동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새로운 분야인 만큼 어려움도 있다. 사람에게 나타나는 뇌질환의 원인과 치료법을 찾아내는 연구는 실제 사람의 뇌 조직을 이용한 연구가 필수지만, 환자의 뇌 ... ...
- [과학뉴스] 동성애 혐오한 이루다… 편향 없는 AI는 없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딥러닝 모델을 만들 때 편향적인 데이터를 거를 수 있게 하거나, 완성된 딥러닝 모델을 평가해서 보정하는 등 공정한 AI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며 “수학적 기법에 의해 자동으로 만들어지는 AI를 윤리적으로 완벽하게 만드는 건 쉬운 일이 아닌 만큼 효율적인 (학습) 방법을 ... ...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노이즈(noise)’라 불리는 무의미한 데이터를 활용해 결과의 예측도를 높인다”며 “AI 모델과 비교해 뇌 영상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노이즈를 찾는 연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뇌와 AI가 상호보완적으로 소통하고 진보하는 기술을 꿈꾼다”고 말했다. 뇌와 머신러닝 둘 다 공부해야 ... ...
- [층간소음 줄이기 대작전] 소음 측정 방식을 바꿔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초속 2.68m인 것으로 나타났지요. 이를 토대로 풍차처럼 돌려 연속적인 충격력을 만드는 모델을 개발한 거예요.송민정 교수는 “실제로 어린이가 뛸 때의 충격력과, 연달아서 바닥을 가격하는 특징을 나타낸다”며, “이 연구 결과가 어린이용 실내화나 충격을 줄이는 완충재의 성능을 개선할 때에 ... ...
- [긱블X과학동아] 마술 마이크스탠드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으로 가득합니다. 우선 블루투스 모듈로 HC-05 모델을 사용했습니다. 조금 더 최신 모델인 HC-06도 있지만 이 정도를 사용해도 무방합니다.또 모터의 속도와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모터 드라이버도 사용했는데요. 마이크스탠드 전체를 이동시키는 모터는 맨 밑바닥에 있어 하중이 많이 가해지는 점을 ... ...
- 단백질 구조 50년 수수께끼 풀었다, 구글 인공지능 알파폴드2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사용되는 새로운 딥러닝 방법인 ‘어텐션(attention) 매커니즘’을 사용하고, 딥러닝 모델을 설계할 때 단백질 구조 형성에 대한 물리학적 직관을 추가해 이 같은 성능 향상을 이뤘다. 어텐션 메커니즘은 입력되는 정보의 값이 길어질 때 사용자가 선정한 구간별로 전체 입력값을 참고해 정확도를 ... ...
- [신 기후체제] 남은 0.4℃를 지켜라과학동아 l2021년 01호
- 2019년 31개의 기후 모형에 새로운 통계 기법을 적용해 기후변화 예측 모델을 제작했다. 과거 기후에 대한 물리학적 이해를 토대로 각 기후 모형이 내놓는 미래 기후 전망치를 통계적으로 분석했다. doi: 10.1038/s41467-019-10561-x안 교수는 “기후는 굉장히 비선형적으로 반응하는 시스템”이라며 “그 안에 ... ...
- [창간축사] 어수동과 친구 하세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공식을 통해 섬세하고 입체적인 영상으로 탄생할 수 있었으며, 인공지능도 수학적 모델과 최적화 이론을 바탕으로 발전해왔습니다. 가 어린이의 논리적 문제 해결 능력과 수학적 탐구력을 자연스럽게 키우는 좋은 친구가 되리라 기대합니다. 이서윤 초등학교 교사, 교육서 ... ...
- [훈쌤이랑 코딩수다] 인공지능으로 얼굴 속 황금비율 찾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얼굴이 데이터셋이지요. 교육용 코딩프로그램 ‘엔트리’에도 사람 얼굴을 인식하는 모델이 있어요. 인공지능 블록을 활용하면 웹캠에 찍히는 사람이 남자인지 여자인지, 기분은 어떤지, 눈과 코는 어디에 있는지 등을 인공지능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파악해서 알려주지요. 그럼 먼저 인공지능과 ... ...
- 당근 효과는 있어도 채찍 효과는 없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통계학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자료 분석 기법인 선형 혼합 모형 및 로지스틱 회귀 모델에 대입했다. 이 기법들은 여러 독립된 자료들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 수학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도구다.그 결과, 채찍질은 말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채찍질을 한다고 해서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