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으)로 총 8,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Transportation 화성까지 더 빠르게, 더 편안하게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사용하든 지구를 떠날 때보다 화성을 떠날 때 더 수월하다. 화성의 중력은 지구의 약 3분의 1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지구를 떠나올 때는 스타십에 슈퍼 헤비까지 연결해 추력을 얻어야 했지만, 화성을 떠날 때 그럴 필요는 없다. 스타십만으로도 화성 중력을 벗어날 수 있다. 당신이 타고 온 스타십이 ... ...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네, 그래서 이과가 AI 기자와 기사를 써봤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이야기를 창조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이 입을 모아 인간 기자는 AI 기자에게 정보 분석을 맡기고, 이렇게 번 시간을 이용해 깊이 있는 취재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고 조언하는 이유가 여기 있습니다. AI로 대체할 수 없는 기자가 되려면, AI가 대신 할 수 없는 일을 해야 한단 거죠. 비단 ... ...
-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 인간은 실수없이 기계와 대화하고 싶어서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개발자들은 이 같은 실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개발하고자 했다. 덕분에 프로그래밍 언어는 복잡한 소프트웨어를 실수 없이 잘 만들기 위한 방향으로 발전했다. 한 예로 타입 검사 시스템이 언어에 구현되기 시작했다. 타입 검사란 입력 받는 데이터의 유형이 올바른 지를 언어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텅 빈 초경량 금속, 에너지 절약 이끌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주 이번 호를 마지막으로 ‘초(超)재료’ 연재를 마칩니다. 애독해 주신 독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한승전 1990년 부산대 무기재료공학과, 1997년 KAIST 재료공학과를 졸업했다. 1997년부터 한국재료연구원에 재직하며 2002년에는 일본 오이타대 비상근 강사, 2018년과 2022년에는 일본 도호쿠대 ... ...
- [과동키즈] 누구나 자신만의 북극성이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찾도록 용기를 준다면 더 바랄 나위가 없겠죠. 10년 넘게 국민들의 세금으로 뛰어난 분들과 쾌적한 환경에서 공부했어요. 이젠 좋은 기업가가 돼서 삶의 질을 높이고,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며, 세금도 잘 내서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하고 싶어요. 현재 저는 30대 중반인데, 이런 목표를 향해 ... ...
- [SF 소설] 그라비토나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제니는 그것이 재수 없게 한희의 머리 위로 떨어질 거라 생각하지 못했다. 한반도 군사분계선에 떨어졌다는 속보를 들었을 때도 한희가 간 곳은 철원이지 북한은 아니니까, 하고 안일하게 생각했다. 이상한 낌새를 느낀 건 에그가 떨어졌다는 속보가 전해진 지 한 시간이 지났을 무렵이었다. ... ...
- [Biostatistician] 빌 게이츠도 주목한 생물통계학자, 질병과 빈곤의 사슬에 맞선 논할라 옌데-주마수학동아 l2023년 05호
- 받을 수 있도록 재단과 연결시켜주는 등 학업에서 헤매는 일이 없도록 돕는다. 덕분에 그들 중에서도 현재 논할라 연구원처럼 CAPRISA에서 일하거나 대학에서 통계를 전공하는 학생이 나왔다. “사실 남아공의 많은 여자 어린이는 에이즈의 위험에 쉽게 노출돼 있습니다. 이러한 질병과 사회적인 ... ...
- [Space Math] 지구 밖으로 나간 AI, 우주 정착 앞당긴다!수학동아 l2023년 05호
- AI 이용하는 인간의 통찰력이 중요 최근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결과를 만들어내는 ‘생성형 AI(인공지능)’가 화제다. 대화형 AI로 유명한 ‘챗GPT’ ... 역사상 처음으로 지구 궤도를 벗어난 사례다. 이 AI는 카메라에 잡힌 달 표면 영상을 즉시 분석해 위험 장소를 피해 안전하게 주행한다 ... ...
- 열심히 벼농사를 지어봄 '천수의 사쿠나 히메'과학동아 l2023년 05호
- 고생 끝에 첫 농사를 마무리했습니다. 추운 겨울, 밥을 지어 가족들과 나눠 먹으니 기분이 이렇게 따뜻할 수가 없습니다. 농사를 잘 지은 만큼 사쿠나의 능력치도 올라서, 다음 해 사냥에 도움을 주지요. 게임에서 몬스터 사냥만큼 벼농사가 중요한 이유입니다.농사의 만족감을 알려주는 게임, ... ...
- [DGIST@융복합파트너] 민들레와 얼룩말을 본딴 미래전자소자연구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때 불규칙성과 무작위성을 활용한 소재 개발 연구에 바로 착수했더라면 복제 방식 기술 분야에서 선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 김 교수는 주변에 연구 아이디어를 자문했는데 모두 냉담한 반응을 보여 마음을 접었다고 한다. 먼 길을 돌아 자신의 연구를 하고 있는 김 교수는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