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착
고착
안정
붙박이
불변
부착
붙바기
뉴스
"
고정
"(으)로 총 1,01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공기로 빵을 만든 사람
2022.03.31
수도 있다. 또는 콩과 식물 등의 뿌리에 존재하는 뿌리혹박테리아는 질소 분자를
고정
시킨다. 그러나 이런 자연적인 과정에만 맡겨두기에는 인간에게 필요한 농작물을 키우기에 턱없이 부족하다. 이를 해결하려면 인위적으로 비료를 만들어서 공급해야 한다. 그런데 맬서스가 한때 경고했듯이 ... ...
점액으로 기도 막히는 천식, 근원 치료 가능해졌다
연합뉴스
l
2022.03.30
막기 위해 'SP9'으로 명명된 '탄화수소
고정
펩타이드'를 디자인했다. 이런 유형의
고정
펩타이드는 단백질 표적과 단단히 결합하는 특성을 보여 암 치료제 등으로 사용돼 왔다. 흡입이 가능한 에어로졸형으로 개발된 SP9은, 제휴 기관인 스탠퍼드 의대 연구팀의 재구성 시스템 모델에서 Ca2+가 ... ...
[탄소중립 연속기고] 이산화탄소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
2022.03.27
비점오염원(NPS)으로 온실가스 포집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 실제 이들 고농도의
고정
된 온실가스 배출원은 전세계 배출량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나머지는 대기 중으로 직접 배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당연히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선 지금까지 관심 밖의 대상이던 저농도 비점오염원에서 ... ...
[과학게시판] DNA메모리·바이오닉 슈트 등 미개척 융합기술개발 공모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3.2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DNA메모리, 옷 안에 착용가능한 바이오닉 슈트 등 미개척분야 핵심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미래유망 융합기술 ... 넣고 전계를 걸어 비눗방물 모양의 구조물을 만든 뒤 외부를 다공성 하이드로젤로 채워
고정
해 50일 이상 형태를 유지했다 ... ...
일본 후쿠시마 앞바다 규모 7.4 강진…원전 냉각장치 작동 중단되기도
동아사이언스
l
2022.03.17
매긴다. 서 있기가 불가능한 7이 최대다. 진도 6강은 기어가야 이동할 수 있는 상황이고
고정
되지 않은 가구가 대부분 움직이고 넘어진다. 도쿄 시내에서도 진도 4의 흔들림이 관측되고 2~3분가량 건물이 크게 흔들린 것으로 알려졌다. 오사카 등 간사이 지역에서도 흔들림이 관측됐다. 수도권인 ... ...
끈적이는 홍합 단백질 모방해 해수전지 성능 4배 높이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3.13
집전체와 각각 맞닿는 계면에서 상호작용 힘이 강할수록 촉매와 집전체가 단단하게
고정
된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최지은 에너지화학공학과 석박통합과정 연구원은 “수중 접착력이 강력한 데다 탄소 부식이나 촉매 탈착 같은 문제점도 해결한 소재”라며 “해수전지와 마찬가지로 물을 전해질로 ... ...
[인터뷰] "빛이 예술과 과학의 다리가 될 때"
과학동아
l
2022.03.12
계속되고 있다. 책과 강의 외에도 KIST가 수림미술관과 함께하는 프로젝트에도 3회째
고정
멤버로 참여하고 있다. 미술가와 과학자가 6개월간 함께 작품을 만드는 이 프로젝트에서 그는 과학과 미술 사이의 다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다양한 활동을 통해 그동안 딱딱하게 느껴졌던 과학적 ... ...
나사 "통가 화산재 58㎞ 상공까지 치솟아…역대 최고기록"
연합뉴스
l
2022.03.07
기둥을 관측한 자료를 이용해 높이를 분석했다. 하나의 물체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볼 때
고정
된 배경에 맺히는 물체의 겉보기 위치가 달라지는 '시차효과'(parallax effect·視差效果)를 이용한 것이다. 나사 랭글리 연구센터 콘스탄틴 클로펜코프 박사는 "두 위성이 다른 각도에서 관측한 데이터로 ... ...
‘누리호’ 6월 15일 우주 향해 재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2.02.25
버틸 수 있다고 했는데 어느 수준의 가속도 압력까지 견디도록 설계한 것인가. (
고정
환 본부장) “계산된 하중의 1.5배까지 견딜 수 있도록 검증했다.” ... ...
1m 크기 대형 원전 부품 제작 가능한 3D 프린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24
소스와 스캐너 두 세트를 나란히 연결하는 ‘병렬확장 기술’을 개발했다. 한곳에
고정
된 레이저 소스는 거울처럼 반사하는 특성의 스캐너를 거쳐, 가로 0.5m, 세로 0.5m 면적에 빛을 고루 전달한다. 레이저 소스와 스캐너가 각각 2개씩 설치돼 가용 범위가 가로 기준 1m로 늘어난 것이다. 레이저 소스와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