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말썽
문제
분쟁
소동
뉴스
"
물의
"(으)로 총 557건 검색되었습니다.
폭염 속 전기 없어도 시원한 빌딩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9
팬 교수는 2017년 이 연구를 더 진전시켜 같은 원리로 광 복사냉각 장치 표면을 흐르는
물의
온도를 주변 기온보다 낮추는 시스템도 개발했다. 현재 팬 교수와 동료들은 ‘스카이쿨시스템즈(Skycoolsystems)’라는 회사를 창업해 광 복사냉각 장치의 상용화를 준비중이다. 팬 교수는 “건물 내부의 열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빙하, 예상보다 2배 이상 빨리 녹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8
교수는 "빙하에 얼음이 얼마나 많이 저장돼 있는지에 따라 용융 시 흘러나오는
물의
양이 달라진다"며 "바닷물과 얼음의 경계를 더욱 중점적으로 연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2016 8월부터 2017년 5월까지 알래스카의 남동쪽에 있는 조수빙하인 르콩트 글라시에가 녹는 패턴을 연구했다. 그 결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잉크 안 쓰는 컬러프린터를 만들다
2019.07.02
공기(n1)와 기름막(n2) 경계에서 반사되는 경로->D)와 굴절돼 기름막을 통과한 뒤 기름막과
물의
경계에서 반사되는 경로(A->B->C)의 차이가 파장의 정수배일 때 보강간섭이 일어난다(오른쪽). 기름막의 두께(d)가 유동적이기 때문에 보강간섭을 일으키는 파장(색)이 순간순간 바뀐다. 위키피디아 제공 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킬로그램, 130년 만의 전진
2019.06.27
달라지기 때문이다. 같은 질량의 물이라도 높은 온도에서 대체로 부피가 커진다. 다만
물의
부피가 최소가 될 때는 섭씨 0도가 아니고 4도이다. 부피가 최소이므로 밀도(=질량/부피)는 최대이다. 1889년 제1차 도량형총회에서는 미터와 마찬가지로 금속덩어리를 하나 만들어서 1킬로그램으로 정의했다. ... ...
환경부 "인천 수돗물 사태원인은 무리한 관로 전환"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또 밸브 조작 단계별 수질변화에 대한 확인계획은 수립하지 않았으며, 공급되던
물의
탁도가 0.6NTU로 수질기준인 0.5NTU를 초과했으나 별 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또 평상시 공촌정수장에서 영종지역으로 수돗물을 공급할 때는 자연유하방식을 택했으나 이번 수계전화시에는 역방향으로 ... ...
내년 대선 앞둔 美서 '딥페이크' 기술에 대한 경고 잇따라
연합뉴스
l
2019.06.14
제작 때 인공지능의 적절한 활용을 촉진할 정책을 빨리 개발하고 동영상이나 음성 녹취
물의
진위를 검증할 기술의 개발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와 민주주의에 대한 위협뿐 아니라 미 기업에 닥칠 잠재적 위험에 대한 경고도 나왔다. 메릴랜드대 법학교수 대니엘 시트론은 ... ...
바다밑 미지를 스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7
때문에 이들 보존을 위해 정확한 지형 정보가 필요하다. 험준한 해저는 해류의 행동과
물의
수직 혼합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전문가들은 또 미래의 기후 변화를 예측하는 모델을 개선하는 데 정확한 해저지형도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지구 주위로 열을 이동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 ...
“인간 지구력의 한계는 평상시 신진대사율 2.5배”
동아사이언스
l
2019.06.07
운동 선수들이 얼마나 많은 칼로리를 소모했는지 알아보기 위해 선수들이 마시는
물의
양을 기록하고 이를 일반 수소와 산소로 환산한 뒤 희귀동위원소인 중소수와 산소-18로 바꿔 분석했다. 이 동위원소가 소변이나 땀, 호흡에서 얼마나 제거되는지 화학적으로 추적해 선수들이 생산하는 ... ...
5G·우주인터넷 내세운 통신업계, 천문·기상학계와 한판대결 벌어지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5.28
호주 플린더스대 천문학 교수는 포브스와 인터뷰에서 “전파천문학자들은 인공위성이
물의
스펙트럼 선을 포함하는 대역인 10.7~12.7기가헤르츠(㎓)에서 전파를 전송하는 것과 관련해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우주에서 물을 찾는 연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전파천문학자들은 ... ...
'작은 지진도 다시보자' 포항지진 조사단 새 지열발전 위해관리법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19.05.24
동아일보DB 이 단장은 “기존에는 발생할 수 있는 유발지진의 규모가 땅속에 주입하는
물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고 알려져 있었다”며 “이를 바탕으로 그동안 땅속에 물을 넣다가 특정 규모의 지진이 나면 물 주입을 줄이는 식으로 위험을 관리하는 기술인 ‘신호등체계(TLS)’를 전 세계가 써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