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말썽
문제
분쟁
소동
뉴스
"
물의
"(으)로 총 557건 검색되었습니다.
[기본단위 재정의]한국도 질량·전류·온도 단위 재정의에 기여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8
표준연은 켈빈 재정의를 위한 노력에도 참여하고 있다. 온도표준인 켈빈은 과거
물의
온도변화를 기준으로 삼았는데, 새롭게 만든 기준에선 ‘볼츠만 상수’를 그 기준으로 삼는다. 이런 이유로 정확한 볼츠만 상수를 도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표준연은 이 과정에서 국제적으로 불일치가 ... ...
[기본단위 재정의] 4개 기본단위는 왜 새로운 기준이 필요했나
2018.11.18
삼중점 상태의 온도도 달라진다. 이 때문에 국제도량형위원회는 온도를 정의하기 위한
물의
동위원소 비율까지 정의하기에 이르렀다. 이번에 새로 바뀐 온도의 정의는 물질이나 임의의 상태가 아니라 변하지 않는 물리값인 상수를 바탕으로 한다. 열역학에서 중요하게 사용되는 볼츠만 상수가 ... ...
지구온난화 시대에 뜨는 직업 '농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1.17
수 있습니다. 연구에 참여한 워싱턴대의 샤론 도티 교수는 2016년에 식물이 미생
물의
도움을 받으면 가뭄과 같은 나쁜 환경에서 잘 견딜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도티 교수는 중력이 작은 공간에서도 미생물이 식물에서 잘 성장할지 확인할 예정이에요. 지금까지 ISS에서 여러 농업 실험이 ... ...
물로 수소 만드는 고효율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1.12
개발했다. 실험결과 이 소재는 수소새산 반응을 높이는 효과가 더 뛰어났다.
물의
산성이나 염기성 농도가 높아지면 효율이 떨어지는 백금 촉매와 달리, 대체로 일정한 성능을 보였다. 더구나 촉매 표면에 불순물이 생기는 것을 막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확인했다. 백 교수는 ... ...
‘HD촉감’으로 가상현실 더 실감나게!
동아사이언스
l
2018.11.12
프라이팬에 푼 계란을 붓는다. 계란을 젓는 일도 촉감이 필요하다. 젓는 속도에 따른
물의
저항감과 끈적끈적한 느낌이 전달돼야 한다. 류제하, 지솔근 GIST 교수팀은 액체와 기체 등 유체를 아주 작은 입자의 집합으로 해석해 입자 사이의 힘과 속도, 위치 등을 계산하고, 유체의 움직임을 재현하는 ... ...
"어디라야 안전할까" 美-EU 화성 탐사 로버 착륙지 놓고 '고민'
동아사이언스
l
2018.11.08
있다. 전문가들은 철과 마그네슘으로 이뤄진 점토층에서 고대 화성에 살던 미생
물의
흔적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2012년 8월 화성 적도 남쪽 게일 분화구에 착륙한 미국의 로버 큐리오시티는 화성 표면에서 생명체의 먹이로 사용됐을지 모를 무기질 성분을 ... ...
“화성 흙 지구로 보내라”… 2년후 발사할 탐사로봇에 특명
동아사이언스
l
2018.11.05
APXS와 함께 카메라와 현미경, 적외선 분석 장비 등을 갖추고 있었다. 스피릿은
물의
흔적을 다수 발견해 과거 화성이 지금보다 매우 습했음을 증명했다. 또 화성 표면에서 먼지바람이 생겨나고 사라지는 과정을 촬영해 화성 대기의 구체적인 정보를 처음 알렸다. 오퍼튜니티는 토양을 면밀히 ... ...
커피얼룩은 왜 고리모양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11.02
움직임, 온도 등을 연구한 결과, 진한 커피일수록 증발이 느려지며 그 속도 비율은 남은
물의
양의 제곱근에 정확히 비례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김 연구원은 “복잡한 현상에 숨은 단순한 규칙성을 발견하고 크게 놀랐다”고 말했다. 커피 자체의 특성을 밝힌 것도 흥미롭지만, 디스플레이 등을 ... ...
[과학게시판] 국립과천과학과 10주년 기념 특별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국립과천과학관 제공 ■ 국립과천과학관은 11월 1일부터 개관 10주년 기념 특별전 '과학의 실패' 개최한다. 지구 중심의 우주관인 천동설과 ... 등 원자력 유관기관 및 출연(연) 연구인력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고준위방폐
물의
안전한 처분을 위한 URL의 구축 및 운영 방안 등을 논의했다. ... ...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2038년 포화. 지하처분 연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저장·보관할 때는 부식되지 않도록
물의
온도와 불순물 농도 등을 제어하는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다. 사진은 프랑스 국영 원자력그룹 아레바가 라하그 지역에 건설한 재처리 시설. - Areva 국내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하고 있는 사용후핵연료는 각 원전에서 임시저장시설을 구축해 보관하고 있다.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