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번식
생식
개량
부양
사양
돌보기
배양
뉴스
"
사육
"(으)로 총 340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려동물 1000만 시대, 개와 고양이의 과학 ②] 먹이에 대한 본능은 정반대
2016.02.03
정도 유지하고 있다. 웨스 워렌 미국 워싱턴대 유전체연구소 교수는 고양이를 “반(半)
사육
상태의 동물”이라고 말했다. pixabay 제공 워렌 교수팀이 길들여진 고양이와 고양이과 야생동물의 유전체를 비교 분석한 결과 집고양이에게서 나타나는 미각(TAS2R3 등)이나 시각·청각(MYO7A 등)과 관련 ... ...
우리나라 바다를 지킨다! 국립수산과학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1.29
- 현수랑 기자 hsr@donga.com 제공 뱀장어 치어. - 현수랑 기자 hsr@donga.com 제공 생물
사육
동 맞은편에는 또 다른 건물이 있어요. 이곳은 ‘뱀장어양식동’이에요.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겨 먹는 민물장어인 뱀장어를 더 많이 먹을 수 있도록 연구하는 곳이지요. 국립수산과학원은 뱀장어를 ... ...
[책의 향기]세상에 단 하나뿐인 룸메이트를 소개합니다
동아일보
l
2016.01.23
찾아가 해양 동물원 ‘문도 마리노’에서 들은 펭귄의 생태도 감동적으로 다가온다.
사육
사는 “펭귄은 무리 동물이기 때문에 한 마리만 방사하면 결국 살지 못한다”는 얘기를 들려준다. 저자는 후안을 구한 뒤 다른 해변에 놓아주려고 했지만 후안은 끝까지 자신을 따라왔다. 그때 후안의 행동이 ... ...
[부산/경남]울산 고래생태체험관서 새끼 1마리 추가 폐사
동아일보
l
2016.01.07
3일 만에 죽어 폐사 사실을 공개하지 않았다”고 털어놨다. 이로써 체험관 개관 7년 동안
사육
중이거나 출생한 새끼 돌고래 등 총 5마리가 죽었다. 체험관을 관리하는 남구도시관리공단은 새끼 돌고래가 태어나면 낙동강유역환경청에 출생 신고를 해야 하지만 이를 어긴 것으로 드러났다. ... ...
붉은원숭이가 사는 그곳, 국가영장류센터에 가다
2016.01.03
필요한 원숭이를 더욱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전북 정읍시에 영장류를 번식시키고
사육
해 국내에 공급하는 ‘국가영장류자원센터’를 건립 중이다. 이 센터는 2017년 문을 열 예정이다. 허 선임연구원은 “정읍 국가영장류자원센터에서는 원숭이를 가족 단위로 묶어 기르는 등 복지에 더욱 ... ...
야생마 화려한 무늬에 숨은 ‘출생의 비밀’ 풀었다
2015.12.27
초원에서 말이 눈에 덜 띄도록 하는 위장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던 무늬를 가진 말과
사육
된 말에게서 갈기 털의 색소 분포를 분석했다. 그 결과 던 무늬 말의 갈기털에는 색소가 고르게 분포하지 않고 길이에 따라서도 어두운색 색소 분포 정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유전자 ... ...
폭력과 테러, 인류의 숙명일까
과학동아
l
2015.12.01
하지만 짐승은 쉽게 동종을 해치지 않는다(인간의 이익을 위해 싸움닭이나 투견으로
사육
되는 경우는 제쳐두자). 동물에게 죽음은 곧바로 먹는 행위와 연결되기 때문이다. 동물은 오직 먹기 위해서 먹잇감을 찾아 죽이는데, 그 먹잇감은 자신과 같은 종이 아니다. 버펄로를 사냥한 사자. 동물의 ... ...
너구리는 단일종? 지역마다 다르다네!
2015.11.18
적응하면서 형태와 유전적 측면 모두 다른 방향으로 진화해 온 것”이라며 “동물원 등
사육
과정에서 특성이 보전되고 잡종화가 이뤄지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학술지 ‘린네학회 생물학 저널(Biological Journal of Linnean Society)’ 8월 20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토요스케치] 엄마 아빠 장점만 골라 닮았네, 토종돼지의 ‘점프’
2015.11.08
등 외래종이 본격적으로 도입됐기 때문이다. 외래종 돼지는 뛰어난 생산력을 바탕으로
사육
이 확대됐고 토종 돼지를 기르는 농가는 점차 줄어들었다. 그 결과 1960년대 이후에는 순수한 토종 돼지는 한반도에서 찾아보기 어렵게 됐다. 설 곳을 잃은 토종 돼지에게 다행히 부활의 기회가 찾아왔다. 198 ... ...
[인간은 과식할 준비가 돼 있지 않다] 삼시 세끼 꼬박 챙겨먹고 간식, 후식, 야식까지?
과학동아
l
2015.10.30
먹는다. 잡식동물의 특성이라는 얘기다. 반면 소 같은 반추동물은 늘 사료가 주어지는
사육
환경에서도 한번에 많이 먹은 뒤 하루 종일 입을 우물거리며 되새김질을 한다. 야생 동물은 음식을 늘 접하지 못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음식을 먹는 빈도가 적다. 잡식동물이 자주 배고픔을 느끼는 건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