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번식
생식
개량
부양
사양
돌보기
배양
뉴스
"
사육
"(으)로 총 340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에 답이 있다! 바이오재료의 세계
2015.04.07
여러 마리를 두면 서로 잡아먹기 때문이다. 또 살아있는 먹이만 먹는 것도 문제다. 설사
사육
에 성공한다고 하더라도 거미는 보통 대여섯 가지 유형의 거미줄을 만들기 때문에 원하는 유형만 골라내는 것도 문제다. 한마디로 거미가 만드는 거미줄로는 답이 없다는 말이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 ...
GMO 수입량 꾸준한 증가세… 지난 해 1000만 t 넘어
2015.03.03
소폭(4.7%) 증가한 84.5%였으며, 연구개발에 대해서는 긍정적(70.8%)이지만 실제 재배(37.2%)나
사육
(20%), 수입(20.2%)에 대해서는 낮은 찬성률을 보여 부정적인 인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장호민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장은 “이같은 통계 조사가 GMO에 관한 국내외 주요 기초정보를 제공하고, ... ...
[HOT100]“생명과학이 미래” 쥐
사육
장에서 30종의 쥐를 길러…
동아일보
l
2015.02.16
큰 혜택을 받고 있다”고 자랑했다. 최신 동물실험실(12개방)을 갖춘 생명과학부는 쥐
사육
장에서 30종의 쥐를 직접 길러 각종 실험에 사용하고 있다. 생명과학부는 교내 산학협동관 안에 벤처기업공간을 제공해주며 재학생 때부터 창업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대표적인 성공사례가 은행열매 ... ...
서울서도 AI… 설 대이동 앞두고 방역 비상
동아일보
l
2015.02.09
예찰과 방역 활동에 큰 어려움이 있을 것 같다”고 밝혔다. 식용이 아닌 ‘애완용’ 조류
사육
인구가 많은 것도 문제다. 판매상이나 애호가들이 AI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한 채 유통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일단 가장 큰 피해가 예상되는 동물원은 아예 잠시 문을 닫거나 관람객의 조류사 출입이 ... ...
우유 마시는 사람은 '어른아이'
2015.02.04
모른 채 우유와 아이스크림을 맛있게 먹고 있습니다. ● 인류와 우유, 젖소의 공진화
사육
되는 젖소들. 목축업과 우유는 사람의 유전자를 바꿨고, 다시 사람은 가축 젖소를 변화시켰다. 젖소와 사람 모두 1만 년 사이에도 진화했다. - BMC 진화생물학 제공 지난 1만 년 동안, 인류는 어른이 돼서도 ... ...
개에서 AI 바이러스 검출, 폐사한 오리 먹었다가 코로 들어갔을것으로 추정
동아닷컴
l
2015.02.03
AI 바이러스가 검출된 사례는 지난해에도 있었다. 당시 천안의 한 AI 발생 농가에서
사육
중인 개들은 AI에 감염된 후 H5형 항체가 형성된 상태였다. 항체가 검출된 것은 체내에 AI 바이러스가 침투했지만 면역체계가 바이러스를 이겨냈다는 뜻이다. 개에서 AI 바이러스 검출/동아일보DB 동아닷컴 ... ...
국내 최고령 ‘생쥐 장수촌’에 가다
2015.01.16
못했다”며 “작은 오염에도 늙은 쥐는 쉽게 죽을 수 있는 만큼 대통령이 방문해도
사육
실엔 들어갈 수 없다”고 말했다. 생쥐 한 마리당 가격은 월령(月齡)에 따라 다르지만 100만 원을 훌쩍 넘기도 한다. 워낙 애지중지 키운 덕분에 고령임에도 털이 빠지지 않고 윤기까지 흘러 대부분 ... ...
전국 뒤 흔든 구제역은 ‘변종’, 백신 효과 없나
2015.01.11
항체생성률이 81.3%인 의성 농장에서도 구제역이 발생했기 때문. 방역당국은 이 지역
사육
돼지 16마리에 대해 혈청검사를 한 결과 13마리에서 백신 항체가 형성된 것으로 나왔다. 정부는 구제역이 확산되자 정부는 대안으로 현재 사용 중인 백신 접종률을 100%까지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현재 ... ...
“생태계 보호로 남북이 평화 이루기를…”
2014.11.25
최재천 국립생태원장은 “제인 구달 박사가 지난해 불법으로 포획된 뒤 수족관에서
사육
된 돌고래 제돌이를 제주도 바다로 돌려보내는 데 큰 도움을 줬다”며 “제인 구달 박사가 운영하는 제인구달연구소에서 전세계 수족관의 돌고래들을 바다로 돌려보내는 운동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
유럽 고병원성 AI ‘한국 전파설’ 제기
2014.11.19
설명했다. 송대섭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유럽이 우리나라와 달리 밀접
사육
을 하지 않고 방역 능력도 더 우수한 편이기 때문에 유럽 전역으로 폭발적으로 번질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고 말했다.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