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뉴스
"
억제
"(으)로 총 2,926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do감] 청각 잃은 모기, 짝짓기 흥미도 잃어
동아사이언스
l
2024.11.07
수컷과 짝짓기를 하면 자손을 퍼트릴 수 없다. 하지만 이 기술만으로는 개체 수가 충분히
억제
되지 않는다. 연구팀은 “청각이 짝짓기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과 TRPVa가 청각에 관여한다는 점은 이집트숲모기뿐 아니라 다른 모기 종에서도 유사할 것”이라며 “수컷 모기의 청각 장애를 일으키는 ... ...
면역항암제 안듣는 난치성 뇌종양 치료길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06
시행하면 치료의 효과가 높아질 것이란 설명이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는 면역관문
억제
제를 이용한 뇌종양 치료 임상 실패를 극복하는 방법 중 하나를 찾을 것"이라며 "뇌종양 외 다른 난치성 종양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암 면역 치료 ... ...
AI가 설계한 '인공 단백질'이 신약으로 빛 보려면
동아사이언스
l
2024.11.05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것이다. 단백질 결합제(바인더)는 질병 발생 경로를 활성화하거나
억제
하는 약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24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인 데이비드 베이커 미국 워싱턴대 교수는 ‘알파프로테오’와 같은 생성형 AI 프로그램을 통해 실질적으로 단백질 결합제를 생성했다. ... ...
감마나이프 수술, 희귀 뇌종양에 '종양
억제
효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11.04
신경초종 환자는 47명, 설하신경 신경초종 환자는 13명이었다. 세부적인 질환별로 종양
억제
효과가 나타난 비율은 각각 약 91.5%, 92.3%였다. 전체 하부 뇌 신경초종 환자 60명의 감마나이프 수술 후 무질병 1년, 2년, 3년 생존율은 각각 96.5%, 91.5%, 89.0%였다. 연구팀은 또 평균 53개월 추적 관찰 기간 후 ... ...
수소 1kg당 1달러 시대 앞당기는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04
상태가 변하거나 내구성이 빠르게 저하된다는 점이다. 연구팀은 이같은 이리듐의 반응을
억제
하기 위해 셀레늄(Se)을 촉매에 첨가해 문제를 해결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촉매를 상용화된 수전해 설비에 적용해 실험을 진행한 결과 이리듐 사용량을 기존의 20분의 1 수준으로 줄인 촉매만으로 기존 ... ...
코앞으로 다가온 美 대선…트럼프 지지 뇌는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24.11.02
가끔 빨간 원이 등장하기 때문에 이때 참가자들은 습관적으로 버튼을 누르려는 행동을
억제
해야 하죠. 연구 결과 진보주의자들은 No-Go 반응에 예민하게 반응해 버튼을 누르지 않고 잘 참는 것으로 나타났고 보수주의자일수록 변화에 둔감하게 반응해 No-Go임에도 버튼을 자주 누르는 것이 ... ...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 QD-LED 성능 끌어올려…가상현실 활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4.10.31
데 성공했다. 기존 나노입자 표면에 수산화마그네슘(Mg(OH)2)을 추가로 처리해 결함 생성을
억제
한 것이다. 소자에 주입된 전하 대비 소자가 방출하는 광자(빛의 입자)의 비율인 외부양자효율이 향상됐다. 임 교수는 "대한민국 12대 국가전략기술 중 하나인 차세대 초실감 디스플레이에 양자점 기술이 ...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 대폭 향상…20.4%→24.0%
동아사이언스
l
2024.10.31
페로브스카이트와 유기 벌크 이종접합(BHJ) 간의 에너지 장벽을 완화하고 전하 축적을
억제
했다. 이를 통해 전류 밀도를 1cm(센치미터) 당 4.9mA(밀리암페어) 향상하는 데 성공했다. 다이폴 층은 소자 내 에너지의 준위를 조절해 전하의 수송을 원활하게 하고 계면의 전위차를 형성해 소자 성능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로마테라피가 과학일까
2024.10.30
흥분
억제
물질인 가바를 분비하면 가까이 있는 뇌섬염 글루타메이트성 뉴런의 활성을
억제
한다. 바로 통증 신호를 전달에 관여하는 뉴런이다. 그 결과 통증에 둔감해진 것이다. 이번 실험으로 정유의 향기 성분(분자)이 비후각적으로 직접 작용하는 게 아니라 후각을 통해 작용하면서도 뇌의 통증 ... ...
피부 아래 췌장 조직 심어 당뇨병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4.10.29
제작이 가능해 임상 적용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도 확인됐다. 또 면역 반응을
억제
하는 항섬유화 약물을 이식체 안에 넣어 국소 전달할 수 있어 동물의 췌도를 사람에게 이식하는 이종 췌도 이식 분야에서도 잠재력을 보였다. 현재 췌도 이식은 주로 자가 췌장이나 장기 기증자의 췌장에서 분리된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