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뉴스
"
억제
"(으)로 총 2,823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빠른 증식' 이유 찾았다…약물 재창출 가능성도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7.03
폐 병변이 현저히 완화된 모습을 보였다. 기존 치료제를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병
억제
목적으로 용도 변경하는 '약물 재창출' 가능성이 확인된 것이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신호 전달 및 표적 치료’에 5월 게재됐다 ... ...
초기 알츠하이머 신약, 美 FDA 승인…"큰 기대보단 과도기로 생각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7.03
뇌 신경세포 단백질을 타깃으로 한다. 정맥주사를 통해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응집을
억제
해 인지능력이 저하되는 시점을 지연시킨다. 격주로 투여해야 하는 레켐비와 달리 키순라는 월 1회 투여하면 된다는 장점이 있다. 레켐비와 달리 베타아밀로이드가 제거된 뒤에는 투약을 중단할 수도 ... ...
모기의 '흡혈 욕구' 조절 호르몬 찾아…뎅기열 전파 차단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보였다. 또 피를 먹은 뒤 생성되는 RY아미드 호르몬은 NPF의 활동을
억제
하고 인간 유인을
억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RY아미드와 NPF가 모기의 행동과 번식을 조절하는 주요 인자"라며 "호르몬을 통해 모기의 흡혈 행동을 막고 모기 매개 질병 전파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 ...
생물의 행동 진화, 세포의 유전자 발현만으로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연구팀은 해당 효소가 선충의 신경아교세포(Glial cell)에서 발현되면 히치하이킹 행동이
억제
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또 닉테이션 행동이 자주 일어날수록 선충의 번식에 유리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닉테이션이 드물거나 잦도록 하는 염기서열 모두 예쁜꼬마선충에 오랜 시간 함께 존재했다는 사실도 ... ...
지방세포, 줄기세포로 되돌려 비만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1
렙틴 발현의 전사 조절 기전이 밝혀진 사례다. 렙틴은 지방세포에서 만들어져 식욕을
억제
하고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는 핵심적인 대사체계 조절 호르몬이다. ... ...
선풍적 인기 비만치료제, 체중감소 원리 세계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쥐의 이런 행동을 GLP-1 수용체가 활성화되면 배부름이 유발되고
억제
되면 배부름이
억제
되는 것으로 해석했다. 최 교수는 이번 연구가 “쥐와 사람의 특성을 잘 이용해 중개 연구 방법 자체가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사람은 자신의 심리와 증상을 직접 알려줄 수 있지만 직접적인 신경 조작이나 ... ...
생존율 낮은 전이암 촉진하는 단백질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6.26
자연살해세포의 기능이 활성화되고 암 전이가 효과적으로
억제
될 뿐만 아니라 면역관문
억제
제의 치료효과도 더욱 증가했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HPK1 조절이 실제 전이암 환자 치료에 유망한 표적임을 확인했다. 연구를 이끈 김헌식 교수는 “고령화와 조기검진 등으로 암 경험자가 늘어나면서 ... ...
중증 뇌전증 환자에 세계 최초 뇌내 이식술…"발작 80% 감소"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이식술을 받았다. 게티이미지뱅크 심한 뇌전증을 앓고 있는 영국의 10대 환자가 발작을
억제
하기 위해 세계 최초로 뇌내 이식 수술을 받았다. 뇌 깊숙한 곳까지 전기신호를 보내는 신경자극기를 이식받은 환자는 낮에 발생하는 발작 증상이 80% 줄었다. 25일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 ...
손가락 땀에서 항생제 검출…"내성균 관리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등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환자에 따라 항생제로 치료할 수 있다. 균의 성장이나 발육을
억제
하고 사멸하는 항생제는 비교적 단기간에 치료 효과를 낼 수 있지만 장기간 복용하면 내성균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많은 종류의 항생제 영향을 받지 않고 균이 증식하게 하는 항생제 내성균은 ... ...
[과기원NOW] 신경세포 연결의 숨은 지휘자, MDGA 단백질의 비밀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24
MDGA 단백질 기능을 배제한 정교한 쥐 모델을 활용했다. 실험 결과 MDGA1 단백질이 삭제되면
억제
성 시냅스의 숫자와 강도가 증가하고 MDGA2 단백질이 삭제되면 흥분성 시냅스의 특성이 증가하는 것을 발견했다. 고재원 교수는 "논란이 많았던 MDGA 단백질 기능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최초의 논문"이라며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