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스페셜
"
위치
"(으)로 총 1,280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선시대 문헌 '택리지' 염전 기록으로 한반도 해수면 취약성 확인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26
1872년 지방지도에 나온 곰소만 해역. 곰소만 줄포항 앞바다의 깊이가 21척(4.37m)인 것으로 표기돼 있다(하얀색 동그라미). 역사지도에는 수심이 거 ... 9월 27일자에 게재됐다. 전북 고창군 곰소만 해역의 1530년에서 1750년 사이 염전의
위치
가 800m 가량 변동이 있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 ...
한미 공동 연구팀 개발 자율주행차 사물 인식기술 국제대회서 1위
동아사이언스
l
2021.10.26
ETRI 연구진이 자율주행 객체 분할 및 추적 기술을 시연하고 있다. ETRI 제공. 한국과 미국 연구진이 공동 개발한 자율주행 차량용 사물 인식 ... 다양한 환경 속에서도 성능이 뛰어난 기술”이라며 “교차로나 도로 위 차량, 보행자들의
위치
를 정확하고 빠르게 인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누리호 발사대로 이동 기립…내일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10.20
엄빌리칼 타워에 연결돼 곧 연료와 산화제도 주입된다. 기상청에 따르면 발사대가
위치
한 전남 고흥은 구름이 많으나 바람이 강하지 않은 것으로 예보됐다. 정확한 발사 시간은 발사 당일의 온도나 습도, 압력 등을 고려해 결정될 예정이다. 2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누리호는 이날 오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초파리에게 간헐적 단식을 시켜보니
2021.10.19
971년 생체시계 돌연변이 초파리를 발견한 벤저와 코놉카는 염색체에서 per 유전자가 있는
위치
를 알아내는 데서 그쳤다. per 유전자의 실체(염기서열)는 1980년대 다른 연구자 세 사람이 밝혔고 이 업적으로 이들은 2017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벤저와 코놉카는 이미 세상을 떠난 뒤였다. per ... ...
[프리미엄 리포트]발사 카운트다운 앞둔 누리호 개발의 숨은 주역들
과학동아
l
2021.10.16
비행 중에 추력을 조절할 수 있어 위성 등 연구 목적으로 주로 사용된다. 위성을 정확한
위치
에 보내는 것은 위성의 수명과도 직결되는 일이다. “2007년부터 나로호 프로젝트와 별개로 한국형 발사체 엔진을 연구하기 시작했어요. 각종 엔진 부품, 가스발생기, 수소펌프 등 하나씩 만들어갔습니다. ... ...
[우주산업 리포트]위성 애용자 미군도 탐낸다는 초저궤도 위성
2021.10.15
대기 부유물질이 많다. 고속으로 움직이는 위성이 이러한 부유물질과 충돌하면 위성의
위치
는 수시로 불규칙하게 변하게 된다. 이런 불규칙한 변화는 적의 위성에 대한 공격을 어렵게 한다. 세 번째 장점은 초저궤도 자체에 있다. 현재 초저궤도에는 상시적으로 떠있는 인공물체가 없다. 때문에 ... ...
17일 전국 한파 덮친다 '아침 기온 1도'…서울 10월 중순 첫 한파특보
동아사이언스
l
2021.10.14
북극의 찬 공기가 채울 것으로 전망된다. 한반도 북부 시베리아 쪽 고도 5~6km 상공에
위치
한 공기의 온도는 영하 40도보다 낮아 한겨울 공기와 비슷한 수준이다. 이 공기가 한반도로 남하하면서 한반도 상공에 영하 25도의 찬 공기가 들어찰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아열대고기압과 찬 공기 사이 ... ...
태양계 50억년 뒤 '미래' 백색왜성 도는 목성급 행성 첫 발견
연합뉴스
l
2021.10.14
WD1856 b가 발견돼 학계에 보고됐지만 공전주기가 1.4일로 항성이 백색왜성이 된 뒤에 현재
위치
로 이동해 약 2.8 AU 떨어진 궤도를 도는 MOA-2010-BLG-477Lb와는 의미가 다른 것으로 지적됐다. 태양과 같은 주계열성은 진화 마지막 단계에서 핵의 수소 연료를 모두 태우고 부풀어 올라 적색거성이 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GMO는 안 돼도 GEO는 된다?
2021.10.14
얻은 돌연변이 4500여 개체를 하나하나 조사했지만 불운하게도 GAD3 유전자의 딱 맞는
위치
에서 변이가 일어난 건 없었다. 표적을 지정해 건드리는 유전자편집 기술이 얼마나 효과적인 방법인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물론 작물 재배 과정에서도 수시로 돌연변이가 일어나고 어쩌다가 GAD3의 반응 ... ...
블랙홀이 뱉은 제트가 가던 길 멈춘 이유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13
나가면서 그 끝을 알 수 있는 열점의
위치
도 블랙홀로부터 점점 멀어졌다. 그러던 열점의
위치
가 2016년 7월부터 2017년 말까지 좁은 영역을 맴돌며 정체돼있는 현상이 포착했다. 연구팀은 제트가 뻗어 나가던 도중에 매우 높은 밀도의 가스를 만나 더 뻗어 나가지 못하고 멈춘 것처럼 보이는 것이라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