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곱"(으)로 총 231건 검색되었습니다.
- [상수의 탄생10] 고전물리학의 균열을 메운 보어과학동아 l201511
- N이라 하면, 백열전구에서 1초당 나오는 빛 에너지는 빛알 하나의 에너지에 개수를 곱한 값과 같다.백열전구에서 나오는 빛의 에너지를 2W, 파장을 500nm정도로 어림해서 계산하면, 1초마다 나오는 빛알의 수는 무려 1032개가 넘는다. 빛을 띄엄띄엄한 입자모임으로 파악하기가 어려운 이유다 ... ...
- Part 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과학동아 l201509
- 계산하는 방법이다. 상수, 함수의 합과 차, 곱과 나누기는 물론 함수의 거듭제곱과 거듭제곱근 등을 미분하는 법칙도 공식화했다. 현대적인 기호인 dx와 dy 등도 라이프니츠의 발명품이다.유한이자 무한한 양이 도대체 뭐요?뉴턴이 역학 연구로부터 미분법에 도달했을 때, 거기에는 ‘끝없이 ... ...
- 수학은 죄가 없다 수학 교실을 재밌게!수학동아 l201509
- ’도 마찬가지다. 영어의 ‘Prime Number’(주요 수)를 직역한 것이다. 모든 자연수를 소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소수는 자연수를 구성하는 주요 수라는 뜻이다. 박 교수는 “수학 용어가 생소하게 느껴지는 건 언어 자체의 문제라기보다 그 용어가 만들어진 이론적·역사적 배경을 ... ...
- [Life & Tech] 전자 하나의 전류도 측정한다과학동아 l201507
- 수밖에 없었다.사실 정답은 간단했다. 전류는 전자 하나의 전하량(e)과 주파수( f )의 곱이다. 주파수는 매우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그렇다면, 전자 하나의 전하량을 상수로 보고, 전선을 통과하는 전자의 개수만 정밀 측정하면 된다. 그리고 드디어 때가 왔다.전자 하나만 흘려보내는 펌프“이 ... ...
- [지식] 냄새를 보는 행렬수학동아 l201505
- 얼굴인지 찾아내요. 이 기법을 써서 눈, 코, 입 사진이 성분인 행렬(W)과 어떤 행렬(H)을 곱해야 완전한 몽타주(V)가 나오는지 찾을 수 있어요. 찾아낸 행렬(H)은 서로 다른 눈, 코, 입 사진을 어떻게 겹쳐야 하는지를 나타내요. 컴퓨터가 얼굴을 인식하는 원리, 참 쉽죠? 비음수 행렬 분해기법은 ... ...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수학동아 l201412
- 두 물체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며, 그 힘은 두 물체의 질량의 곱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고 말했다. 두 물체의 질량이 무거울수록 그리고 가까울수록 인력이 강하다는 의미다. 하지만 만유인력의 법칙만으로는 설명하지 못하는 현상이 속속 나타났다.이 문제를 해결할 다른 이론이 ... ...
- Part 3. 총성 없는 전쟁, 사이버테러수학동아 l201411
- 기호로 대응시킨다. 그리고 이 기호를 곱셈 꼴로 변환하면 암호가 완성된다. 이 암호는 곱셈의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아 암호 해독이 어렵다.➌ 양자 암호빛 입자를 이용하는 암호다. 빛 입자(단일광자)는 ‘중첩’이라는 성질에 의해 동시에 0과 1이 될 수 있다. 그런데 이때 외부에서 관측을 하면 ... ...
- [시사] 물질의 수 체계수학동아 l201411
- 다음 관계들을 쉽게 보일 수 있다. 7월호에서 설명했듯이 디락은 2차 미분연산의 제곱근을 찾는 다음 방정식을 풀어야만 했다. 여기서 변수는 A, B, C, D인데 결국 그들은 A²=1, B²=C²=D²=-1과 AB+BA=AC+CA=AD+DA=BC+CB=BD+DB=CD+DC=0을 만족해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보통 수로는 해가 불가능한 이 방정식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공간의 대수수학동아 l201410
- 다차원 공간으로 확장됐다. W.K 클리퍼드는 이 연구에 기초해서 기하 대수의 일종의 ‘제곱근’을 내포하는 클리퍼드 대수이론을 개발했다. 이런 종류의 신기한 기하학은 폴 디락에 의해 페르미언 입자들의 구조적 연구에 적용되어, 결국은 20세기 후반부터 ‘초대칭성’ 이론의 기반으로 진화했다 ... ...
- 차세대 레이저 가속기과학동아 l201409
- 더 이상 가속시킬 수 없게 된다. 가속되는 입자의 에너지는 전기장의 세기와 가속 거리의 곱에 비례한다. 즉 전기장을 강하게 만들 수 없다면 거리를 늘리는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현존하는 고에너지 선형가속기들은 크기가 작게는 수백m, 크게는 수km까지 커졌다. 포항에 건설되고 있는 4세대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