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곱"(으)로 총 231건 검색되었습니다.
- 3000℃에서 녹아내린 아이언맨의 새 슈트과학동아 l201306
- 이온화하는 입자 양을 늘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추진력은 입자 수와 입자 속도의 곱으로 구한다. 아이언맨 정도의 크기로는 가속을 아무리 시켜도 입자 수가 너무 적다는 설명이다.원작 만화의 작가는 이런 사실을 알았는지 ‘반중력 장치’를 아이언맨에게 달아줬다. 그러나 반중력 장치가 ... ...
- 구구단 필요없는 최고의 곱셈 왕은 누구?수학동아 l201305
- 제 곱셈 알고리즘을 이용하면, 시간이 훨씬 줄어들어요. 이 점을 꼭 참고해 주세요.곱셈 알고리즘 등장카라추바 알고리즘은 러시아의 수학자 아나톨리 알렉세예비치 카라추바가 1960년에 발견한 것으로, 컴퓨터에서 계산을 빠르게 하기 위해 고안된 알고리즘이다 ... ...
- 로미오와 줄리엣도 깜짝 놀란 매스 연애조작단수학동아 l201303
- 합의 법칙에 의해 5/6다. 그런데 A가 등장할 확률은 1/10이므로, 구하고자 하는 확률은 곱의 법칙에 의해 5/6×1/10이다.마찬가지 방법으로 A가 8번째에 등장할 때 결혼할 확률은5/7×1/10이고, 9번째는 5/8×1/10이고, 10번째는 5/9×1/10이다. 지금까지 계산한 모든 확률을 더하면 의뢰녀가 앞으로 A와 결혼하게 될 ... ...
- '레버 휠체어' 어떤 지형에서도 달린다!과학동아 l201302
- 내가 가하는 힘의 크기와 회전중심에서 내가 레버를 잡고 있는 곳까지의 거리의 곱이니까. 그렇겠네요. 같은 힘이라도 레버를 길게 잡으면 돌림힘이 커지니까 거친 곳도 잘 빠져나가고, 짧게 잡으면 돌림힘은 작아져도 빠르게 회전시킬 수가 있으니 빨라지겠네요.쌤> 물리 시간에 제대로 공부했군요 ... ...
- 사건 X-파일 사라진 수학자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206
- 이용해 RSA 암호 체계를 만들었다. RSA 암호 체계는 두 개의 거대한 소수와, 두 소수를 곱해서 만든 합성수 n으로 암호를 만든다. 이렇게 암호화된 암호문을 개인 열쇠 없이 해독하려면 n을 소인수분해 해야 하기 때문에, 암호를 해독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1977년 당시에는 n이 100자리 수면 충분했고, ... ...
- 편견에서 벗어나고픈 13의 매력 발산!수학동아 l201206
- 3은 많은 사람들이 불운의 상징으로 여기지만, 소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물론 제곱수와 관련된 재미있는 성질을 갖고 있다. 또, 아르키메데스 다면체의 개수인 동시에 숨은그림찾기처럼 1달러 지폐 곳곳에 들어가 있기도 하다. 이제부터 13을 불운한 숫자로만 보지 말고 신기하고 재미있는 ... ...
- 시로 읊고 퍼즐로 푼다! 수학 삼국지수학동아 l201206
- 부정방정식과 원주율 계산에 몰두했다. 바스카라는 음과 음의 곱은 양이고, 음과 양의 곱은 음이라는 것을 내다봤다. 또한 3/0을 무한이라 말해, 0으로 나누는 것의 의미를 이해한 최초의 사람이기도 하다. 그는 근대 대수학처럼 미지수를 나타내기 위해 문자를 써서 1·2차부정방정식을 풀었다. 384변의 ... ...
-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과학동아 l201205
- 조건’이라고 하는데 온도는 1억℃ 이상, 매우 높은 압력과 압력이 유지되는 시간의 곱이 일정 값 이상이어야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다.이 조건을 자연적으로 만족시킨 예가 태양이다. 강력한 중력때문에 형성된 고밀도 환경과 핵융합 반응에서 나오는 열때문에 태양 안에서는 수소가 헬륨으로 ... ...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수학동아 l201204
- 한다.이 메시지는 1679개의 이진수로 이뤄져 있다. 1679가 선택된 이유는 23과 73, 두 소수의 곱이기 때문이다. 소인수분해가 하나밖에 되지 않아 2차원 사각형으로 정렬될 수 밖에 없다. 가로가 긴 23×73으로 정렬하면 의미가 없는 도형이지만, 세로가 긴 73×23으로 정렬하면 왼쪽 그림과 같은 모양이 ... ...
- 양자역학 토대 불확정성 원리 도전 받나과학동아 l201202
- 오자와 교수의 부등식을 더 만족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위치와 운동량의 불확정성의 곱을 줄였다는 뜻으로, 위치와 운동량을 둘 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뜻이다.국내에서는 “불확정성 원리에 결함 있다”는 뉘앙스의 보도가 나와 다소 성급하게 결론 지은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됐다.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