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뇌"(으)로 총 420건 검색되었습니다.
-
- [Future] 걸음을 선물하는 제2의 다리과학동아 l201702
- 이 환자가 다시 걸을 수 있게 하려면 실제로 걷는 것과 똑같이 다리를 움직여 줘야 한다. 대뇌 운동영역을 자극해, 뇌를 회복시키기 위해서다(뇌 가소성).이 때, ‘외골격 로봇’이 강력한 힘을 발휘할 수 있다. 외골격 로봇은 ‘몸 밖에 입는 로봇’이라는 뜻으로, 군사용 외골격 로봇의 경우 무거운 ... ...
-
- [과학뉴스] 쪼글쪼글 주름진 미니 뇌를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02
- 늘어났지요. 그 결과, 일정한 크기의 대뇌피질 세포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실제 대뇌피질과 비슷한 주름이 생겼어요. 정해진 공간 안에서 세포의 수가 늘어나자 그 공간을 효율적으로 채우기 위해 주름이 만들어진 거예요(아래 사진).연구팀은 쥐를 대상으로 같은 실험을 해 봤어요. 하지만 ... ...
-
- [Future] 너덜너덜 번아웃 된 기자, ‘마음챙김’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01
- 측두엽, 소뇌 부위에서 회색질 조직의 밀도가 증가했다. 회색질은 감각, 충동, 흥분이 대뇌피질로 전달될 때 중계 역할을 하는 물질로 파킨슨병과 같은 신경정신장애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DOI: 10.1016/j.clineuro.2013.10.002).마음챙김 명상이 스트레스를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기작도 확인됐다. ... ...
-
- Part 1. 우리 뇌는 ‘감각 통합’ 중!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촉각 형태의 정보를 받아 뇌로 전달하죠.이 정보들을 잘 버무리는 건 뇌의 몫이에요. 대뇌의 안와전두피질, 각회 등의 부위로 모인 이 정보들은 하나의 결과물로 합쳐지는 과정을 거치죠. 보고, 듣고, 느낀 정보들을 근거로 하나의 결론을 내는 것이랍니다. 이것을 ‘감각통합’이라고 해요. 왼쪽에 ... ...
-
- Part 2. 기계를 내 몸처럼!어린이과학동아 l201619
- 연결해 서로 신호가 오가게 하는 특수한 장치를 만들었답니다.연구팀은 먼저 환자의 대뇌에 신경 세포의 신호를 읽는 전극을 심었어요. 그리고 이 신호를 받을 수 있는 전극을 얇은 밴드로 감싼 ‘전극 패치’를 환자의 손목에 붙였지요. 두 전극은 전선으로 연결돼 있어서 서로 신호를 주고받을 수 ... ...
-
- [가상인터뷰] 파킨슨병을 물리칠 인공 뇌!어린이과학동아 l201616
- 있는 ‘중뇌’랍니다. 뇌의 중심에 자리를 잡고 있고, 주로 눈의 움직임을 제어하거나 대뇌에서 보내는 운동 신호를 척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지요. 제가 고장 나면 사람은 ‘파킨슨병’에 걸릴 수 있어요. 파킨슨병에 걸리면 운동신경에 이상이 생겨 몸의 움직임이 느려지고, 근육이 떨리게 ... ...
-
- Part 1. 오심은 없다! 전자 심판어린이과학동아 l201616
- 정보를 뇌에서 처리해야 해요. 그런데 눈의 망막에 전달된 시각 정보가 시신경을 거쳐 대뇌에 전달되기까지는 0.1초의 시간이 걸리지요. 결국 인간은 0.1초 전의 과거를 볼 수밖에 없어요.우리의 뇌는 이런 시간 간격을 보완하기 위해 0.1초 뒤의 상황을 미리 추측해서 판단을 해요. 결국 테니스 공을 볼 ... ...
-
- [출동! 섭섭박사] 그림이 살아 움직인다~! 거울 애니메이션어린이과학동아 l201613
- 빛이 수정체를 통과해 망막을 자극하기 때문이에요. 그리고 이 자극이 시신경을 따라 대뇌에 전달되면 우리가 본 물체가 무엇인지 알 수 있지요.그런데 신기하게도 보고 있던 사물을 치워도 우리 눈에는 아주 짧은 시간 동안 우리 눈에는 사물이 있는 것처럼 보여요. 망막에 도착한 빛이 곧바로 ... ...
-
- Part 1. 우리 몸에는 프랙탈 나무가 자란다과학동아 l201612
- 사이의 복잡한 네트워크는 프랙탈 구조다. 기억이나 사고, 집중 같은 주요 기능을 하는 대뇌피질은 신경섬유가 모여 있는 백질보다 프랙탈 차원이 훨씬 높다.뇌파뇌의 상태와 기능, 부위에 따라 다르다. 시간을 기준으로 패턴을 분석했을 때 시간 단위, 분 단위, 초 단위로 봤을 때 형태가 비슷한 ... ...
-
- [과학뉴스] 간지럼 느끼는 뇌 부위 찾았다과학동아 l201612
- 쥐 실험을 통해 두뇌의 ‘체감각피질’에서 간지럼을 느낀다고 밝혔다.연구팀은 쥐의 대뇌피질에 전극을 꽂고 간지럼을 태우면서 신경세포 반응을 관찰했다. 그 결과, 촉각을 담당하는 뇌 영역인 체감각피질이 활성화됐다. 또 직접 간지럼을 태우지 않고 이 부위에 전기 자극을 주자 쥐가 간지럼을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