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뇌"(으)로 총 420건 검색되었습니다.
-
- PART 2. 아무도 몰랐던 착시의 비밀수학동아 l201602
- (CAT) 착시현상은 바로 이런 이유에서 생기는 거랍니다.뇌 속 하모니가 만드는 착시반면 대뇌에서 시각을 담당하는 부위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착시현상을 설명하는 경우도 있어요. 주관적 윤곽선이 대표적이에요. 주관적 윤곽선이 사각형을 이루는 그림을 예로 들어 볼게요. 사람이 꼭짓점 부분을 ... ...
-
- 알록달록, 카멜레온처럼 변하는 전자피부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520
- 동물 중엔 똑똑한 편이랍니다.과학자들은 우리가 이렇게 똑똑한 행동을 할 수 있는 건 대뇌 신피질에 있는 방추뉴런 때문이라고 보고 있어요. 2006년까지만 해도 방추 뉴런은 인간에게만 있으며, 사회성과 판단 등의 행동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었죠.하지만 2006년에 대부분의 고래들도 사람들과 ... ...
-
- [PART 1] 화석이 알려주는 인류의 진화수학동아 l201511
- 따른대뇌화 지수)그림처럼 나타난다.]버거 박사팀은 이와 마찬가지로 호모 날레디의 대뇌화 지수를 계산했더니 약 2.4였다. 신체적인 생김새는 호모 속에 속하지만 지능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견줄 만큼 낮은 셈이다.연구팀은 지능이 낮은 호모 날레디가 도구를 사용했을 가능성에 흥미로워했다. ... ...
-
- 긁적긁적~! 가려움 극복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07
- 되고, 이 자극은 척수를 따라 뇌에서 감각을 처리하는 대뇌피질(두정엽)에 전달돼요. 대뇌피질은 이 자극을 가려움이라고 판단하고, 긁으라는 명령을 내리게 되지요.모기에 물렸을 때를 떠올려 보세요. 빨갛게 달아오르며 참을 수 없는 가려움을 느끼게 되죠? 모기의 침이 피부를 찌르면 염증 반응이 ... ...
-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과학동아 l201506
- 도착한다. 만약 가상 신호가 이 경로 어딘가에 서 끼어들어간다면? 또는 아예 처음부터 대뇌 피질 에 직접 주어진다면? 뇌는 실제 신호와 합성 신호를 분간할 방법이 없다.2030년, 나노봇이 가상현실 이끈다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할 수 없게 되는 순간이 올 까. 온다면 언제쯤 올까. 미래학자인 레이 ... ...
-
- Part2. 거짓말 잘하는 사람이 살아남았다과학동아 l201504
- “영장류의 무리 크기와 신피질 크기가 비례한다”는 논문을 발표했다. 신피질은 대뇌 피질 중 가장 최근에 진화한 부분으로, 고도의 정신작용과 학습능력이 여기서 이뤄진다. 무리의 크기가 크고, 사회적 관계망이 복잡할수록 뇌는 많은 정보를 처리해야 한다. 누가 누구보다 힘이 센지, 서로 ... ...
-
- 도전! 오디션 스타 음치, 박치도 깜짝 놀랄 노래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421
- 루이 박사는 “음치는 뇌의 신경섬유 단절로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지. 대뇌의 오른쪽 반구에는 음성을 이해하는 ‘베르니케 영역’과 음성을 표현하는 ‘브로카 영역’이 있는데, 이 두 영역은 신경섬유로 연결돼 있어. 서로 떨어진 두 영역이 협동할 수 있도록 통신선이 둘을 잇고 있는 ... ...
-
- 기침 VS 재채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17
- 폐의 표면인 ‘가슴막’이 자극을 받으면 생긴답니다. 자극이 여러 신경을 지나 대뇌를 자극하면 정상적으로 호흡을 할 때 열려있는 공간인 ‘성문’이 꽉 닫혀요. 그럼 가슴과 배 부위의 근육이 수축하면서 닫혔던 성문이 순간적으로 다시 열리는데, 이 때 폐에서 공기가 폭발적으로 나오며 해로운 ... ...
-
- 높이가 달라 더 짜릿한 원마운트 워터파크어린이과학동아 l201415
- 무서움을 느끼면 대뇌에 있는 편도핵이 대뇌피질과 청반, 시상하부에 신호를 보내. 대뇌피질은 전두엽을 자극해서 무섭다는 것을 알게 하고, 청반은 교감신경을 자극하지.시상하부는 뇌하수체로 신호를 보내 스트레스를 받을 때 나오는 ‘코티졸’이라는 호르몬을 분비시키고 자율신경계통을 ... ...
-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과학동아 l201411
- 영국왕립학회보에 실린 연구를 보면, 실제 만남은 두뇌에서 사회, 인지 능력을 담당하는 대뇌피질 중 일부(안와전두피질)를 활성화시키고 커지게 한다. 반면 SNS 등 디지털 만남에서는 이런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인터넷만 들여다 보는 생활 습관으로 뇌가 퇴화할 가능성마저 있는 것이다.한꺼번에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