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재
방지
저지
예방
국역
d라이브러리
"
방역
"(으)로 총 54건 검색되었습니다.
위생해충에 대한 오해와 진실 진드기는 억울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3
기피제 모두 아직은 작은소참진드기에 대한 예방 효과가 검증되지 않았어요. 무분별한
방역
소독으로 여러 생물들이 죽고, 환경이 오염되거나 생태계가 파괴되는 피해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답니다." -용태순(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환경의생물학교실 교수) 빨간 피를 좋아하는 친구들 이제 ... ...
살충제 잘못 쓰면 사람도 쓰러진다
과학동아
l
201307
송 교수는 “가정용 살충제는 쉽게 구입해, 일정한 기준 없이 사용하기 때문에 농약이나
방역
용 살충제보다 훨씬 큰 영향을 미친다”고 경고했다. 특히 어린이는 독성을 해독하는 간이나 신장이 성숙하지 않아 살충제에 대한 저항력이 약하다. 식약처의 승인을 받은 제품인지 반드시 성분 확인을 ... ...
Part1. 독, 잔혹한 욕망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1204
막 영업을 마친 오후, 깔끔한 차림의 한 남자가 은행으로 들어섰다. 남자는 ‘도쿄시
방역
과 의사’라는 직함이 찍힌 명함을 내밀며 근처에서 강력한 전염성 이질이 발생해 시민들에게 이질 예방약을 나눠주는 중이라며 은행원들을 한 자리에 불러 모았다. 이들 모두에게 약을 나눠준 뒤 한꺼번에 ... ...
[정보] 수학으로 지키는 우리 문화재
수학동아
l
201203
입히기 전에 한 발 앞서 막을 수 있거든. 또 땅 속 흰개미 굴의 모양을 예상해 효율적인
방역
작업을 할 수 있다고. 어이, 흰개미! 지금 떨고 있나? 문화재를 지키는 수학의 힘!흰개미를 실제로 본 건 이번이 처음이었다. 아무것도 없는 나뭇조각에 스프레이로 물을 뿌렸더니 습기를 좋아하는 흰개미가 ... ...
Part 2. 잘 살고 있니? 고기공장에 갇힌 가축
과학동아
l
201105
겨울이 왔다고 생각하고 닭은 털갈이를 한다. 이렇게 하면 다시 산란율이 올라간다.◀
방역
체계가 체계적으로 세워지는 만큼 가축과 인간은 더 가까워질 수 없다. 저항력이 약해진 가축에게 인간이 옮기는 전염병은 치명적이다.이렇다보니 몸의 저항력이 나빠지는 것은 당연하다. 스트레스가 ... ...
전국이 들썩들썩~, 구제역 공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4
병에 걸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어. 그러기 위해서는 철저한
방역
체계를 마련하는 것은 물론, 우리 모두가 구제역에 대해 정확히 알고 예방하기 위해 노력해야겠지? 다시는 소 잃고 외양간 고치지 않도록 말이야 ... ...
“비과학적인 매몰 대책이 침출수 문제 불렀다”
과학동아
l
201103
가축전염병이 의심되는 사체를 일반폐기물보다 훨씬 간단한 방법으로 묻고 있다.
방역
당국이 정한 절차는 구덩이를 4~5m 파고 이중으로 비닐을 덮은 뒤 파이프를 설치하고 톱밥을 깐 뒤 사체를 묻는 식이다. 이렇게 묻은 뒤에는 3년간 안정화 기간을 거친다. 일종의 ‘약식 폐기물 처리장’인 셈이다. ... ...
가축 안 키우고도 고기 먹는 법
과학동아
l
201103
이야기까지 공공연히 나돈다. 구제역이 이렇게 큰 피해를 입힌 데는 초기에
방역
을 제대로 하지 못한 탓도 있지만, 가축을 좁은 공간에 가둬 기르는 공장식 축산 시스템이 근본적인 문제라고 지적하는 사람도 많다. 그렇다고 해서 저렴한 가격에 단백질이 풍부한 고기를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 ...
Part 3. 백신 접종
과학동아
l
201102
덧붙였다. 국내 축산전염병 역사에서 최악의 사례인 이번 구제역 사태가 국내 가축
방역
시스템이 업그레이드되는 계기가 돼야 한다는 말이다. [구제역은 가장 먼저 발견된 동물 바이러스임에도 여전히 골치 아픈 존재다. 워낙 감염성이 커 연구를 제대로 할 수 없었던 것도 한 요인이다. 미국은 ... ...
기상천외 드라큘라백작의 모기 퇴치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3
초음파로 모기의 유충인 장구벌레를 죽이는 기술이 개발됐기 때문이다. 서울시 강남구청
방역
팀은 1초에 4만 2000번 진동하는 초음파 발생장치를 만들었다. 이 초음파로 모기의 애벌레인 장구벌레가 사는 지저분한 물을 진동시키면 수많은 기포가 발생하는데, 기포가 몸에 닿아 폭탄처럼 터지면서 물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