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재
방지
저지
예방
국역
d라이브러리
"
방역
"(으)로 총 54건 검색되었습니다.
구글어스로 재난 복구 돕고 신종 생물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03
이 지도를 분석해 바이러스의 이동경로와 취약 인자를 찾아냈고 정부 정책자들은
방역
대책을 만들었다. 전자지도의 활용은 이미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경험에서 나온 것이다. 2007년 4월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다니엘 제니스 박사는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발생경로와 변이지도를 분석해 바이러스가 ... ...
마스크와 손 씻기 신종플루 예방효과는?
과학동아
l
200910
성능은 서로 비슷하다”고 설명했다.우리나라도 지난 9월 초 신종 플루에 대비한‘
방역
용 마스크’ 규격인 KF94 등급을 마련하고 이를 통과한 4개 제품을 선정했다. 이 제품들은 액상 파라핀 오일 차단 시험을 통과했기 때문에 고체와 액체 모두 94%까지 막아낸다. 우리나라의‘기준’이 미국이나 ... ...
팬데믹 막는 역학조사의 세계
과학동아
l
200906
3년 사스(SARS)가 확산됐을 때 활용된 적이 있으며 신종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확산방지와
방역
정책결정에도 반드시 필요하다.신종인플루엔자 유행확산 시뮬레이션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 중 하나는 미국 질병관리본부에서 만든 ‘플루에이드’(FluAid)다. 이 프로그램은 1957년 대유행한 ... ...
침투이론
과학동아
l
200905
결합할 확률이 2sin(π/18)(약 0.347) 미만일 경우 침투가 일어나지 않음을 증명했다. 즉
방역
이 불완전해 인근 농장 한 두 곳으로 바이러스가 퍼지더라도 결국에는 어느 선에서 확산이 멈춘다는 것.질병 확산 패턴도 설명이처럼 침투이론은 질병의 확산을 설명하는데도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질병 ... ...
박물관 불청객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04
살균 작용을 한다. 현재 이 혼합가스는 외국에서 건축용이나 가구용 목재를 수입할 때
방역
과정에도 쓰인다. 오 학예사는 “1m3당 혼합가스 약 100g을 사용해 20℃에서 이틀 동안 소독하면 대부분의 해충을 없앨 수 있다”고 설명했다. 소독하는 데 이틀이나 걸리는 이유는 뭘까. 유물 속 깊이 숨어 있는 ... ...
PART2 미지의 질병, 광우병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806
중론이다. AI로 죽은 사람은 300명도 안 되지만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전 세계적으로
방역
하고 우리나라에서 전국적으로 수백만 마리의 닭과 오리를 살처분하는 이유를 생각해보라.광우병의 역사1985 : 영국 수의사가 공식적인 첫 광우병 사례로 죽은 소를 영국 정부에 공개.1988 : 영국 정부, 소에게 ... ...
PART1 실험동물 복지시대 열리나
과학동아
l
200702
동물실험과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빠져있는 상태였다. 농림부 축산국 가축
방역
과 김문갑 사무관은 “1991년 동물보호법이 제정됐지만 시행령과 시행규칙이 없어 선언적인 수준에 그쳤다”고 말했다.따라서 지금까지는 연구기관이 자체적으로 동물실험에 관한 규정을 정해 운영하는 수밖에 ... ...
슈퍼독감의 조상, 조류인플루엔자
과학동아
l
200701
신종전염병에 대한 대응전략을 개발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한 예가 있다.
방역
조치를 전혀 하지 않았을 경우 2개월만에 서울 인구의 30%인 291만명이 감염되고, 6만9105명이 사망한다는 계산이다. 세계보건기구(WHO)가 1918년 스페인독감으로 사망한 희생자 수와 현재 인구를 추산해 앞으로 다가올 ... ...
신구간을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0701
할 수 있는 때였다.그러나 지금은 농경사회가 아니고 농촌에서도 농한기가 따로 없다. 또
방역
이 철저하고 위생상태가 좋아져 세균감염으로 인한 질병의 위험도 사라졌다. 그런데도 아직까지 제주사람들이 ‘신구간=이사철’을 지키는 가장 큰 이유는 신구간이 임대차(賃貸借)의 회계연도로 ... ...
조류독감 익혀 먹으면 안전
과학동아
l
200403
감염된 개체를 도살하고, 농장의 출입을 통제하며, 내·외부를 계속 소독하는 차단
방역
이 최선의 예방책이다. 고병원성 조류독감이 발생한 경우 일차적으로 감염된 양계장의 닭을 모두 도살처분한다. 발생농장 뿐만 아니라 3㎞ 이내의 닭이나 오리의 달걀은 전부 폐기 조치된다. 3-10㎞ 사이의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