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상호관계"(으)로 총 836건 검색되었습니다.
- [게임카페] 휙, 휙~ 요리조리 피한다! 피하기 게임 디자인 上수학동아 l201703
- 아이디어 싸움에서 이기는 법은?게임이라고 다 재미있는 건 아니에요. 단순한 게임이라도 아이디어가 참신하고, 스토리가 탄탄해야 플레이어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지요. 재미는 보통 게임 디자인 단계에서 결정돼요. 게임 디자인은 어떤 게임을 만들지 기획하는 일로, 게임의 모양새와 규칙, 스 ... ...
- [Origin] 소리를 지배한 파충류, 지구를 접수하다과학동아 l201703
- 지배파충류의 공통조상과 유사한 에우파르케리아.파충류에서 귀의 진화 과정을 밝히기 위해 필자가 연구한 종이다.왼쪽 사진은 지배파충류에 속하는 시모스쿠스(위)와 프테라노돈(아래)이다. 청각은 시각이나 후각 못잖게 생존에 중요하다. 고생물학자들은 서로 다른 음을 구별하고 몸의 균형을 ... ...
- [Origin] 사기꾼에게 한 번 속지, 두 번 속나?과학동아 l201702
- 진화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는 ‘이기적 유전자’에서 가상의 새를 들어 상호성의 원리를 설명했다. 이 새들은 아주 위험한 전염병을 옮기는 진드기에 시달린다. 그래서 허구한 날 부리로 온 몸의 털을 정성껏 다듬는 게 일이다. 물론 부리가 못 닿는 머리 부위는 빼고 말이다. 머리까지 깔끔하게 ... ...
- [Issue] 범죄 피해자의 뇌 연결성 회복으로 치유한다과학동아 l201702
- 50대 여성 A씨는 2014년 초 남편에게 생명이 위태로울 정도로 폭행을 당했다. 다행히 몸은 회복됐지만 장보기조차 힘들어 했고, 우울증상도 보였다. 범죄피해자 지원을 담당하는 검찰은 A씨에게 자기공명영상(MRI)검사를 권했다. 분석 결과는 예상대로였다. 뇌에 문제가 생겨 있었다.A씨의 뇌는 전전두 ...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01
-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와 컴퓨터공학부에서는 개교 70주년을 맞아 ‘앞으로 우리나라를 이끌어갈 7대 미래기술’을 선정했다. 각 분야의 동문들과 재학생들이 투표한 결과다. 영화에서나 나올 것 같은 이야기지만 가까운 미래에 상상했던 수준 이상으로 발전하게 될 전망이다. 각 기술의 최 ... ...
- [QUIZ KING & KAIST] 겨울방학 수학 교류전 개최!수학동아 l201701
- 수문연과 함께하는 수리 논술상호는 겨울방학 동안 꾸준히 운동하기로 결심했다. 매일 줄넘기, 조깅, 어은동산 산책을 하기로 계획한 것이다. 어은동산은 KAIST 중앙에 있는 언덕인데, 모양을 단순하게 만들면 원뿔이다. 원뿔에서 A에서 A로 가는 최단거리는 전개도를 펼쳤을 때 A와 A'를 이은 선분의 ... ...
- Part 6. 특이점 없애기과학동아 l201701
- 광화문 촛불집회를 높은 건물 위에서 바라본다고 생각해 보자. 시위가 무르익어 촛불 파도타기를 하려고 한다. 사회자가 “출발!”이라고 외치면 촛불을 든 개인들은 모두 앞 사람의 행동을 유심히 보면서 자신이 언제 촛불을 올려야 할지 시점을 잰다. 각 개인들이 서로 관계를 맺고 있다는 뜻이 ...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과학동아 l201611
- 힉스 입자 발견을 세상에 알린 주인공이었고, CERN의 첫 여성 소장이 됐다. 21세기 입자물리학 변혁기의 중심에 서게 됐다고 할 수 있는데, 기분이 어떤가.힉스 입자 발견 사실을 발표할 때 아틀라스(ATLAS) 팀의 대변인으로 나설 수 있었던 것은 큰 영광이었다. 하지만 그게 입자물리학계에서 핵심 인물 ... ...
- [Tech & Fun] 과학은 네트워크다과학동아 l201611
- 지구가 지금의 지구인 데는 이유가 있다. 수많은 천체와 힘겨루기를 한 결과다. 액체 물로 된 바다, 생명력을 주는 바람과 비, 발 딛고 설 단단한 토양 등 지구가 원래 가진 속성이라기보다 우주라는 네트워크가 만든 우연한 결과다. 만약 우주를 이루는 요소 중 하나가 갑자기 사라지면 그 이후 지구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10
- 영국 의학연구위원회(Medical Research Council·MRC)가 1947년에 세운 분자생물학연구소는 영어 약자로 ‘LMB’라고 불린다. 처음에는 캐번디시연구소 안에 설치한 연구 그룹이었지만, 곧 다양한 성과를 내며 독자적인 연구소로 성장했다. 기자가 LMB에 주목한 이유는, 2000~2015년 사이 노벨상 수상자 6명의 핵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