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샛길
d라이브러리
"
새길
"(으)로 총 26건 검색되었습니다.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12
바랐던 것은 아닐까. 그 자체로 완벽한 하나의 유토피아 말이오.”“아! 어쩌면 그렇게
새길
수도 있겠네요.”래빗의 얼굴에 쓸쓸함이 깃들었다.“하지만 아무리 노력한다고 해도 어찌 과거와 미래가 같고, ‘나’와 ‘너’가 완벽하게 일치하는 날이 올 수 있으리. 삶이란 이 잘린 바다처럼 ... ...
혼천시계, 지상에 구현한 하늘 모습
과학동아
l
200704
중국 명나라의 대통력과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적도면을 나타내는 둥근 원주에 눈금을
새길
때 시헌력에서는 서양천문학의 방식을 따라 전체를 360°로 나눠 새기고, 칠정산이나 대통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체를 365¼도로새겼다. 따라서360°눈금이 새겨져 있다면 서양천문학에 기초한 관측 ... ...
질병 없는 세상, 더 이상 꿈이 아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2
수 있는 만능세포로 2004년 2월 인간배아에서 줄기세포를 추출해 난치병을 치료할 수 있는
새길
을 열었다. 지난 5월 19일에는 세계 최초로 난치병에 걸린 환자에게서 치료용 배아줄기세포를 얻어내 환자에게 면역 거부 반응이 없는 ‘맞춤형줄기세포’시대를 열었다. 아직은 환자에게 적용하려면 많은 ... ...
PART4 전자 하나로 작동되는 트랜지스터
과학동아
l
200207
기술의 핵심은 실리콘 기판에 얼마나 많은 회로를
새길
수 있느냐다. 이 기술은 2010년 이후에는 집적화의 한계에 다다를 전망이다. 나노기술은 그 한계를 어떻게 극복할까.1cm³크기의 각설탕에는 ${10}^{24}$개의 원자가 들어있다. 각각의 원자가 디지털 정보인 0이나 1을 갖도록 할 수 있다면 ... ...
세계에서 가장 작은 온도계
과학동아
l
200203
일정한 간격으로 높이가 변해, 높이만 재면 온도를 알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눈금을
새길
수 없기 때문에 탄소나노튜브 온도계의 온도값은 전자현미경으로 읽을 수 있다.탄소나노튜브 온도계가 잴 수 있는 영역은 50-5백℃. 연구팀은 액체 갈륨의 끓은점이 매우 높아, 앞으로 이 온도계의 측정 ... ...
세계에서 가장 작은 와인잔
과학동아
l
200101
각광받고 있는 기술이 이온빔 리소그래피이다. 나노단위 수준으로 미세하게 표면에 칩을
새길
수 있을 뿐더러 3차원 기하구조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와인잔을 만드는데도 바로 이 기술이 적용됐다. 지름 10nm의 갈륨 이온빔을 주사해서 탄소표면에 와인잔 모양을 구현한 것이다.이 실험의 ... ...
3. 세계 최소 분자 인물화 제작 성공
과학동아
l
199510
니켈 표면에 크세논(Xe) 원자들을 원자 크기의 해상력으로 재배열하여 'IBM'이라는 로고를
새길
수 있었다.1991년에는 4K에서 백금 표면에 흡착된 일산화탄소(CO) 분자들을 재배열하여 세계 최소의 인물화를 그리는데 성공했다. 모두 28개의 CO분자들로 구성된 이 인물화의 신장은 50Å(${10}^{-10}$m). 어깨를 ... ...
3. '94년 빛낸 영광의 얼굴들
과학동아
l
199411
브록하우스와 슐열중성자 산란 이용, 고체 결정 연구에
새길
터이들이 개척한 열중성자를 이용한 산란실험은 최근들어 물리학 재료공학 생명과학 등에 사용되는 필수적 기법으로 자리잡았다.올해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는 캐나다의 버트람 브록하우스(76)와 미국의 클리포드 슐(78)에게 돌아갔다. ... ...
호박의 비밀
과학동아
l
199308
되기도 한다.사람들은 오랫동안 호박을 좋아해왔다. 호박은 촉감도 좋으며 조각을
새길
수도 있다. 고대에는 호박 장신구가 악운을 물리쳐준다고 믿어져 왔다. 그것은 아마 옷감에 문지르면 정전기를 띠게 되는 흥미로운 성질이 호박에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호박의 여러 조각들은 수지에 붙어버린 ... ...
팔만대장경
과학동아
l
199204
것이라 할 수 있다. 해인사의 무관(無觀)스님은 특히 일자삼배(一字三拜, 글자 한 자를
새길
때마다 세번 절을 한다는 뜻)의 공덕을 강조한다. "당시 조각은 망치를 쓰지 않고 칼만을 이용했다. 따라서 칼끝을 조금만 잘못 놀려도 삐쳐나가 망치기 쉬운데 어쩌다 글자하나가 잘못되면 판 자체를 가는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