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샛길
뉴스
"
새길
"(으)로 총 10건 검색되었습니다.
머스크의 '뉴럴링크' 부작용 해결할 생체 전극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레이저를 이용해 흐물흐물한 전도성 하이드로젤로도 미세한 패턴을
새길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서울대 제공 최근 일론 머스크의 뉴럴링크가 임상실험에서 환자의 생각만으로 컴퓨터 마우스 커서를 움직이는 데 성공했다. 국내 연구팀이 뉴럴링크 같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 구현을 ... ...
화학물질 없이도 반도체에 패턴 깎는 기술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3.26
고 말했다. 홍 교수는 "현재 폭 20나노미터(nm) 두께 4옹스트롬(Å) 정도의 패턴을
새길
수 있다"며 "기존 반도체 공정에서 쓰이는 화학 물질과 고가의 장비 없이도 낮은 비용으로 나노 구조를 만들 수 있어 산업적 활용 잠재력이 있다"고 내다봤다 ... ...
[프리미엄 리포트]벌레잡이풀·벌집 닮은 표면이 '바이러스' 잡는다
과학동아
l
2021.10.30
연구원팀과도 협업했다. 그리고 현재 이들과 함께 1200mm 폭에 표면 구조 패턴을
새길
장비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조 교수는 “폭 1200mm 필름 위에 초발수 성능을 가지며 바이러스도 포집하는 패턴을 제조할 수 있는 롤투롤 장비는 세계 최대 규모일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에 함께 참여한 ... ...
논란의 구글 양자컴퓨터 칩 드디어 공개..."양자우월성 달성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3
말했다. 양자우월성이 양자컴퓨터가 기존 컴퓨터를 압도하는 개념이 아니라는 사실도
새길
필요가 있다. IBM연구소가 21일 게시한 글에서 에드윈 페드노 IBM연구소 석좌연구원 등은 “양자컴퓨터와 기존 컴퓨터는 각자의 고유한 강점이 있기에 한쪽이 다른 쪽의 우위에 서는 관계가 아니라 오히려 ... ...
KIST 상징조형물에 허위 근무증명서 발급받은 조국 장관 딸 이름 '버젓이'
동아사이언스
l
2019.10.10
알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관계자들의 증언을 살펴보면 조형물에 이름을
새길
당시 KIST 각 연구실에 보관 중인 기록을 그대로 사용한 것으로 나타나 이름을 새겨달라고 요구했을리는 없다는 것이다. 과학계의 한 관계자는 “아무리 KIST를 거쳐간 사람들의 이름을 모두 새겨넣기로 했다고 ... ...
삼성전자, 日 불화수소 일부 대체…"국산 투입한 듯"
연합뉴스
l
2019.09.04
개월가량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불화수소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회로를
새길
때 사용하는 필수 소재이다. 국내외 불화수소를 테스트 중인 SK하이닉스는 아직 대체품을 양산에 투입하지는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LG디스플레이는 이미 국산 불화수소를 공정에 투입했으며 ... ...
'이름만이라도' 화성行 선택한 335만명…북한도 347명 신청
동아사이언스
l
2019.05.24
수준인 75나노미터(㎚, 10억분의 1m)다. 작은 동전 크기의 칩 하나에 100만 명 이상의 이름을
새길
수 있다. NASA 측은 “칩은 유리 덮개를 씌워 로버에 실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열기는 뜨겁다. 신청을 받은지 이틀도 채 되지 않았지만 24일 4시 30분 기준으로 335만 553명이 신청했다. 이미 이전 ... ...
아디다스가 했다는 4D 프린팅, 과학동아도 도전해 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18.07.20
여러 크기의 컵에 재사용할 수 있다”며 “프린팅을 할 때 원하는 문구나 그림도
새길
수 있어 소비자의 감성까지 반영한 슬리브 제작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3주 뒤 KIST 연구실을 다시 찾았다. 이 연구원은 완성품이라며 지름 4cm, 높이 6cm가량인 원통형 슬리브를 기자에게 내밀었다. 옆면에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투(문신)가 지워지지 않는 이유
2018.03.27
때 피가 나는데, 이는 문신 안료가 진피에 들어가 자리를 잡는다는 말이다. 문신을
새길
때는 안료가 진피까지 들어간다 - 사진 GIB 제공 표피와 진피는 어쩌다 보니 서로 얼굴을 맞대고 있지만 태생이 다르다. 즉 발생학의 관점에서 표피는 외배엽에서 유래한 반면 진피는 중배엽에서 왔다. 문신 ... ...
장보고기지 12일 준공… 남극대륙 연구
새길
연다
동아일보
l
2014.02.11
[동아일보] ‘세종’ 이어… 기지 2곳이상 10번째 나라 한국의 두 번째 남극기지인 장보고과학기지가 12일 준공한다. 해양수산부는 12일 남극 테라노바 만 건설 현장에서 장보고기지 준공식을 개최한다고 10일 밝혔다. 준공식에는 강창희 국회의장과 문해남 해수부 해양정책실장, 김예동 극지연구소 ... ...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