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뱃사람
승무원
선원
옛사람
고인
신선
옛날
d라이브러리
"
선인
"(으)로 총 105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장취재] 톡톡! 개그수학콘서트 개그 더하기 수학은?
수학동아
l
201301
!동영상 통화까지 가능하게 한 ‘부호이론’박 교수는 이어서 1970년대 미국 화성탐사
선인
마리너호가 찍어 보낸 화성 표면 사진을 보여 주며, 사진 전송과 동영상 통화를 가능하게 한 수학이론에 대해 설명하기 시작했다.“2진수를 이용해 사진을 전송하는 방법은 오래 전부터 알고 있었지만, 전기 ... ...
‘별 엘리베이터’ 킬리만자로
과학동아
l
201108
잎 대신 수염이 자라는 나무, 밑동은 보통 나무인데 가지는
선인
장인 식물, 파인애플과
선인
장을 반반씩 섞어놓은 듯한 식물 등이다. 해발 4000m가 넘는 킬리만자로의 고원은 오래 전 화산 폭발로 만들어진 돌무더기와 화산재들이 쌓여 있는 황무지다. 화성에 온 것 같았다. 키 작은 풀과 이끼류 ... ...
아라온 호 '남극 200일'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101
을 주로 헤치고 달리기 때문에 이 정도로도 충분하다. 물론 이 성능은 세계 최대의 쇄빙
선인
러시아의 ‘승전 50주년 기념호’가 2.8m 두께의 빙하를 깨는 데에 비하면 약한 편이다.하지만 승전 50주년 기념호는 배수량이 2만 5840t으로 아라온 호의 네 배 가까이 되는데다 추진력이 강한 원자력 에너지를 ... ...
에디슨의 유령탐지기를 찾아라 !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4
불똥이 튀는 단점이 있었거든.전구를 만드는 데 가장 큰 어려움은 빛과 열을 내는 금속
선인
필라멘트를 만드는 거였어. 에디슨은 1500가지의 다양한 재료로 실험을 한 끝에, 무명실을 탄소 가루로 싸서 단단하면서도 잘 부러지지 않는 탄화 실을 만들었지. 이 탄화실로 만든 필라멘트에 전류를 흘려 ... ...
최악의 석유 유출사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0
그냥 바다로 흘러나오고 있지요. 미국 역사상 가장 심각했던 석유 유출사고는 1989년 유조
선인
‘엑손발데스 호’에서 석유가 흘러 나와 바다를 오염시켰던 사고예요. 전문가들은 사고 후 54일 뒤까지 석유 유출을 막지 못하면, 엑손발데스 호 사고 때보다 더 많은 양의 석유가 흘러나올 것으로 ... ...
타이탄의 호수 얕아졌다
과학동아
l
201008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미국 캘리포니아공대의 오데드 아론슨 교수팀은 토성탐사
선인
카시니호가 촬영한 레이더 영상을 연구한 결과 타이탄의 남반구에 있는 ‘온타리오 라쿠스’ 호수의 수면이 지난 4년간 매년 약 1m씩 낮아졌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연구 결과는 행성천문학 학술지인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05
그 다음 신경세포를 촬영하는 방법을 개발 중이다. 그는 컴퓨터 비전 기술로 대뇌의 연결
선인
축색 조직을 추적하는 연구를 한다. 하지만 데이터만 얻는다고 해서 능사는 아니다. 결국 알고 싶은 것은 데이터 자체가 아니라 연결망 하나하나를 찾아내는 것이다.MRI로 신경세포 간 정보 흐름 본다 ... ...
발견 400주년 목성 4대 위성과 그 형제들
과학동아
l
201001
현재 두 탐사선은 태양계를 벗어나 항해를 계속하고 있다.현재까지 유일한 목성 궤도
선인
갈릴레오는 앞에서 언급한, 목성 위성에 대한 구체적인 사실 을 여럿 밝혀낸 주인공이다. 갈릴레오는 1989년 10월 발사돼 6년이 넘는 여행 끝에 1995년 12월 목성에 도착한 뒤 2003년까지 목성 주위를 돌며 2003년 ... ...
1969 vs 2020 달을 향해 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3
방식이지요.달기지에 필요한 자재와 우주인이 머무는 데 필요한 음식이나 물 등은 착륙
선인
알타이르 호에 실려 운반됩니다. 알타이르 호는 한 번에 6톤의 짐을 실어 나를 수 있습니다.달기지가 어떤 모양으로 만들어질지는 2010년이후에 결정됩니다. 그리고 2020년부터 1년에 서너 번씩 재료를 옮기며 ... ...
열 나는 반도체, DNA로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11
바로 실리콘에 의존하는 현재 반도체의 패러다임을 DNA 분자로 확대하는 연구의 선봉에
선인
물이다.실리콘 나노와이어에 DNA 분자 ‘철썩’반도체 집적도는 선폭을 줄일수록 증가한다. 선폭이 좁으면 더 많은 정보를 재빨리 처리할 수 있다. 하지만 ‘선폭 줄이기’는 근본적인 문제를 품고 있다.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