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뱃사람
승무원
선원
옛사람
고인
신선
옛날
d라이브러리
"
선인
"(으)로 총 105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개발에 대해 알고 싶은 7가지 궁금증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1
이런 환경에서 생명체가 살아갈 수 있을까? 물이 존재한다면 가능할 수도 있다. 화성탐사
선인
스피릿과 오퍼튜니티는 그 가능성을 보여 주었고, 화성에 유인우주선을 보내려는 다음 계획으로까지 확대됐다.다음으로 활발한 연구를 하는 곳은 토성의 위성인 타이탄이다. 지구에서 12억km 이상 떨어져 ... ...
아폴로 vs 챌린저
과학동아
l
200505
그런데 이런 NASA의 위상을 하루아침에 무너뜨린 사건이 발생했다. 바로 두번째 우주왕복
선인
챌린저호의 폭발이었다.1986년 1월 28일 서늘한 아침바람이 부는 가운데 플로리다주 케네디우주센터로 사람들이 모여들고 있었다. 챌린저호의 이륙을 보기 위해서였다. 5번이나 이륙이 지연된 끝에 결정된 ... ...
물 위 나는 대형 위그선 2009년 개발한다
과학동아
l
200503
한꺼번에 승객 200명을 태우고 물 위를 3∼5m 떠서 시속 200∼600km 속도로 달리는 해상운송
선인
‘위그선’을 5년 내 실용화할 대형 국가과제로 선정했다고 최근 밝혔다. 한국해양연구원은 2002년 소형 위그선을 개발한 바 있다.해양부는 4월까지 이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을 검토한 뒤 올해 하반기부터 200 ... ...
HOT ISSUE 2. 숱한 증명실험 통과한 상대성이론
과학동아
l
200406
전파가 점점 느려진다는 것을 확인했다. 1970년대에는 샤피로 시간지연 현상이 화성 궤도
선인
마리너 6호와 마리너 7호를 이용해 확인됐다. 또한 화성착륙선 바이킹이 활용되기도 했다.가장 최근의 검증은 2002년에 이뤄졌다. 이 실험은 이탈리아 물리학자가 NASA와 공동으로 올 7월 토성에 도착할 ... ...
1. 반갑다 향고래야
과학동아
l
200405
좋고 단열성이 뛰어난 고래기름과 육질을 과학적으로 활용해왔다.한반도 바다의 고래와
선인
들의 관계는 설화에 잘 나타난다. 연오랑과 세오녀에 관한 설화가 그런 예다. 어느날 함께 해조를 따던 연오랑과 세오녀 앞에 바위가 갑자기 나타난다. 두사람은 그 바위를 타고 바다를 건너는데 도착한 ... ...
스트레스는 공포의 기억을 부활시킨다
과학동아
l
200403
받은 시상하부는 뇌하수체로 신경호르몬 신호를 보낸다. 이를 포착한 뇌하수체는 내분비
선인
부신피질에 명령을 내려 글루코코티코이드라는 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킨다. 따라서 글루코코티코이드는 스트레스 호르몬이라고 불리기도 한다.번지점프를 하거나 스트레스 쌓이는 일을 할 때 또는 무서운 ... ...
특명! 물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402
크레이터만 보여 생명의 불모지인 달과 다를 바가 없었던 것이다.1971년 NASA의 화성궤도
선인
마리너9호 이후에는 좀더 정밀한 표면 사진이 전송됐다. 여기에는 태양계 최대화산인 25km 높이의 올림포스 산, 그랜드캐니언은 비교도 안될 정도로 큰 4천km 길이의 마리네리스 대협곡을 비롯해 물에 의해 ... ...
남극 극한 환경 무릅쓴 불굴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01
어니스트 섀클턴이다. 그는 1914년 남극을 종단하는 탐험에 나섰다. 그의 탐험
선인
엔듀어런스호는 1914년 12월 5일 사우스 조지아섬을 떠났는데, 이틀 뒤 생각과는 달리 너무 일찍 얼음을 만났다. 배는 다음해 1월 초순까지 몇km 밖에 남쪽으로 가지 못했다. 그러던 중 1월 19일 남극대륙 부근인 남위 76°3 ... ...
갈림길에 선 낙동강 하구
과학동아
l
200401
지닌다. 그러나 철새들의 핵심 서식처이며 먹이 공급처인 을숙도 남단과 명지갯벌에 6차
선인
명지대교를 건설한다는 계획이 진행되고 있다. 명지갯벌을 매립해 조성한 명지주거단지에 고층화 계획이 현실화되면 을숙도 철새도래지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 ...
우주기원 좇아 발진한 적외선망원경
과학동아
l
200310
영역에서 방출되고 있다. 반면 사람의 몸은 3백K 정도밖에 안되므로 더 긴 파장, 즉 적외
선인
10μm 부근에서 많은 에너지가 나온다. 인체는 적외선 빛을 방사하고 있기 때문에 태양빛이 도달하지 못하는 캄캄한 곳에서도 적외선 빛에 민감한 카메라를 이용하면 사람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적외선은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