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상자"(으)로 총 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과학·공학·의학 발달의 일등공신 ‘히든 피겨스’과학동아 l201703
- 주는 전세계 최고 영예 상)을 수상한 박명자입니다(이꽃메, ‘나이팅게일 기장 수상자 박명자의 창조적이고 개척적인 간호업적 고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5.8). 그는 1949년 서울대 의대 부속 고등간호학교에 입학했고, 6.25가 발발하자 육군 소위로 군 병원에서 근무했습니다. 당시 간호인력이 ... ...
- [Future] 주목받지 못한 반도체 영웅, 강대원 박사과학동아 l201703
- “살아계셨다면 노벨상도 충분히 받을 수 있는 발명이라고 생각합니다.” 국내 반도체 학계의 원로인 김석기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명예교수는 강대원 박사의 업적에 대 ... 주관)에서도 강 박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올해 처음 ‘강대원 상’을 제정해 2월 15일 첫 수상자를 발표했다 ... ...
- [과학뉴스] ‘두께 없는’ 2차원 자석 만들 방법 찾아과학동아 l201702
- 자기적인 성질이 변하는 상전이 현상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2016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들의 주요 업적 가운데 하나는 2차원 물질이 고체에서 액체로 변하는 상전이 현상을 이론적으로 예측한 것이다. 1944년에는 2차원 물질에서 자기적인 상태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이론적 예측도 있었는데, 그동안 ... ...
- [수학뉴스] 울프상 수상자, 리처드 쉔과 찰스 페퍼먼수학동아 l201702
- 중 40명이 평균 5년 뒤 노벨상을 받아 ‘예비 노벨상’이라고도 불립니다.올해 수학 부분 수상자는 리처드 쉔 미국 스탠퍼드대학교수학과 교수와 찰스 페퍼먼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수학과 교수입니다. 쉔 교수는 도형의 각을 유지하며 모양을 변형했을 때 도형의 굽은 정도를 일정하게 만들 수 ... ...
- [Origin] 은둔의 물리학자가 발견한 비밀 입자, 마요라나 페르미온과학동아 l201701
- 후속 연구 결과 중성미자도 작지만 질량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015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들의 업적이다).그렇다고 중성미자가 마요라나 페르미온일 가능성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김수봉 교수는 “질량이 있어도 중성미자가 마요라나 입자일 수 있다”며 “표준모형으로는 중성미자의 ... ...
- [수학뉴스] 축제의 현장! 2017 브레이크스루상 시상식수학동아 l201701
- 깨기 위해 동명의 재단이 2012년에 처음 만들었습니다. 그래서인지 이날 시상식에서는 수상자들도 할리우드 스타처럼 턱시도와 드레스를 차려 입고 포토존에서 사진을 찍었습니다. 시상식에는 영화배우 모건 프리먼을 비롯한 유명 인사들도 참석했지요. 과학계의 오스카상이라고 부를 만하지요 ... ...
- [Interview] 낙심한 물리학자, 귀인(貴人) 만나 ‘인생 역전’과학동아 l201701
- 연구 결과가 담긴 논문을 받아 보는 경험을 두세 번이나 했다. 낙심한 그에게 나중에 공동수상자가 된 데이비드 사울레스 교수가 자신의 연구 주제를 소개한 것이 전화위복의 계기였다.두 사람의 연구는 2차원 물질이 고체에서 액체로 변하는 상전이를 위상수학을 이용해 설명한 것으로, 연구 결과가 ... ...
- [과학뉴스] 2016년 노벨상의 주인공은 아주 작은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1nm=10억 분의 1m) 크기에 불과해 ‘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로 불린답니다.노벨 화학상 수상자들은 분자 한 두 개를 연결해 외부 자극을 받으면 기계처럼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들었어요. 이들이 만든 분자기계를 이용하면 몸에 쌓인 중금속을 모아 밖으로 배출시키거나 암세포 치료제 등을 만들 수 ... ...
- Part 2. 착시도 감각통합의 결과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그중 하나의 정보만 달라져도 감각통합의 결과는 확연히 달라질 수 있죠. 이그노벨상 수상자들까지 매료시킨 우리 뇌의 신비, 정말 흥미롭죠?도전! 감각통합 실험뇌에서 매순간 감각 통합이 일어나지만 이것을 직접 느끼긴 어렵죠? 그래서 간단한 실험 3가지를 준비했어요. 여러분의 감각이 얼마나 ... ...
- [도전! 코드마스터] 코딩을 알면 노벨상 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20
- 프로그램은 크기가 작은 분자만 다룰 수 있지만, 지금도 쓰이고 있지요.2013년 노벨화학상 수상자들은 가우시안보다 한 발 더 나아가, 수만~수십 만 개의 원자가 연결된 아주 커다란 분자의 움직임까지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 ‘참’을 만들었어요. 참은 현재 거의 모든 분자구조 연구실에서 쓰고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