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상자
당첨자
수상작품
입상작품
계관 시인
d라이브러리
"
수상자
"(으)로 총 707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러시아 과학원 레베데프 물리연구소
과학동아
l
201611
내왔습니다. 레이저의 전신인 ‘메이저’ 이론을 확립한 니콜라이 바소프 등 노벨상
수상자
도 7명이나 배출했습니다.이 연구소의 독특한 특징은 물리학과 관련된 거의 모든 분야를 다룬다는 점입니다. 홈페이지에서 분과 소개를 보면 진동의 비선형 이론 같은 기초과학부터 펨토초 레이저, 반도체 ... ...
[Editor’s note] 도전! 노벨상 따라잡기
수학동아
l
201611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가 발표되면서 갑자기 ‘위상수학’이라는 단어가 여기저기서 들리기 시작했습니다. 수학동아를 꾸준히 본 독자라면 익숙할 겁니다. 노벨 위원회가 빵을 들고 나와서 한 설명도 처음 본 게 아니겠지요.어머, 이건 해야 해! 이런 소식을 수학동아가 그냥 지나칠 수 없지요. 사실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
과학동아
l
201611
밝힐 수 있게 되면서, 기존의 분류법이 완벽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들이 개척한 위상 부도체 이론으로, 응집물질이 가질 수 있는 상태를 위상학적 측면에서 완벽하게 분류할 수 있게 됐다. 앞으로는 새로운 위상 물질을 제작하고 전자 소자에 응용하는 분야에서 큰 도약이 있을 ... ...
[Editor’s Note] 성급함을 넘어서
과학동아
l
201610
또
수상자
를 많이 배출한 영국과 독일 연구소를 직접 찾아가고, 정책 연구자와 노벨상
수상자
들을 탐문해 대안을 물어봤다.결과? 성급함부터 버리자. 결과에 대한 목마름을 넣어두자. 어차피 우리는 노벨상을 기대하기에 이르다. 운이 좋으면 하나나 두 개의 노벨상을 때 이르게 받을 수 있을지 ... ...
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
과학동아
l
201610
새롭게 포장하는 ‘신조어’를 만들기 위해 고민해야 한다. NIH가 1989년 노벨화학상
수상자
토마스 첵에게 40년 이상 한 가지 주제를 연구하도록 지원한 것과 대조적이다. 다행히 나쁜 평가를 받지는 않았다. 그런데 동료 교수 중 한 명이 ‘불성실 실패’ 판정을 받고 지원받은 연구비 일부를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
과학동아
l
201610
성과를 내기 힘든데 매년 평가를 하는 건 비효율적”이라고 말했다.2009년 노벨화학상
수상자
벤카트라만 라마크리슈난 박사(현재 LMB 부소장)는 그 자유를 쫓아 미국에서 영국으로 건너갔고, 결국 리보솜 구조를 규명해 노벨상을 탔다. 라마크리슈난 부소장은 2011년2011년 7월 ‘사이언스’와의 ...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
수학동아
l
201610
집단지성 프로젝트가 가능할까?수학에서도 대규모 연구 가능할까?2009년 1월, 필즈상
수상자
인 티머시 가워스는 블로그에 ‘수학에서 대규모 공동연구가 가능할까?’라는 제목의 글을 하나 올렸다. 인터넷을 활용해 전세계 수학자들이 힘을 합쳐 공동으로 연구하면 난제도 쉽게 풀 수 있다고 생각한 ... ...
Intro. 데이터로 본 노벨 생태계
과학동아
l
201610
매년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 하는 경험을 반복하고 있다.노벨상은 하나의 상징이다.
수상자
의 업적이 인류에 공헌했다는 것을 뜻한다. 또 그 과학자를 배출한 나라의 과학적 역량을 대변하는 지표가 되기도 한다. 우리가 노벨상을 기대하는 이유도 한국의 과학적인 위상을 인정받고 싶은 바람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
과학동아
l
201610
있는 명경재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항상성연구단장(UNIST 교수)은 “1989년 노벨화학상
수상자
인 토마스 첵의 경우 40년 이상 한 가지 주제로 연구비를 지원 받았다”고 말했다.또 NIH는 연구자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한다. 연구비를 지원 받은 과학자는 매년 지난해의 연구 성과와 지출 보고서를 ... ...
PART 3. 건강한 네트워크에서 노벨상 씨앗 자란다
과학동아
l
201610
중 일부는 이미 노벨상
수상자
가 나왔다. 하지만 이재윤 교수는 “만약 한국에서 노벨상
수상자
가 나온다면 이들의 연구 그룹에서 향후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한 연구 그룹이 세계적인 성과를 지속적으로 낼 수 있는 네트워크를 갖추면, 거기서 훈련된 연구자들이 노벨상급 성과를 낼 수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