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송장
시체
주검
사체
유골
죽엄
땔나무
d라이브러리
"
시신
"(으)로 총 128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FBI 요원도 모르는 ‘시체 수습 매뉴얼’
과학동아
l
201608
마 치고 미국 테네시대 인류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과정 동안 시체농장 에서
시신
230구의 부패 과정을 매일 사 진으로 촬영해 데이 터베이스를 구축했 고 다양한 연구를 진 행했다. 현재 미 국 방성 소속 전쟁포 로 및 실종자 확인국 (DPAA) 감식소에서 법의인류학자로 근 무하고 있다 ... ...
[Knowledge] 부러진 뼈 : 사건을 해결하는 퍼즐
과학동아
l
201606
이렇게 크게 손상된
시신
을 다루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보는 것만 힘든 게 아니라
시신
이 부패한 후에 수습하기도 어렵다. 파손된 작은 뼛조각들이 부패하는 동안 여기저기 흩어져버리기 때문이다. 온 신경을 곤두세워 뼛조각을 하나하나 줍고 주변의 흙을 몇 번씩 체로 걸러내다 보면 몇 시간이 ... ...
Part 1 그들은 왜 아이를 죽였나
과학동아
l
201605
여중생이 각각 2012년과 2015년 부모에 게 살해됐고, 지난 1월 13일과 2월 3일 연이어
시신
이 발견됐다. 이 일로 연초부터 전국이 떠들썩했다.기자는 그 두 집을 잇는 골목길 위를 걸으며 그들에 대해 생각했다. 자기 자녀를 살해한 그들은 대체 어떤 사람들일까. 짐승만도 못한 사이코패스일까. 보통 ... ...
[Knowledge] 시체부패는 ‘2차 방정식’을 따른다?
과학동아
l
201605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미국에만 여섯 군데의 시체농장이 있고 지역과 기후에 따른
시신
의 부패 결과를 비교 검증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전북경찰청을 중심으로 사후경과시간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장차 우리나라 기후와 생태 환경에 최적화된 사후경과시간 추정 모델을 구축하는 데 ... ...
[Knowledge] 삶과 죽음이 함께 하는 공간 ‘시체농장’
과학동아
l
201604
시신
기증자의 삶은 마무리됐지만 바로 이어서 온갖 다른 생명체들이 각자의 방식대로
시신
을 분해하며 살아가고, 이런 과정을 살아있는 사람들이 연구한다. 많은 이들이 시체농장 이야기를 단순한 괴담이나 흥밋거리로 취급하지만 시체농장이 미국의 법의인류학 발전에 미친 영향은 크다. ... ...
PART 2. 물 밖으로 나온 수중과학수사
과학동아
l
201602
어려울 때mtDNA를 사용한다. 쉽게 말해 최후의 보루인 셈이다.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의
시신
, 한국전쟁 당시 사망한 군인들의 유해를 mtDNA로 분석했다. 수중 증거물에서도 피해자 또는 가해자의 유전자가 묻어나올 가능성이 있지만 그동안 아무도 시도해본 적이 없었다. 전북청 과학수사대는 이번 ... ...
[Tech & Fun] 소녀탐정 ㅊ씨의 S(cience)-File ❷ 소년탐정 김전일의 ‘이진칸촌 살인사건’ (上)
과학동아
l
201602
1958년에 나온 ‘트로터와 글레저 기법(Trotter & Gleser)’입니다. 이 기법은 2014년 유병언의
시신
에서 키를 추정할 때 쓰이기도 했는데요. 넙다리뼈(대퇴골)나 종아리뼈(비골), 위팔뼈(상완골) 등의 길이만으로 키를 산출하는 방식입니다.예를 들어 ‘대퇴골의 길이는 키의 약 27%’라는 통계를 이용하는 ... ...
Interview. “수중시체 검시, 특별한 애정 필요해”
과학동아
l
201602
” 이 정도면 이미 뼈와 피부를 연결해주는 근육이 용해된 상태. 잘못 건드리면
시신
이 상한다. “피부를 잡아당기면 갑옷 벗듯 뼈에서 피부가 통째로 떨어져 나가기도 한다”고 김 교수는 말했다.자연적으로 생기는 훼손도 상당하다. “이 상처를 보세요. 딱 총알자국처럼 보이죠? 그런데 뒤쪽엔 ... ...
[PART 1] 화석이 알려주는 인류의 진화
수학동아
l
201511
낮은 호모 날레디가 도구를 사용했을 가능성에 흥미로워했다. 또 다른 전문가들은
시신
을 한 장소에 매립할 수 있었을까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버거 박사팀은 호모 날레디에 대해 더 연구해, 오스트랄로피테쿠스에서 호모 속으로 넘어가는 진화 과정을 둘러싼 베일을 한 꺼풀 벗겨낼 ... ...
“실제 사람 다리로 미라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1508
방법 외에도,
시신
을 자연적으로 건조시켜 미라로 만드는 방법이 있다. 기증받은
시신
의 반대쪽 다리는 건조 방법으로 실험하려고 했지만 실패했다. 수분을 빨리 제거하지 못해 부패가 시작됐다. 일주일 만에 실험을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Q 앞으로는 어떤 연구를 할 계획인가A 오랫동안 인류학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