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주"(으)로 총 259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체험활동] 수학이 사람을 만든다수학동아 l201607
- 운영하지요. 수학 퀴즈, π(파이)디자인 공모전, π로 이행시 짓기, 삼점일사(3.14) 사행시, 원주율 삼행시 등 재미난 대회가 속속 열립니다. 가장 높은 참가율을 보인 학급에는 ‘최고참가학급상’이 주어집니다.동아리 체험 활동학생들은 동아리 활동 시간이나 점심, 저녁 시간에도 체험 활동을 하며 ... ...
- [수학동아클리닉]초등_다시 보는 원주율과 원의 넓이수학동아 l201605
- 알면 원주를 알 수 있거나 원주를 알면 지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항상 일정한 원주율은 유리수처럼 정확하게 떨어지는 수가 아니라서 3, 3.1 혹은 3.14를 사용합니다. 왜 그럴까요?일본에서는 원의 넓이를 지도하기 전에 모눈종이 위에 도형을 보여주며 이미 배운 도형의 넓이를 구하게 합니다. ... ...
- [수학레시피] 생활에서 쉽게 찾는 비와 비율수학동아 l201604
- 비와 비율은 분수와 같은 개념입니다. 분수는 기준이 되는 기준량과 비교하는 양 사이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그래서 비와 비율을 배우는 도입부에 분 ... ‘원주율’이 있습니다. 비율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다면 5단원에서 배우게 될 원주율의 의미는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
- [새 책] 입자물리학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과학동아 l201602
- 돌게(!)하는 책이다. 13가지 수학 이야기를 간단한 게임을 통해 설명한다. 초콜릿으로 원주율의 근삿값을 구하고, 인기 게임 ‘앵그리버드’가 날아가는 궤적을 계산한다. 퍼즐 잡지를 생각나게 한다. 차이점이라면 비교도 안 되게 화려한 그래픽이랄까. 길지도 않다. 주제 당 7~8장. 심심풀이 땅콩으로 ... ...
- PART 1. 북한은 정말 수소폭탄을 터트렸을까과학동아 l201602
- 중인 것을 포함해 전세계에 170개의 지진파 관측 시설을 구축하고 있다. 우리나라 강원도 원주에도 시설이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CTBTO가최종적으로 확인한 폭발의 규모는 4.8이었다. 지난 2013년에 실시됐던 3차 핵실험의 4.9보다는 낮은 수치다. 규모는 0.1 밖에 차이가 나지 않지만 지진의 세기는 ... ...
- 양자역학과 수학을 연결하는 다리, π수학동아 l201512
- 원주율 π를 나타내는 공식이 양자역학에서 수소원자의 에너지 준위를 구하는 공식과 일치한다는 것이 증명됐습니다.미국 로체스터대 칼 헤이건 교수와 타마 프리드먼 방문 교수는 변분원리를 이용해 수소 원자의 에너지 준위를 구했습니다. 에너지 준위란 원자의 중심핵을 회전하고 있는 전자가 ... ...
- [Knowledge] 외계인도 아는 원주율 π과학동아 l201510
- "2시 방향 UFO 출현!" 이 말을 들은 지구인은 UFO가 어디서 오는지 알 수 없다. 하지만 외계의 지적 생명체는 알 수가 없다. 시침은 12시간마다 한 바퀴 회전하고, 따라서 2시 방향은 한 바퀴의 6분의 1에 해당하는 방향이라는 건 순전히 지구인끼리의 약속이기 때문이다. 시침이 1시간동안 30º를 움직이니 ... ...
- [스토리텔링 교과서 뛰어넘기] 화합과 평화의 상징, 원형 탁자수학동아 l201510
- 위에 있다고 가정한다.) 원에서 두 호가 같으면 현의 길이도 같다. 또 두 호가 같으면 원주각의 크기도 같다. 이런 원의 성질 때문에 원탁에 둘러앉은 사람은 모두 평등한 위치에 놓인다 ... ...
- 함께 나누는 수학 놀이 청주 중앙여중 파이(π)수학동아 l201507
- 그래서 같은 학년의 이다민, 허은수 학생과 함께 수학동아리 ‘파이($π$)’를 만들었다. 원주율을 뜻하는 파이란 이름은 특별히 $π$를 좋아하는 신현 학생의 아이디어다. 끝없이 반복되지 않고 이어지는 숫자에 매력을 느꼈다고 했다. 동아리 지원서에 ‘$π$의 소수점 이하 100자리를 써 보시오’, ‘ ... ...
- [생활] 도전과 재미가 무한대로 발산한다 용인외대부고 큐이디(Q.E.D.)수학동아 l201505
- 부원들과 얘기해 보려고 정리해왔어요.” _2학년 이승환독서토론을 참관한 기자는 원주율 π의 근삿값을 구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발표를 지켜봤다. 책에 자세한 증명 과정은 없었지만, 학생들은 직접 찾은 자료를 바탕으로 수학자의 증명 과정을 발표했다. 존 월리스, 레온하르트 오일러 같은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