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주"(으)로 총 259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로 읊고 퍼즐로 푼다! 수학 삼국지수학동아 l201206
- 1114~1193년)12세기의 인도 수학자로, 천문 관측기관의 책임자로 일하며 부정방정식과 원주율 계산에 몰두했다. 바스카라는 음과 음의 곱은 양이고, 음과 양의 곱은 음이라는 것을 내다봤다. 또한 3/0을 무한이라 말해, 0으로 나누는 것의 의미를 이해한 최초의 사람이기도 하다. 그는 근대 대수학처럼 ... ...
- 아이디어가 번쩍! 수학적인 특허소수학동아 l201205
- 이후 1761년 독일의 수학자 람베르트에 의해 원주율이 무리수라는 것이 증명됐다. 원주율 값을 정확하게 구하려는 노력은 지금도 계속 되고 있다.박회장의 주장, 인정합니다. 그렇지만 숫자나 기호 외에도 수학의 원리나 개념이 여러 분야에 활용되는 것이 무척 많습니다. 의미 있는 수학이론과 ... ...
-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204
- 발견한 가장 멀리 떨어진 퀘이사다.]물리상수는 수학에서 쓰는 상수, 예를 들어 원주율 π라든가 자연상수 e와 달리 계산을 해서 구한 값이 아니다. 측정을 통해서 얻은 것이다. 이런 까닭에 물리학자들은 이런 의문을 갖기도 한다. 1930년대에 위대한 천재 물리학자 폴 디랙이 처음으로 던진 질문이다. ... ...
- 숫자 4는 언제나 현재진행형!수학동아 l201204
- 한다.(44처럼 4를 연이어 사용할 수도 있다.)➋ 4 외에 다른 숫자는 사용하지 않는다.(π는 원주율 약 3.14를 나타내는 기호이므로 사용할 수 없다.)➌ +, -, ×, ÷ 등의 연산기호를 사용한다.위와 같은 규칙을 바탕으로 네 개의 4를 이용해 자연수를 차례로 나타낸다. 사실 몇 가지 자연수는 사칙연산인 +, -, ... ...
- 수학이 있어 더 행복한 날, π-day!수학동아 l201204
- 계산은 여기 있는 수백 대의 컴퓨터가 대신합니다.”교수님은 몇 가지 사례를 들어 원주율 π값을 정확하게 구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해 주셨다. 우주에 로켓을 쏠 때 로켓이 이동한 거리와 시간을 계산하거나, 전하를 띤 두 입자 사이의 힘을 구할 때, 또 전류가 흐르는 전선 주위의 자기장의 힘을 ... ...
- 스펀지 MATH수학동아 l201203
- 이 때 지름이 1m인 바퀴를 한 바퀴 굴린 길이를 원주율이라고 정했죠. 그 때 계산했던 원주율은 약 3.1605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값과는 조금 다르죠? 당시 계산했던 결과는 대부분 근삿값이니까요.바퀴 속 작은 원은 무한히 □한다!후~. 첫 번째 문제부터 만만치 않군요. 바로 다음 문제 만나 보죠. ... ...
- 하드디스크 읽기/쓰기 속도가 다른 이유과학동아 l201202
- 방향으로의 이동거리를 의미하는 선속력은 υ=ωr=2πr/T 로 표현할 수 있다. 즉 선속력는 원주의 길이를 주기로 나눈 것이다. 좀 더 쉽게 설명하자면 선속력이란 어떤 물체가 얼마나 빨리 도는지를 나타낸다.위 식을 이용해 하드디스크 각 위치의 회전속력을 구해 보자. 앞에서도 말했듯이 일반적인 ... ...
- 눈은 번쩍! 얼굴은 반짝! 과학으로 쓰는 안경어린이과학동아 l201118
- 빛이 망막의 각기 다른 곳에 상을 맺는다. 그 결과 사물이 흐릿하게 겹쳐 보인다. 원주렌즈는 수평으로 들어와 맺힌 상과 수직으로 들어와 맺힌 상을 하나로 모아 준다. 그 다음 모아진 상이 망막의 앞쪽에 맺히면 오목렌즈로, 뒤쪽에 맺히면 볼록렌즈로 교정한다.잠깐! 부등시는 콘택트렌즈로 교정을 ... ...
- 산타는 소시지 포장을 좋아해과학동아 l201112
- 원통형 포장용기가 유용한데 이때는 다음의 공식이 필요하다.h는 원통의 높이다. 높이를 원주율에서 2를 뺀 값으로 나눈 값을 원통형의 반지름과 비교해보자. 만약 반지름이 위의 값보다 작다면 원통을 길게 감싸는 방식으로 포장하는 게 가장 포장지를 적게 사용한다. 그러나 반대로 반지름이 위 ... ...
- Part 4. 전세계 네트워크, SNS로 통한다!수학동아 l201112
-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과 한국에 사는 중학생, 유럽에 사는 어린이와 아마존에 사는 원주민도 6단계면 충분히 연결된 뜻이기 때문이다.그러나 사회학자들은 여섯 단계 분리 실험이 작은 모집단을 대상으로 했다는 이유로 이 이론을 완전히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래서 여러 사회학자와 심리학자들은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