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재앙"(으)로 총 2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수학과 물리, 두 마리 토끼 잡기에 나서다!수학동아 l201608
- 동안 같은 것만 계속 생각했기 때문에 관성에 의해서 어떤 일을 해도 생각이 멈추지 않는 재앙이 닥친다는 겁니다. 샤워를 할때도 운전을 할 때도 머리는 계속 부등식 문제를 푸는 것이죠. 그래서 이때 잠깐 쉬기 위해서 집중할 새로운 대상을 찾아요. 그게 저에겐 컴퓨터 게임이지요. 요즘은 ... ...
- [Knowledge] 거대 악어의 반격이 시작되다!과학동아 l201605
- 분열로 급격한 환경변화도 겪었고, 6600만 년 전의 소행성 충돌 사건도 목격했다. 이런 재앙에도 불구하고 악어는 끈질기게 살아남아 지금까지 우리 곁에서 숨 쉬고 있다. 하지만 오늘날까지 이어져온 이들의 명맥이 가까운 미래에 끝나버릴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악어는 현재 인간 때문에 최대의 ... ...
- 우주날씨의 비밀을 밝혀라~! 오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23
- 하구먼. 저 비단 모양을 보고 우주 날씨까지 알아낼 수 있다니! 지금까지 적기를 보고는 재앙이 닥친 줄 알고 엄청 겁을 냈는데, 이제 그럴 필요가 없겠군 그래. 앞으로는 하늘에 적기가 나타나면 유심히 살펴보고 기록해 둬야겠소. 친구들도 나와 함께 꾸준히 적기에 관심을 가져 ... ...
- 제2의 교토의정서 나올까과학동아 l201512
- 더 빠르게 다가오기 때문이다. 저개발국들은 지구의 기온이 1.5℃만 상승해도 자국에 재앙이 닥쳐올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덴마크 코펜하겐대 마야 파스가르드 교수는 저개발국의 상황을 제대로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기후 조사가 부정확하다고 학술지 ‘국제환경변화’ 11월호에서 밝혔다. ... ...
- Part 3. 몸은 메가이터가 될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과학동아 l201511
- 이유라기보다 다분히 심리적인 이유(탐식)에서 비롯된다. 그리고 여기에서 모든 재앙이 시작됐다. 많이 먹을 몸이 아니다…그런데 많이 먹는다이제 인간은 탐식을 주체하지 못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탐식 때문에 자주 먹더라도 섭취량이 적으면 괜찮다. 문제는 ‘과식’이다. 전 인류는 과식하는 ... ...
- 18년 만의 슈퍼 엘니뇨 강타과학동아 l201507
- 슈퍼 엘니뇨가 뭐기에엘니뇨는 적도 동태평양 해역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은 상태로 지속되는 현상이다. 평소 이 지역에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무역풍이 불고 있다. 무역 ... ‘들었다 놨다’ 할 수 있다. 이는 당장의 무더위, 강한 태풍과는 비교할 수 없는 기상 재앙이 될 것이다 ... ...
- 유전자 편집, 혁명인가 재앙인가과학동아 l201506
- “키는 180cm, 지능은 IQ 150” 맞춤형 아기를 주문하는, 영화에서 나올 법한 일이 먼 미래엔 현실이 될지도 모른다. 게놈 편집을 가능케 하는제3세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CRISPR)’ 때문이다. 크리스퍼의 성능은 기존의 유전자 가위와 비교를 거부한다. 연구가 시작된 지 3년도 채 되지않았지만 쥐, ... ...
- PART2. 지진과 빅데이터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과학동아 l201506
- 대피소로 피신 한 것이다. 연구를 수행한 이마무라 후미히코 교수는 NHK 다큐멘터리 ‘재앙, 빅데이터’의 인터뷰에서 “쓰 나미 대피소를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곳, 지대가 높은 곳에 마련해야 한다는 사실을 일깨워주는 결과”라고 말했다. 동일본 대지진 당시 차량 내비게이션 정보를 분석한 ...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과학동아 l201506
- 예측 가능해도 피해 줄이기엔 역부족네팔 지진은 보기 드물게 과학자에 의해 예견된 재앙이었다는 점에서도 안타까움을 주고 있다. 지진 발 생 2주 전 발간된 네팔 지질학회지에는 카트만두에서 큰 지진이 발생할 것이라는 프랑스원자력연구기관 (CEA) 로랑 볼랭저 연구원팀의 연구결과가 실렸다. ...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과학동아 l201506
- 유전자 조작이 처음 시작된 것은 1970년대다. 1970년 DNA의 특정 서열을 인지해 자르는 '제한효소'가 발견된 것을 시작으로 DNA를 자르고 붙이고 삽입하는 유전자 조작 기술이 탄생했다. 그러나 제한효소를 활용한 유전자조작기술은 그 한계가 명확했다. 인식할 수 있는 서열의 길이가 너무 짧았다. 제한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