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재앙"(으)로 총 272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에볼라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1409
- 역사● 에볼라는 1976년 중앙 아프리카 지역에서 처음 발생했다. ‘에볼라’의 유래는 그 해 자이르(현 콩고민주공화국)의 에볼라강 주변에서 에볼라 바이 ... 에볼라 무방비 국가PART3. 인간에겐 아직 두 개의 무기가 남아 있습니다EPILOGUE. 에볼라 대재앙 앞으로 어떻게? 대유행 팬데믹은 아직 ... ...
- PART3. 인간에겐 아직 두 개의 무기가 남아 있습니다과학동아 l201409
- 에볼라 무방비 국가PART3. 인간에겐 아직 두 개의 무기가 남아 있습니다EPILOGUE. 에볼라 대재앙 앞으로 어떻게? 대유행 팬데믹은 아직 일러플라스미드 백신의 원리플라스미드 백신의 원리 플라스미드에 에볼라 유전자를 넣어 에볼라 항체 생산을 유도한다. 에볼라의 RNA를 추출한다. 에볼라 RNA로 ... ...
- ‘잘 늙고 잘 죽는’ 웰에이징 메카 꿈꾼다과학동아 l201408
- 못하면 무용지물이다. 만약 시스템이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외부의 해킹에 취약하다면 큰 재앙이 일어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과정이 정확하고 안전해야 하는데, 이를 연구하는 분야가 바로 CPS다. 은용순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교수는 “미래 사회의 인프라는 CPS로 구현될 것”이라며 “시스템 ... ...
- 눈으로 세상을 제패한 빛의 지배자 - 삼엽충과학동아 l201408
- 생각된다. 두 번의 대멸종을 견뎌 온 삼엽충에게도 페름기 말 대멸종은 견디기 어려운 재앙이었을 것이다.앞선 두 번의 대멸종을 견딘 놀라운 생존력의 비결은 무엇이었을까. 혹시 눈 덕분은 아니었을까. 삼엽충의 눈은 지금 봐도 놀랄 정도로 ‘최첨단’을 자랑한다. 머리 중간쯤에 좌우로 한 쌍이 ... ...
- 독두꺼비 출현, 마다가스카르 생태에 재앙과학동아 l201407
- 독특한 생태로 유명한 아프리카 동쪽의 섬나라 ‘마다가스카르’에 독 뿜는 아시아두꺼비 출현으로 섬에 사는 토착종이 완전히 파괴될 수도 있는 재앙에 직면했다. 아시아두꺼비의 친척뻘인 수수두꺼비는 이미 호주 고유종을 멸종 위기로 몰아넣은 바 있다. ...
- [Life & Tech] 암세포만 때려잡는 마법 방망이과학동아 l201406
- 혹 붙이는 격은 아닐까하지만 나노입자가 과연 안전한 걸까.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재앙이 되지는 않을까. 영화에서 ‘기적의 나노입자’가 강과 바다, 비를 타고 멀리 퍼져서 결국은 지구를 마비시킨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나노물질인 그래핀도 그럴 수 있다. 그래핀은 탄소가 육각형 그물처럼 ... ...
- 운석은 진주에만 떨어졌을까과학동아 l201405
- 수백 년 전 선조들에게도 미치지 못하고 있으니 정말 부끄러운 일이다.Q 운석 충돌은 대재앙을 일으킬까진주 운석은 두 가지 면에서 행운이었다. 민가 근처에 떨어져 운석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다친 사람이나 재산 피해가 없다는 점이다. 항상 이렇게 운이 좋은 것은 아니다. 2013년 2월 러시아 ... ...
- 쓰나미 쓰레기섬, 미국 덮칠까?과학동아 l201403
- 0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 당시 많은 과학자가 3년 뒤 벌어질 재앙을 예언했다. 그리고 2014년 3월, 드디어 그날이 왔다. 쓰레기섬은 없다, 그러나…다행히도 쓰레기섬이 미국 서부 해안을 덮치는 재난영화 같은 일은 벌어지지 않았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은 작년 3월 “태평양에 쓰레기가 쌓인 육지 ... ...
- AI, “또 죽어야 하나요?”과학동아 l201402
- 철새에 묻어온 조류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가 전북 고창과 부안에 퍼지면서 끔찍한 재앙이 되풀이되고 있다. 다급해진 방역당국이 축산 관계자들의 이동까지 막으며 전염을 늦춰보려 하지만, 하늘 높이 훨훨 날며 바이러스 묻은 배설물을 퍼뜨리는 철새를 막을 방법은 없다. 시간이 갈수록 ... ...
- 에디슨이 블랙아웃 막는다과학동아 l201312
- 밝혔다. 120년 전, 에디슨이 그토록 주창했던 직류가 이제야 날개를 단 것이다.교류의 재앙 : 전선 하나만 잘못돼도 블랙아웃 일어나전기는 교류와 직류, 2가지가 있다. 현재 우리가 쓰는 전기는 교류다. 직류는 전류의 크기와 방향이 일정한 데 비해, 교류는 주기적으로 변한다.교류는 대형 발전소 한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