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퇴화"(으)로 총 249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과학동아 l201606
- 자료수집용으로 만들어졌으며 10만 년 동안 지하 생태계에서 살아가는 동안 천천히 퇴화되었다고 믿는다. 고장난 기계인 셈이다.그 고장난 기계가 지금 내 머릿속에서 뭐하고 있는 거지? 윤정은 소파에 앉아 눈을 감았다. 온 몸의 힘을 빼고 아무 생각도 하지 않으려 노력하면서 천천히 그녀의 몸 ... ...
-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05
- 떨어질 거예요. 그리고 시간이 흐를수록 좋은 눈만 자꾸 발달하는 한편, 나쁜 쪽 눈은 퇴화해 시력이 나오지 않게 돼요. 즉, 시신경이나 눈에 큰 문제가 없어도 뇌가 보려고 하지 않아 결국 실명으로까지 이어지는 약시가 되는 거지요. 다행스럽게도 약시는 시력발달이 완성되기 전에 발견해 빨리 ... ...
- [Knowledge] 공룡의 그늘 밑에서 살아 남아라!과학동아 l201604
- 완벽한 바다 속 생활을 위해 선조가 물려준 방어용 골편을 과감하게 모두 퇴화시켰다. 몸은 물고기와 유사한 유선형이 됐다.또 네 개의 다리로 몸을 들어 올릴 일이 없어지자 이것을 지느러미로 바꿨다. 네 개의 지느러미는 헤엄을 치며 몸의 방향을 바꿀 때 유용했다. 꼬리는 좌우로 흔들며 수영하기 ... ...
- [재미] 도넛처럼 생긴 적혈구의 비밀수학동아 l201604
- 일반 세포와 달리, 적혈구는 산소를 운반하는 특별한 세포로 진화하면서 핵이 퇴화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실제로 적혈구가 둥글게 통통한 모양 대신 가운데가 오목하게 들어간 모양인 덕분에 산소를 싣는 부분의 표면적이 넓어졌습니다. 산소를 효율적으로 싣고 손끝과 발끝까지 안전하게 ... ...
- 거꾸로 푸는 역문제수학동아 l201604
- 보통 진흙 속에 산다. 이 때문에 앞이 잘 안 보일 수밖에 없고, 필요가 없어진 눈은 퇴화했다. 대신에 미세한 전류를 이용해 주위에 무엇이 있는지 알아낸다. 전류를 흘린 뒤 되돌아 온 정보로 먹이를 찾는 것이다.전기물고기는 주위에 어떤 물체가 있으면 전류를 흘렸을 때 돌아오는 정보가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한밤중에 벌어진 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603
- 시절 물에서 살 수 있는 비결은 아가미로 호흡을 하기 때문이에요. 다 자란 뒤 아가미는 퇴화되고 대신 폐와 피부로 호흡을 해요. 그래서 물과 땅을 오가며 살 수 있지요. 개구리처럼 물과 땅 양쪽에서 사는 동물을 ‘양서류’라고 해요. 양서류에는 개구리 외에도 도롱뇽, 두꺼비, 맹꽁이 등이 있어요 ... ...
- [Knowledge] 직립보행의 선구자 원시 악어과학동아 l201603
- 위악류 중에 포포사우루스상과(위 공룡들 중 세 번째)가 있다. 이들은 무거운 골편을 퇴화시켜서 몸무게를 줄였고, 일부 포포사우루스상과는 아예 뒷다리로 이족보행을 시작했다. 그래서 외모가 공룡과 매우 흡사했다. 미국의 후기 트라이아스기 친레층에서 발견된 에피기아의 경우, 처음 발견됐을 ... ...
- [Knowledge]파충류의 속사정 ➒ 익룡 中 ‘중생대 뷔페’가 만든 기기묘묘한 머리과학동아 l201601
- 아무리 크고 단단하다 해도 몸 전체의 무게와 비교하면 그리 무겁지 않다. 게다가 이빨의 퇴화가 비행에 이롭다면 다른 익룡도 이빨이 없어지는 방향으로 진화했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보고된 대부분의 익룡은 이빨을 가지고 있다. 요즘 과학자들의 생각은 이렇다. 이빨이 없는 프테라노돈은 ... ...
- 장님 물고기는 먹보?!어린이과학동아 l201515
- 모습이었죠. 하지만 우리가 동굴에 살면서 그 친구들과 다른 모습을 갖게 됐지요. 눈이 퇴화됐고, 그 대신 뛰어난 후각을 갖게 됐답니다. 또한 색소도 없어져서 이렇게 투명한 피부를 자랑하지요.아~, 동굴엔 빛이 없어서 눈이 필요 없어진 거구나?빛이 없어진 게 직접적인 이유는 아니에요. 오히려 ...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과학동아 l201511
- 일어날 수 있다. 번식능력이나 질병저항성 등이 떨어지는 것이다. 이런 근교퇴화는 근친결혼이 많았던 여러 고대 왕조의 멸망 원인으로도 꼽힌다.최연호 박사는 “2007년쯤부터 이런 문제점이 인식되고 근친교배를 줄이는 방향으로 육종하는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그러나 아직 모든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