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즉시
당장에
바로
직접
d라이브러리
"
곧
"(으)로 총 3,232건 검색되었습니다.
[SF소설] 엔딩의 발견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것도 2월이어서일까. 마지막 눈이 내리고, 볕을 따라 걸으면 정말로 춥지는 않고,
곧
두 번 다시 들르지 않게 될 교실에 서 있던 2월그녀는 결정을 내릴 수 있을 것 같았다.“2월이 좋아요. 2월 중에서는 마지막 주가 좋고, 토요일과 일요일 중에서는” 아리는 쉽게 고르지 못하고 망설였다. “꼭 날짜를 ... ...
전략의 신 3. 철옹성 같은 수비벽 수비 시프트
수학동아
l
2024년 03호
만약 이 상황이 벌어지면 3루 주자가 홈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곧
이 선수는 3루로 돌아가야 했다. 투수와 포수를 제외한 모든 야수는 페어 지역(파울 라인 안의 지역)에 있어야 한다는 야구 규칙을 위반했기 때문이다. 포수 뒤쪽은 파울 라인 밖이다. 한국 야구계뿐만 아니라 ... ...
[빅테크 기업들의 생성 AI 독주 속 START-UP 살아남는 방법] 프렌들리 AI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탈 수 있다고 가정하자. 첫 운행 때 4명의 손님이 탑승한 후 회전목마 운전은 시작됐고,
곧
이어 또 다른 손님이 왔다. 아쉽게 한발 늦은 손님은 운행이 끝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문제는 5바퀴 돌 때쯤 그만 타고 싶은 손님이 생기는 경우다. 이런 상황에서 놀이기구 사장이 돈을 벌기 가장 좋은 ... ...
[퍼즐탐정 썰렁홈즈] 프로게이머 빠이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해 보자. 우린 달라졌다!”기합을 넣고 다시 게임을 시작한 썰렁홈즈와 다무러. 하지만
곧
고개를 떨구고 말았다.“훈련에 힘을 다 써서 잠이…. 드르렁 ... ...
소수를 사랑한 신학자 메르센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때 비슷한 크기의 다른 홀수보다 소수일 가능성이 훨씬 더 컸다. 하지만 메르센은
곧
이 생각이 틀렸다는 것을 알게 된다. 머지않아 n이 소수일 때 메르센 수가 모두 소수가 된다고 생각했다. 훗날 사람들은 메르센 수 중 소수인 수를 ‘메르센 소수’라고 이름 붙인다. 그런데 메르센은 n이 11일 ... ...
타디그레이트 피플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뒤면 공립 도서관 개관 시간입니다. 두 사람은 이곳에 조금 더 머물 예정이에요? 아니면
곧
바로 도서관으로 이동할 건가요?”미아가 선의 팔을 끌어당기며 쾌활하게 답했다.“당연히 바로 도서관으로 가야죠! 가자!”공립 도서관으로 이동하는 미아의 발걸음은 유독 들떠 보였다. 선은 그런 미아의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가스 하이드레이트, 식량 자급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자연 상태의 가스 하이드레이트가 시베리아 영구동토층●에서 처음 발견됩니다.
곧
이어 수심 300m 이상의 깊은 해저에서도 다량 발견되지요. 전 세계에 매장된 가스 하이드레이트 양은 10조 t(톤)으로 추정됩니다.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기존의 한정된 화석연료를 대체할 미래의 에너지원으로 ... ...
[대학원 탈출일지] 그곳에 행복이 없는 것은 당연하다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과정 또한 지식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연구의 시작은 무엇을 연구할지 정하는 것,
곧
주제 잡기다. 대학원 탈출일지(40~42화)에서 주제 잡기는 ‘보물찾기’로 설명된다. 여러 지식들을 토대로 참신한 아이디어를 통해 아직 발견되지 않은 주제를 찾으면 된다는 것이다. 실험 정복편(106~108화)은 ... ...
[SF소설] 더 마더(THE MOTHER)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받는다고 이야기한 거야. 자네는 유명한 정치인이나 기업인도 아니지 않은가. 이제
곧
미래의 자네가 살인을 저지를 시간일세. 이 역시 임무라는 걸 기억해. 현실 세계에서 자네의 목숨은 이 임무의 성공 여부에 달렸어.”내 목숨이 이 임무의 성공 여부에 달렸다는 말이 참 아이러니하게 들렸다. ... ...
[Rethinking] 제12화. 수학의 본질은 무엇인가?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역사를 공부해요. 수학에서 새로운 이론을 도출하기 위해 선행 연구를 검토하는 것도
곧
역사를 공부하는 것과 같지요. 다만 보통의 수학자가 검토하는 역사는 범위가 비교적 짧고 최근인 것에 비해서 수학사를 연구하는 저는 훨씬 더 오래전의 수학을 들여다봐요. 수학사를 공부하는 것이 왜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