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핫이슈] 소떡소떡? 소쌀소쌀! 지구를 지키는 쌀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6호
- 단백질과 지방 함량이 더 높을 텐데 말이에요. 논문에 참여한 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이미래 연구원은 “소 세포만으로 덩어리 고기를 만들려면 한 층으로 된 얇은 소고기를 아주 많이 쌓아야 하는데, 효율도 떨어지고, 별도의 기술과 첨가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어요. 그래서 소 세포를 큰 ... ...
- [특별한 수학] 부릉부릉! 달려라, 자동차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5호
- 빵빵~! 모두 반가워요! 저는 ‘부와앙’이에요.누구보다 빠르고, 남들과는 다른 자동차가 되길 꿈꾸지요.그래서 저는 최고의 자동차가 될 방법을 찾아 떠나보려고 해요.여러분도 함께 달려 보실래요? 어떤 자동차가 있을까? 자동차는 주로 10명 이하의 사람을 태우는 승용차, 11명 이상 태우는 승 ... ...
- [특집] 사람도, 동식물도 괴로워! 도시 공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5호
- 불쾌한 냄새에 코를 막거나, 시끄러운 공사 소리에 귀를 막은 적이 있지 않나요? 자동차 매연에 목이 멘 적이나, 밤에도 대낮처럼 환한 야구장 조명에 눈이 부신 적은요? 도시의 공해 요소는 알게 모르게 우리의 건강부터 동식물의 건강까지 해치고 있어요. 도시 공해, 과학이 찾은 답은 무엇일까요 ... ...
- [만화뉴스] 마스크가 감정변화를 알아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5호
- 월 15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과 김지윤 교수팀은 실시간으로 감정을 인식하는 마스크를 공개했어요. 연구팀은 피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전기 센서로 마스크를 만들었습니다. 마스크는 사용자의 얼굴 근육 변화와 음성의 세기, 높낮이 등을 감지해요.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이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한 손에 쏙 들어오는 예쁜 선물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5호
- 의료용 물질로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7월, 영국 런던대학교 기계공학과 모한 에디리싱헤 교수팀은 카제인이 상처를 치유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피부에 상처가 난 9마리의 쥐 중 6마리에만 붕대를 감았어요. 6마리 중 3마리의 쥐한테는 카제인이 ... ...
- [도시공해] 도심의 생태계 괴롭힌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5호
- 크릴새우가 모두 죽고 플랑크톤은 90% 이상 사망한다”고 말했습니다. 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성찬용 교수는 “당장 드러나지는 않지만 도시 공해가 장기적으로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건 명백한 사실”이라고 강조했어요 ... ...
- [뉴럴링크] 뉴럴링크가 이뤄낸 혁신은 소프트웨어 아닌 하드웨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형태로 세상에 내놨다. 이런 점에서 임창환 한양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는 뉴럴링크를 ‘아이폰’에 비유했다. 그는 “기존에 있었던 기술을 최적화해서 집약해 아이폰이 탄생한 것처럼, 머스크 특유의 추진력으로 뿔뿔이 흩어진 연구를 한 데 모아서 일종의 종합 예술을 ... ...
- “공학도로서 연구자 평가제도 다각화에 기여하고파”_박충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더 큰 크기로 사회에 기여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제가 공학자로 살아가고 있음에도 사회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졌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과학에 깊게 파고들수록 시야가 좁아질 수 있습니다. 넓은 시야를 갖고 내가 가고 있는 길의 방향과 주변 세상을 ... ...
- [인터뷰] 전 국민의 화학 선생님, 여인형 교수 “이 세상에 화학물질이 아닌 것이 있을까요?”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학문에 본격적으로 재미를 느낀 것은 대학생 시절. 장학금을 받기 위해 물리, 전자공학, 화학 등 모든 기초과학 분야의 공부에 매진하면서다. 그 과정에서 그는 자연스럽게 화학이 모든 과학을 연결해주는 고리라는 점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물이라는 화합물에 전기를 가하면 수소와 산소가 ... ...
- [SF소설] 코리아 닉테이션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허연 거품이 인 유 교수의 입술에 집중했다.“그때도 그랬지.” 04학번인 그가 생명공학과를 지원할 당시 황우석 박사 신드롬으로 학과 입결이 의대보다도 훨씬 높았다고 한다. 입학 당시의 과학계는 전 국민적인 지원을 받은 그야말로 황금기였다. 유 교수를 비롯한 당시 대학원생들은 자신의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