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동키즈] “이제는 직업을 만드는 시대라고 생각해요”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시절까지의 이야기를 다 들은 후 좀 의아한 부분이 있었습니다. 물리, 컴퓨터공학, 금융경제학을 공부한 그의 앞길에 창업이란 선택지가 나타난 게 매끄럽게 연결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뤼튼테크놀로지스 창업의 시작은 아름다운 이유는 아니었어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라는 ... ...
- [기획] 총알보다 빠른 극초음속 비행기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동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대학졸업후드론의자동비행알고리즘을 설계하는 공학자로 일했다. 현재 미국 텍사스대 오스틴캠퍼스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dlawogks2005@gmail ... ...
- [기획] 소리보다 빠른 초음속 여객기 돌아올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충격파의 에너지도 분산되면서 소닉 붐도 약해진다.1월 30일 만난 김형진 경희대 기계공학과 교수는 긴 기체에 숨겨진 또 다른 소음 저감 기술을 설명했다. 길쭉한 기체가 충격파가 서로 합쳐지지 못하게 하는 역할도 한다는 것이다. 비행기의 기체 여기저기서 충격파가 생기는데, 이 충격파들이 ... ...
- [특별기획]Part2. SKA프로젝트 1000개의 펄사로 우주를 이해하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자유자재로 하늘을 바라보는 방향을 바꿀 수 있는 안테나형 전파망원경의 최대 구경은 공학적으로 한계가 있다. 이 한계는 전파간섭계를 활용하면 극복할 수 있다. 전파간섭계는 빛의 간섭 현상을 이용해 멀리 떨어진 여러 대의 망원경이 수신한 신호를 합성하는 기술이다. 이렇게 하면 높은 ... ...
- [과학사 극장] 뉴턴은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떠올렸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것 외에도, 광물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약제를 분류 및 처방하는 작업, 즉 오늘날 화학공학이나 의약학의 범주에 속하는 다양한 주제의 연구를 수행했다. 그렇다면 연금술은 현대 과학의 발전에 어떻게 기여했을까? 비록 연금술은 그 모습 그대로 현대 화학에 계승되지 않았지만, 연금술의 실험 ... ...
-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거대 소수 찾기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도전하고 또 도전하는 것이 수학의 매력이라는 점을 배웠다고 한다. 대학에서 전기 공학을 전공한 그는 페덱스에서 재무관리를 담당했는데, 시간이 날 때마다 매일 거대 소수를 찾았다. 앞으로도 페이스는 소수를 계속 찾을 것이라 호언장담했다. 페이스보다 앞서 더 거대 소수 찾기에 빠졌던 ... ...
- [과학뉴스] 뱃속에서 덜덜덜! 포만감 올려주는 캡슐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최근 슈리아 스리니바산 미국 하버드대 생명공학과 교수와 조반니 트라베르소 MIT 기계공학과 교수 등 공동연구팀이 한 알만 먹어도 음식 섭취량을 40%나 줄일 수 있는 알약을 개발했기 때문이다. 해당 연구는 2023년 12월 22일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소개됐다. doi: 10.1126/sciadv.adj3003 비만은 날이 . ...
- Part2. 4족보행 로봇 AI에게 걸음마 배워 세상으로!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로봇을 만나러 눈길을 헤치며 도착한 곳은 다름 아닌 대전 KAIST였다. 박해원 KAIST 기계공학과 교수팀이 개발한 4족보행 로봇 ‘하운드’가 ‘100m를 가장 빠른 속도로 주파한 4족보행 로봇’이란 기네스 세계 기록을 남겼다는 소식이 전해졌기 때문이었다. 100m를 19.87초 만에 주파한 하운드의 달리기 ... ...
- [빅테크 기업들의 생성 AI 독주 속 START-UP 살아남는 방법] 프렌들리 AI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많이 활용될수록, 더 가치를 발휘하는 시스템이다.오르카는 2022년 전병곤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가 유경인 최고기술책임자(CTO)와 함께 개발한 기술로, 해당 연구는 컴퓨터 시스템 분야 세계 최고 학회로 여겨지는 ‘OSDI 2022’에서 발표됐다. 오르카는 연산 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비효율을 ... ...
- [논문탐독] 혹등고래가 알려준 자유자재 유체 사용법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필요 없는 것은 없다니까요! ❋필자소개임재한. 항공우주 엔지니어. KAIST 항공우주공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대학 졸업 후 드론의 자동 비행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엔지니어로 일했다.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dlawogks2005@gmail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