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념관
기념물
묘비
비석
d라이브러리
"
기념비
"(으)로 총 10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라이트 형제의 첫 비행 115주년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4호
형제 기념공원으로 변신했어요. 이곳에 가면 비행기가 이륙했던 언덕에 20m 크기의
기념비
가 있고, 네 번의 비행 동안 착륙한 지점을 표시하기 위해 놓인 돌을 볼 수 있지요. 또 매년 12월 17일이 되면 라이트 형제의 업적을 기리는 축제가 성대하게 열린답니다 ... ...
생리의학상 -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그는 CTLA-4 항체를 인간의 암 치료에 적용하기 위해서 부단히 노력했고, 마침내 2010년
기념비
적인 임상 시험 결과를 얻었다. CTLA-4 항체를 투여 받은 흑색종(피부암의 일종) 말기 환자들의 20~25%가 완치된 것이다. 당시 말기 흑색종은 완치 가능성이 매우 낮았기 때문에, 연구자들조차 믿기 힘들 만큼 ... ...
[Career] 파킨슨병 치료의 ‘골든타임’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하는 등 치료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박사과정 시절 퇴행성 뇌질환 분야의
기념비
적인 논문을 작성했다. 2006년 세계적 권위의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주저자로 참여해 발표한 파킨슨병 관련 논문은 지금까지 1250회 이상 인용될 만큼 파킨슨병 연구의 ‘바이블’이 됐다. 당시 이 ... ...
[Origin] 내 안의 또 다른 나, 장내미생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인체에 공생하는 미생물의 생태계 변화가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밝혀낸
기념비
적인 연구 입니다. 또 무균 실험동물에 미생물을 이식해 미생물의 역할을 입증한 연구 방법 또한 당시로서는 매우 획기적인 접근법이었죠. 실험 동물의 미생물 유전자를 분석한 것도 최초였고요. 연구가 ... ...
[Origin] 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 분자기계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노벨위원회는 이 가치를 인정해 2016년 분자기계 분야에서
기념비
적인 논문을 쓴 세 연구자(소바주 교수, 스토더트 교수, 페링하 교수)를 노벨화학상의 주인공으로 선정했습니다. 최성훈_ sunghunchoi1985@gmail.com서울대 멀티스케일에너지과학기술연구실의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연구원과 최신 연구 동향에 밝을 수밖에 없는 박사후연구원이 직접 해당 분야의
기념비
적인 논문을 선정하고 그 내용을 쉽게 해설하는 ‘언니오빠 논문 연구소’를 이번 호부터 연재합니다. ‘나는 이성적인 사고가 발달한 사람이야’ ‘나는 감정이 앞서는 편이야’ 등과 같이 자신의 성향을 ... ...
[Origin]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의 탄생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논문인 ‘동물 갈등의 논리’가 ‘네이처’에 게재됐다. 진화 게임 이론의 시대를 연
기념비
적인 논문이었다. 전중환_evopsy@gmail.com서울대 생물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미국 텍사스대 심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진화심리학 전문가이며 현재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로 재직 ... ...
[Culture] 우주의 다른 이름은 게임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그렇게 돼서 문자마저 소실되면 별 수 없지만. 아니면 자신들의 멸종을 예상하고 남겨둔
기념비
… 혹은 묘비인지도 몰라. 물론, 어쩌면 네 말대로 멍청한 외계 종족이 자기 디스크랑 디지털 연산을 몰라서 멍청하게 일일이 대출 카드 작성하고 손수레에 플라스틱판을 날라다 찍어서 대출하고 ... ...
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사실을 밝혀내 1974년 논문으로 발표했다. ‘DNA 복구’라는 새로운 연구분야를 열어젖힌
기념비
적인 성과였다.짝을 잘못 찾은 염기를 바로잡는 표지판1946년 미국 뉴멕시코주의 작은 마을에서 태어난 폴 모드리치 교수는 ‘DNA 불일치 복구’를 밝혔다. 생물학 교사였던 아버지는 1963년 모드리치를 ... ...
Part 1. 처절한 생명력 : 대멸종에서 살아 돌아오다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1969년과 1976년에 발표한 논문은 시조새와 현생 조류의 유사성을 해부학적으로 밝힌
기념비
적인 논문들이다. 오스트롬 교수는 백악기 전기의 육식공룡 ‘데이노니쿠스(Deinonychus)’와 ‘시조새와 새의 기원’을 연구한 각각의 논문을 통해 조류 골격의 특징들이 수각류 공룡에서 오랜 시간에 걸쳐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