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념관
기념물
묘비
비석
d라이브러리
"
기념비
"(으)로 총 102건 검색되었습니다.
발생의 마법사, 신경제세포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많은 발생학자들이 신경제세포의 이동경로와 분화과정에 대해 연구해왔다. 이 중 가장
기념비
적인 것은 니콜 르 다우린 박사가 실험한 메추라기와 닭의 이종이식.르 다우린 박사는 발생 중 신경관 일부를 제거한 닭의 배아에 메추라기의 신경관 일부를 이식했다. 많은 경우 닭은 무사히 성체로 ... ...
의자로 본 디자인 변천사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보고 강철 파이프를 구부려 만든 의자를 착안했다. 현존하는 수많은 의자들의 원형이 된
기념비
적인 작품이다. 파이미오1930~1931년, 자작나무쿠션없이 딱딱한 의자가 오히려 편안하다는 컨셉으로 핀란드의 건축학자이자 가구 디자이너인 알바 알토가 디자인했다. 유연하고 저렴한 합판을 사용했다 ... ...
민간 유인로켓, 고도 64km 비행성공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컴포지츠사는 “이번 비행은 민간 유인우주비행을 실현시키려는 노력에 또 하나의
기념비
적 사건이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스페이스쉽원은 별도 추진로켓으로 단독비행을 성공적으로 마친 뒤 지상으로 복귀할 때는 공중에서 맴을 돌며 모하비공항 활주로에 착륙했다 ... ...
과학으로 승부한다 - '무어의 법칙' 을 추월한 괴력의 삼성전자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개발한 2기가, 4기가비트 플래시 메모리는 역사상 처음으로 nm급 선폭 기술을 사용해 만든
기념비
적인 반도체다. 4기가 플래시 메모리는 머리카락 1천4백분의 1 굵기인 70nm(nm=10억분의 1m) 선폭기술로 제조됐다. 마이크론 등 대부분의 반도체 회사는 아직도 ‘마의 장벽’인 0.1μm를 돌파하지 못하고 ... ...
누가 다윈의 진정한 후예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해밀턴 박사님이 대학원 시절을 이곳 런던정경대학에서 보내면서 현대 진화생물학의
기념비
적인 논문인 ‘사회적 행동의 유전적 진화’(1964년)를 집필했다는 사실을 아시는 분은 그리 많지 않을 겁니다. 사실 더 큰 규모의 강당도 있었지만 굳이 이곳을 다윈의 식탁 마지막 장소로 선택한 것은 바로 ... ...
'생물의 다살이' 낸 강원대 권오길 교수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그가 펴낸 ‘한국동식물도감 연체동물편’은 지금도 이 분야의
기념비
적인 저작으로 꼽힌다.권 교수는 1년반 남짓 후에 정년을 맞게 되면 시와 소설을 쓸 생각이다. 과학성이 있는 문학을 하고 싶다는 말이다. 달팽이처럼 천천히그러나 뚜렷하게 자신의 족적을 남겨온 권오길 ... ...
비행기 1백년의 파노라마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역사적 순간이었다.올해 12월은 라이트 형제의 첫 비행이 성공한지 정확히 1백년이 된다.
기념비
적인 해를 맞이해 지난 1백년 간 숨가쁘게 진행된 인류 비행의 역사를 되돌아본다.세계대전 거치면서 스타로 부상1백년 전 라이트 형제의 비행은 비행기라는 존재를 세상에 처음 선보였다. 이후 많은 ... ...
0.3초만에 시선 사로잡기 간판의 과학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있다. 일본 요코하마 국제경기장에 설치된 음환경 디자인이 대표적 예라 할 수 있다. 이
기념비
는 시간과 계절에 따라 소리와 빛, 분수의 연출 변화로 다양한 디자인 효과를 거두고 있다.또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향교통신호기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횡단보도의 사인음 디자인은 기존의 ... ...
우주대포 제안자 쥘 베른 탄생 1백75주년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년에 발표된 ‘지구에서 달로’는 우주개발 선구자들에게 우주로 향한 꿈을 꾸도록 만든
기념비
적 작품이다. 그는 여기서 달 여행을 실현시키는 우주발사체로 ‘우주대포’(Space Gun)를 제안했다. 쥘 베른은 독자를 설득하기에 적합한 우주비행 도구로 당시 폭죽 정도의 수준이던 로켓보다 대포를 ... ...
1. 생명체는 정보의 집합체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연구방법을 도입하고 있다. DNA 이중나선 규명과 인간게놈프로젝트라는 생물학계의
기념비
적인 양대 사건 뒤에 활발해지고 있다는 점도 비슷하다. 또 바이오인포매틱스는 분자생물학처럼 생명체를 연구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해준다. 이 때문에 바이오인포매틱스는 분자생물학처럼 성공을 거둘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