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념관
기념물
묘비
비석
d라이브러리
"
기념비
"(으)로 총 102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학의 한계에 도전하는 반도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실용화된다면 비용도 30%나 절감할 수 있다. 그래서 구리칩의 개발을 새로운 시대를 여는
기념비
적 사건이라고 높이 평가하는 사람도 있다. 구리칩은 물리학의 한계를 빗겨가면서 반도체의 성능을 높인 대표적인 예이기 때문이다.KAIST 반도체재료실험실은 구리칩과 같은 반도체재료혁명을 꿈꾼다. ... ...
인류의 새 터전 우주식민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식민지로 삼는다는 설정도 심심찮게 접할 수 있다. 고전적인 예로는 아서 클라크의
기념비
적 장 편 '지구유년기 끝날 때'(1953)를 들 수 있다. 인류가 우주를 향해 최초의 로켓을 발사하려는 즈음 갑자기 세계 각지의 대도시 상공에 거대한 외계 우주선들이 나타난다. 인류는 지구와 비교조차 할 수 ... ...
타코마교의 교훈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사고 전까지는 인구 18만명의 이름 없는 작은 도시였던 타코마시는 20세기 기술역사상
기념비
적인 사고로 기록된 타코마교의 붕괴로 일약 유명해졌다.타코마교는 공사 중에도 많은 진동이 있었고 건설된 후에도 교량의 흔들림 현상이 계속돼 '흔들다리'라는 별명이 붙었다. 이러한 흔들림이 ... ...
용가리와 고질라에 숨은 뜻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손꼽히는 고전 걸작일 뿐만 아니라 평론가들 사이에서 새로운 용어를 탄생시킨
기념비
적 작품이기도 하다. 바로 '이드(무의식)로부터의 괴물'이라는 말을 낳은 작품이다.지구의 순찰우주선 한대가 외계 행성에 도착한다. 이들은 연구차 와있던 지구인 과학자들이 모두 죽고 오로지 한명만 남았다는 ... ...
이별의 씨앗이 된 현미경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뉴옥 등의 학회 및 학사원의 명예회원이 됐다. 그리고 그가 사망한 뒤에는 여러 나라에서
기념비
를 세우는 등 그를 기리는 행사가 잇따랐다.코흐의 업적 가운데에서도 인류 역사에 가장 큰 기여를 한 것은 1882년에 결핵균을 발견하고 그것이 결핵이라는 질병의 원인라는 사실을 증명한 일이다. ... ...
2. 통신혁명의 주춧돌 정보이론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샤논이 50년 전 제시한 정보이론은 바로 이 연구분야에 물꼬를 튼
기념비
적 사고다.이제는 일상용어가 돼 거리낌 없이 사용하는 낱말 중 '통신'이란 단어가 있다. 이동통신, 휴대통신, 위성통신, 정보통신, PC통신 등. 과연 통신이란 무엇인가? 일단은 '정보의 전송 및 저장'으로 ... ...
SF예언력은 어느 정도?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우주 개척은 시적인 문체로 독보적인 경지를 이룬 미국작가 브래드베리(R. Bradbury)의
기념비
적인 고전 ‘화성연대기’(1950)에서 상징적으로 묘사된다. 1990년대에 이르러 지구인의 화성개척이 이루어지지만, 화성인들은 지구인이 옮겨 온 질병 때문에 죄다 죽어버린다. 2000년대에 접어들자 지구도 ... ...
투명과학은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아버지로 추앙받는 웰스의 이 소설은 그의 대표작으로 알려진 ‘타임머신’에 버금가는
기념비
적인 작품으로 꼽힌다. 물론 몸이 공기처럼 투명하게 돼 눈에 보이지 않는 사람이 되고픈 욕망을 담은 소설을 내놓은 것은 웰스가 처음이 아니다. 연대 순으로 보자면 에드워드 미첼이나 제임스 달톤과 ... ...
사람같은 컴퓨터 HAL의 탄생기념축제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큐브릭 감독이 만든 이 영화는 상상력이 테크놀러지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을 증명한
기념비
적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1917년 영국에서 태어나 현재 스리랑카에서 살고 있는 아서 클라크는 단순한 SF작가 이상의 인물. 그는 지금까지 70여권의 저서 외에도 5백여편이 넘는 논문을 발표했는데, 특히 ... ...
우주탐사의 심장부 고다드 우주센터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95년 5월호). 특히 아스트로-2는 이론적으로 예측해 왔던 우주 초기의 헬륨을 검출하는 등
기념비
적인 업적을 남겼다. 덕분에 자외선천문학은 지금 ‘황금광 시대’를 누리고 있다.흔히 천문학 하면 집채만한 망원경과 수염난 천문학자를 떠올린다. 하지만 우주의 실체는 그렇게 쉽게 드러나지 ... ...
이전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